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2018년 바이오미래포럼을 통해 바라본 주요이슈

  • 등록일2018-12-28
  • 조회수7503
  • 분류종합 > 종합
  • 저자/소속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담당자/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발간일
    2018-12-28
  • 키워드
    # 바이오미래포럼
  • 첨부파일

 




<국제세션 : 1일차 스페셜 세션>






◆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는 바이오

 



<영국 10만 게놈 프로젝트>



□ 영국‘10만 게놈 프로젝트'로 5,500만 국민의‘정밀 웰니스' 구현


 IMG_20181228_11.jpg

 

1953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의 프랜시스 크랙과 제임스 왓슨이 발표한‘DNA의 이중나선 구조 발견’이라는 제목의 짧은 논문은 생명공학 혁명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 됐다. 이렇게 유전체와 깊고 오랜 인연을 맺어온 영국은‘10만 게놈 프로젝트’등 대규모 유전체 연구로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2006년 영국의학연구소(MRC)와 웰컴 재단(Wellcome Trust)은‘UK 바이오뱅크’란 이름으로 45~60세 50만 명의 코호트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의료기록과 유전형에 대한 심층적인 데이터가 수집됐고, 2017년에는 전장유전체로 데이터를 확장한다고 밝혔다.

 

2012년에는 영국 캐머런 수상이 세계 최초로 기존 보건의료 데이터와 연계해 10만 개의 유전체를 분석하는 10만 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영국 정부는‘지노믹스 잉글랜드’라는 회사를 설립하고 각종 특허를 획득하고 민간 기업과 협업하는 허브 역할을 맡겼다.

 

10만 게놈 프로젝트의 목표는 최우선적으로‘공공(국민)을 대상으로 도움을 제공할 것’을 꼽고 있다. 이와 함께 ▲국가보건서비스(NHS)의 유전체의학을 위한 체계적인 인프라의 구축·제공 ▲연구를 위한 유전체-임상 데이터세트의 구축 ▲영국 내 상업화를 위한 투자 가속화 등의 미션을 갖고 있다.

 

10만 게놈 프로젝트는 환자 본인의 동의를 시작으로 유전체 분석 기업과 임상의사, 연구자 등의 참여로 이뤄진다. 먼저 영국 전역의 85개 병원을 통해 환자를 모집하고 동의 절차를 진행했다. 이후 검체샘플과 임상데이터 등을 수집하고, 강력한 비식별화 절차를 진행했다. 이를 유전정보 시퀀싱 센터로 보내 분석한 뒤 지노믹스 잉글랜드 내 데이터센터에 두고 연구자, 임상의, 산업계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치솜 회장은“10만 게놈 프로젝트는 5,500만명의 영국 국민을 위한‘정밀 웰니스’(Precision Wellness) 구현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보다 더 자동화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며“통일된 국가 표준과 함께 구체적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NHS 보건과 연구를 위한 표준화된 유전체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가올 미래에 대한 일본의 바이오 도전과제 : 초고령화 사회>

 

□ 일본,‘재생의료·게놈의료’혁신으로 초고령화 사회 대응

 

 IMG_20181228_12.jpg

 

미츠루 논설위원은 아베 정권이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막대한 의료비 지출 부담에 대비해‘의료혁신’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베 정권의 의료혁신은 줄기세포에 기반한 재생의료 규제개선을 우선적으로 시작했다. 일본 정부는 자국 바이오 산업이 기술 개발에선 앞서가지만 상업화 속도가 너무 늦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본 정부는 2014년‘재생의료법’을 시행해 재생의료 행위에 대한 규제 문턱을 낮추고 환자들의 접근성을 높였다. 또 같은 시기‘약사법’도 개정해 재생의학 신약에 조건부 승인제를 도입했다. 이런 제도개선의 성과로 올해 일본에선 세계 최초의 만능줄기세포(iPS)를 이용한 심장병 치료 임상연구 등 혁신적인 재생의료법 개발이 탄력을 받고 있다.

 

유전적 차이에 기반해 맞춤형 암 치료법을 찾는‘게놈의학’연구도 일본 정부가 중점 지원하고 있는 분야다. 암 게놈의학은 기존과 같이 장기에 따라서 암을 구별하지 않고 유전자 변이에 대응해 치료하는 의료기술이다.

 

일본 후생노동성은 홋카이도대, 도쿄대, 오사카대, 규슈대 병원 등 전국 11곳을 중심거점병원으로 지정하고, 100개 이상의 제휴병원으로 정해 암 게놈의학을 지원하고 있다. 이와 함께 후생노동성은 국립암연구센터에‘암게놈정보관리센터’(C-CAT)를 두고 유전체 등록을 의무화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암의 원인 유전자를 조사하는 유전자검사에 내년부터 보험을 적용하고, 검사 결과에 대한 등록을 의무화해 암 환자의 게놈 정보를 한 곳에 집약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어떤 유전자 변이에 대해 어떤 약을 투여하면 효과가 나오는지 정보를 수집해 해석하고, 병원 간 정보를 공유하거나 의약품 개발에 활용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또 이렇게 게놈의학으로 개발된 의약품은 심사기간을 단축해 보험적용을 앞당기는 조건부 조기 승인제도를 적용할 방침이다.

 

미츠루 논설위원은“일본은 의료연구 분야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를 설립해 연구 지원의 효율화를 꾀하고 있다”며“사물인터넷(IoT) 기기를 활용한 건강 빅데이터 수집과 활용도 중요한 과제로 꼽고 있다”고 말했다.

 

 

 

<싱가폴 국가 정밀의료 전략 : 바이오 빅데이터 공유·활용 관점>

 



□ 싱가포르 국가 정밀의료 프로젝트“의료데이터 수집 위해 국민적 동의 먼저 구해야”

 

 

 

IMG_20181228_13.jpg

 

 

 


 




스용 교수는“기존 유전체 데이터는 주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아시아 국가의 유전체 데이터, 특히 질환 관련 데이터는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인종별로 생물학적 요인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다양한 인종을 보유한 아시아는 이에 대해 장점을 갖고 있다”며“아시아인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특정 질환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스용 교수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국가 정밀의료 프로젝트는 ▲국민 신뢰 및 소통 강화 ▲임상적 가치에 의해 운영 ▲건강인과 질환자 분석 ▲현재와 미래 가치 수립 ▲데이터의 2차 사용 가능 ▲유전적 요인에 중점 등 6개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싱가포르 정부가 정밀의료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특히 국민들의 신뢰와 지지를 얻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싱가포르 정밀의료 프로젝트 추진위원회는 정밀의료가 대중과 공공에게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렴한 가격에 제공 가능한가 ▲개인에게 어떠한 혜택이 주어지는가 ▲개인정보 제공으로 인해 보험사로부터 차별은 없는가      ▲개인 데이터 보호와 보안은 철저한가 등의 이슈에 대해 신중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위원회는 개인동의 필수화, 정보보안, 윤리강화 등을 통해 참여자의 위험도를 최소화하면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특히 국민들과 수시로 소통하며 지속적인 정보 전달 및 참여를 유도하고, 데이터 유출방지와 철저한 보안 등을 갖추고 정밀의료를 추진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 역시 대형병원들이 축적한 방대한 의무기록과 전 국민 의료보험 데이터 등 세계적으로 우수한 의료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데 있어 국민적 공감대를 확보하지 못해 극히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 같은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스용 교수는“결국 데이터의 주체인 국민의 신뢰 확보가 이번 프로젝트 성공의 관건”이라며“정부 차원에서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최우선시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국 바이오 정책 및 방향>


□ 빅데이터 수집·분석 역량이 바이오 혁신 좌우...제도 개선 속도 내야


IMG_20181228_14.jpg

 

김 원장은 바이오 빅데이터의 핵심기술인 게놈분석이 최근 1일, 100달러 이내로 가능해지는 등 관련 기술이 급진전되면서‘바이오경제’시대로 본격적인 진입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오경제는 2030년까지 4.4조달러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며, 우리나라도 2025년 152조원 규모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