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AI 융합 감염병 연구의 현재와 미래
- 등록일2020-03-05
- 조회수7303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저자/소속
안인성/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발간일
2020-03-05
-
키워드
#AI 융합 감염병 #AI 융합#감염병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AI 융합 감염병 연구의 현재와 미래
안인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기반문제해결연구단 책임연구원
1. 배경
2020년 경자년 새해는 중국 후베이성의 우한시에서 최초로 보고된 원인불명 폐렴에 대한 뉴스로 시작되었다. 이 폐렴의 원인균은 지금껏 공식적으로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의 한 종류로 유전체 분석 결과 2002년과 2003년에 걸쳐서 30개국에서 약 8천여 명의 환자를 발생시켰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가 속해 있는 베타코로나바이러스와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며 코비드-19(COVID-19)라는 공식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이번 코비드-19 대유행 이외에도 2015년 우리나라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2016년 브라질 올림픽개최와 맞물려서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 공포를 일으킨 지카바이러스 (Zika virus), 그리고 2002년 10%대의 높은 치사율을 보이며 급속히 확산되어 나갔던 급성호흡기증후군(SARS) 등에 이르기까지 현대사회는 신종 감염병과의 끊임없는 전쟁의 연속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지금껏 알려진 바가 없었던 신종 바이러스의 등장은 세 가지 면에서 사람들 사이에 큰 공포감을 일으키는데, 첫 번째는 그 질병의 원인이 되는 병원체 정보를 모른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그 질병이 언제 어떻게 나에게 옮겨올지 모른다는 것이며, 세 번째는 만에 하나 감염될
경우에 회복될지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과거에도 흑사병이나 스페인 독감 등과 같이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킨 감염병 사례들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