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생명연구자원의 정보관리시스템 고도화 및 연계 강화
- 등록일2017-12-05
- 조회수9699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제품 > 바이오자원
-
저자/소속
이병욱 책임연구원/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
-
발간일
2017-12-05
-
키워드
#생명연구자원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1. 개요
가. 국가생명연구자원통합정보시스템(KOBIS) 추진 근거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은 생명연구자원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약칭, 생명연구자원법) 제11조에 근거하여 설립되었으며, 국가 차원의 정보인프라 구축을 통한 생명연구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의 선순환체계 확립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법에 명시된 KOBIC의 주요 역할로는 생명연구자원 통합정보시스템 구축과 운영, 생명연구자원과 관련된 정보의 분석 및 제공, 생명연구자원과 관련된 자동화시스템의 설계·개발·구축·관리, 국내외 생명연구자원 정보관리기관과의 협력 등을 포함하고 있다.
⦁ 생명연구자원법: 생명연구자원의 효율적인 확보와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활용을 도모하고 생명공학의 발전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 ⦁ 생명연구자원: 생명공학연구의 기반이 되는 자원으로써 산업적으로 유용한 동물, 식물, 미생물, 인체유래 연구자원 등 생물체의 실물(實物)과 정보. |
나. 생명연구자원 관리 추진 체계
생명연구자원법에서는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 지정 이외, 각 부처에서 생명연구자원 관련 기관을 별도로 지정하도록 되어 있다. 각 부처는 "생명연구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이하 "기탁등록보존기관”), "책임기관", "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를 지정할 수 있으며, 범부처적인 협력을 위해서 "범부처 책임기관협의회”를 공동으로 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각 기관들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표 1. 생명연구자원법에 따른 생명연구자원 기관의 종류 및 역할]
기 관 | 역 할 | |
과기 | 국가생명연구자원 정보센터 (법 제11조) | 생명연구자원의 통합적 관리·유통을 위하여 범부처 통합정보시스템 및 네트워크 운영 |
관계 부처 | 책임기관 (법 제10조) | 기탁등록보존기관 관리·지원, 부처간 정보교류 등을 총괄하는 부처별로 지정된 대표 기탁등록보존기관 |
기탁등록 보존기관 (법 제8조) | 생명연구자원의 효율적인 기탁, 등록 및 보존을 위하여 자원의 수탁 및 평가·관리, 정보연계 수행 | |
생명연구자원 정보센터 (법 제10조) | 소관분야 생명연구자원의 관리와 유통, 정보수집, 정보시스템 구축, 운영 | |
범부처 책임기관협의회 (시행령 제6조) | 기탁등록보존기관 관리에 대한 기술협력, 정보 공유 및 연계 등 부처 간 협력 도모 | |
다. 부처별 책임기관 및 시스템 현황
부처명 | 주요 내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의약인프라사업부 책임기관 지정 (‘10.7.9)⦁생명 연구자원 정보시스템 생명연구자원포털(ARIS) 운영 및 KOBIS와 연계 |
농림축산식품부 | ⦁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07.8.3), 산림청(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08.12.9), 농림축산검역본부 책임기관 지정 ⦁ 생명연구자원 정보시스템 생명자원정보서비스(BRIS) 운영 및 KOBIS와 연계 진행 |
산업통상자원부 | ⦁ 생명연구자원 책임기관 향후 지정 예정 ⦁ 생명연구자원 정보시스템 부재 |
보건복지부 | ⦁ 질병관리본부가 책임기관 지정 (‘10.4.1) ⦁ 생명연구자원 정보시스템 한국인체자원은행네트워크(KBN) 운영 ⦁ 인체유래물의 경우, 개인정보/생명윤리 등의 문제로 정보연계 어려움 존재 |
환경부 | ⦁ 국립생물자원관 책임기관 지정 ⦁ 생명연구자원 정보시스템으로 국가생물다양성정보공유체계(KBR) 운영 및 KOBIS와 연계 진행 |
해양수산부 |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책임기관으로 지정 ⦁ 생명연구자원 정보시스템 해양생명자원통합정보시스템(MBRIS) 운영 및 KOBIS와 연계 진행 |
식품의약품안전처 | ⦁ 생명연구자원 책임기관 향후 지정 예정 ⦁ 생명연구자원 정보시스템 부재 |
2. 주요 내용
가. KOBIS 시스템 개요
KOBIS는 생명연구자원 데이터 확보, 통합관리 및 활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고도화된 지능형 웹 서비스 시스템으로 2011년 3월에 버전 1.0으로 처음 개발완료 되어서 외부에 공개되었다. 현재, 다양한 분류체계(taxonomy)를 기반으로 생물다양성정보/생물자원정보/생명정보를 수집·연계하여 제공하고 있으며, 링크아웃(Linkout, 관련기관의 자원상세정보를 링크형태로 연결하는 방식)서비스를 이용하여 범부처 관련기관과의 정보연계를 추진하고 있다.
[그림 1. KOBIS 시스템 구조도]
KOBIS 시스템은 지금까지 과기정통부 기탁등록보존기관과 연계(‘11.03),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과의 정보연계(‘13.06),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과의 정보연계(‘14.06),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의 정보연계(‘16.12)하였으며, ‘17.11월 현재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와의 정보연계 추진 중에 있다.
KOBIS 시스템은 우리나라가 보유중인 동물/식물/미생물/인체유래 연구자원에 대한 일반정보(종명, 분류체계 등) 및 연계정보(관련기관의 자원상세정보 등)를 제공하고 있을 뿐 아니라 종(species)과 관련한 관찰/표본/기관/세포/DNA/RNA/Protein등의 정보를 계층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표 2. 생명연구자원 정보연계 현황]
구분 | 과기정통부 | 농림축산식품부 | 환경부 | 해양수산부 | 전체 | ||||||
종 | 건 | 종 | 건 | 종 | 건 | 종 | 건 | 종 | 건 | ||
실물 | 미생물 | 11,835 | 87,636 | 5,457 | 42,647 | 5,051 | 70,291 | 2,773 | 28,241 | 25,116 | 228,815 |
(18,812*) | |||||||||||
식물 | 17,604 | 129,781 | 13,680 | 1,421,064 | 18,696 | 527,709 | 851 | 20,397 | 50,831 | 2,098,951 | |
(41,678*) | |||||||||||
동물 | 5,694 | 730,815 | 6,573 | 252,539 | 23,058 | 790,008 | 2,743 | 40,766 | 38,068 | 1,814,128 | |
(32,153*) | |||||||||||
인체 유래 | 1 | 115,048 | 0 | 0 | 0 | 0 | 0 | 0 | 1 | 115,048 | |
(1*) | |||||||||||
기타 | 5,987 | 39,311 | 281 | 39,031 | 6,479 | 175,643 | 1 | 59 | 12,748 | 254,044 | |
(12,695*) | |||||||||||
소계 | 41,121 | 1,102,591 | 25,991 | 1,755,281 | 53,284 | 1,563,651 | 6,368 | 89,463 | 126,764 | 4,510,986 | |
(41,102*) | (25,310*) | (51,293*) | (6,368*) | (100,910*) | |||||||
정보 | 미생물 | 13,274 | 3,427,875 | 0 | 0 | 1 | 1 | 0 | 0 | 13,275 | 3,427,876 |
(13,275*) | |||||||||||
식물 | 4,436 | 1,749,766 | 0 | 0 | 5 | 8 | 0 | 0 | 4,441 | 1,749,774 | |
(4,440*) | |||||||||||
동물 | 5,842 | 1,659,194 | 0 | 0 | 3 | 741 | 0 | 0 | 5,845 | 1,659,935 | |
(5,844*) | |||||||||||
인체 유래 | 1 | 59,037 | 0 | 0 | 0 | 0 | 0 | 0 | 1 | 59,037 | |
(1*) | |||||||||||
기타 | 2,127 | 268,609 | 19 | 71,315 | 0 | 0 | 0 | 0 | 2,146 | 339,924 | |
(2,146*) | |||||||||||
소계 | 25,680 | 7,164,481 | 19 | 71,315 | 9 | 750 | 0 | 0 | 25,708 | 7,236,546 | |
(25,286*) | (19*) | (9*) | (0*) | (25,305*) | |||||||
합계 | 66,801 | 8,267,072 | 26,010 | 1,826,596 | 53,293 | 1,564,401 | 6,368 | 89,463 | 152,472 | 11,747,532 | |
(59,358*) | (25,311*) | (51,296*) | (6,368*) | (116,665*) |
나. KOBIS 시스템 구성 요소 및 역할
KOBIS는 여러 개의 시스템들이 모듈단위로 개발되어 통합된 큰 시스템으로 통합데이터베이스, 정보연계시스템, 검증분류시스템, 통합검색시스템, 통계시스템, 웹포털시스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과 역할은 아래와 같다.
[표 3. KOBIS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 몇 기능]
구분 | 주요 역할 |
통합데이터베이스 | ⦁ 생명연구자원 통합정보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보안, 내실화, 고속데이터 전송시스템 도입 |
정보연계시스템 | ⦁ 국내 책임기관 및 기탁등록보존기관의 생명연구자원 정보를 정보연계표준안에 맞춰 DB to DB 또는 Client tool을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연계함 |
검증분류시스템 | ⦁ 등록 및 연계정보에 대한 양식 검증 및 학명 정규화 |
통합검색시스템 | ⦁ 학명, 국문명 등 통합검색결과 제공 |
통계시스템 | ⦁ 부처별, 기관별, 생물종별, 연도별, 대구분, 중구분 별 DB정보 제공 |
웹포털시스템 | ⦁ 통합정보시스템의 웹포털 인터페이스를 통한 다양한 검색기능 제공 ⦁ 홍보, 연구 및 정책정보, 간행물 정보 등 다양한 열람서비스 제공 |
다. KOBIS 웹포털 주요 서비스
KOBIS 시스템은 현재 버전 3.0으로 주요한 서비스 기능은 아래와 같다.
⦁ 사용자 접근을 고려한 지능형 웹사이트 제공
⦁ KOBIS에서 제공하는 생명연구자원을 부처별, 기관별, 생물종별, 연도별, 대구분별, 중구분별 통계정보 제공
⦁ 생명연구자원 데이터에 대한 정형/비정형 통계분석이 가능한 다차원 통계분석 서비스
⦁ 1,707종의 생물종 전자도감 시스템 구축
⦁ 생물의 고유 DNA 서열정보를 이용한 DNA 분류시스템
⦁ 생명연구자원 책임기관협의회,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뉴스레터, 통계자료집 등 간행물 서비스
[그림 2. 국가 생명연구자원 통합정보시스템 메인화면]
라. 시스템 주요 기능
KOBIS의 생명연구자원 통합검색을 위해서 정형, 비정형 대용량 파일을 다수의 서버에 분산시켜 저장하는 대용량 생명자원 정보 저장소 구축하였으며, 생명연구자원 정보에 특화된 형태소 분석기를 개발하였고, 다양한 질의어를 지원하여 1,000만 건 이상의 정보 검색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한글 및 특수 문자를 포함하는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개발 및 검색 시스템 적용하였다.
또한, 다양한 데이터(정형, 비정형) 유형의 색인 지원과 색인된 정보를 기반으로 한글/한자 자동변환 및 한/영오타 자동 교정 기능 제공과 통합 검색 기능 강화 및 검색 속도 향상을 위한 검색 결과 Caching 기능 제공하고 있다.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