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AI 융합 그린바이오 현황과 시사점
- 등록일2020-03-05
- 조회수7907
- 분류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저자/소속
양중석/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발간일
2020-03-05
-
키워드
#AI 융합#그린바이오#인공지능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AI 융합 그린바이오 현황과 시사점
양중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스마트팜융합연구센터장
1. 그린바이오와 인공지능
가뭄과 태풍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 소식을 듣는 것이 새롭지 않다. 겨울에 춥지 않고 봄이 오는가 싶으면 무더위가 시작된다. 기후가 변하고 있음을 몸으로 체감한다. 기후가 변하면 사람이 살아가는데 기본적인 요소인 의식주에 영향을 준다. 특히 먹는 것과 관련된 농업에서 기후변화는 농산물 재배지의 변화, 농산물 품질 저하, 생산량 저하, 병충해 피해 증가 등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세계적으로 기후변화, 고령화, 인구감소 등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농산업 문제점을 바이오기술과 정보통신기술로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바이오기술(BT)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생명공학기술로 의약·제약 분야의 레드바이오, 농업·식품 분야의 그린바이오, 환경·에너지 분야의 화이트바이오로 분류하고 있다. 이중 그린바이오는 안전한 먹거리 공급과 고부가 농생명 소재 산업 육성을 위한 분야이다. 그린바이오 기술은 농업에서 유용한 식량 종자를 개발하기 위한 육종기술과 안전한 농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재배기술을 중심 으로 발전하였다. 인위적인 교배를 통해 작물을 개량하는 교잡육종은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적용한 GM작물의 개발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적용한 유전자교정작물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재배기술에서는 WTO 가입으로 인한 농산물 수입을 극복하고자 시행한 시설재배를 통한 고부가 작물 재배에서 고부가 식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한 소재 생산과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도입한 스마트농업으로 발전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