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국내·외 감염병 연구개발 및 정책동향
- 등록일2020-05-14
- 조회수9872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
저자/소속
정대균/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
발간일
2020-05-14
-
키워드
#바이러스#감염병#인수공통감염병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국내·외 감염병 연구개발 및 정책동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정대균
1. 개요와 현황
가. 개요
이제 더 이상 지구상에는 감염병의 안전한 지역이 없는 것 같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COVID-19)이 중국에서 발생한 이후에 국내에서도 이제까지 확진자가 10,000명이 넘었고, 지금도 매일 조금씩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1년 내 전 세계인구 40~70%까지 이 바이러스에 노출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예측하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나오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국가 간 교류의 증대로 신종, 변종 그리고 원인불명의 바이러스 감염병이 최근에 더욱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15년 메르스 바이러스처럼 국내에서 발생한 적이 없었던 해외 유래 감염병이 국내에 유입되어 국가적인 위기상황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최근 발생하였던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신종코로나 등 신종 감염병은 정상적인 사회 기능을 저해하고, 대규모의 사망도 발생시키면서 전 세계적으로 수억 달러의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였다(표1).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은 현재 감염병 발생을 글로벌 안보이슈로 인식하고 관련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감염병 연구개발과 대응관리 체계의 연계에 주력하는 추세이며, 2000년 이후 국제수역사무국(OIE)과 세계보건기구(WHO) 및 세계 각국에서는 환경-동물-인간이 하나라는 개념으로 감염병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헬스(One Health)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이렇게 원헬스 연구가 중요한 것은 현재까지 약 250종의 사람과 동물에 같이 감염되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알려졌으며, 최근 발생하는 사람 감염병의 75% 이상이 인수공통감염병에 해당할 만큼 이에 대한 관리가 중요하다.
[표1] 2000년 이후 감염병 발생 현황
발생연도 | 감염병 종류 | 피해내용 |
2003 | 중증호흡기증후군(SARS) | 29개국 발생, 8,098명 감염, 774명 사망 |
2009 | 신종 인플루엔자(H1N1) | 전 세계적 발생, 13만 명 이상 감염, 18,239명 사망 |
2013 | 조류 인플루엔자(H7N9) | 중국 발생, 571명 감염, 212명 사망 |
2014 | 에볼라 바이러스 | 아프리카 발생 24,509명 감염, 10,096명 사망 |
2015 |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 중동·북아프리카 12개국 발생, 1,040명 감염, 383명 사망 |
2016 | 지카 바이러스 | 중남미지역 포함 총 43개국 발생, WHO의 ‘국제보건 위기상황’유지 중 |
2019 | 신종코로나바이러스 | 28개국 발생, 45,171 감염, 1,115명 사망(‘20,02,13기준) 지속적으로 발생 중 |
나. 국내 감염병 연구 현황
흔히 인수공통감염병은 사람과 동물 간 전파, 감염되는 질병으로 오래 전부터 발생하고 있었다.
이에 국내에서도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되어 왔으나, 또한 최근에는 과거와는 다른 다양한 종류의 신종 감염병들이 발생 하고 있다.
이러한 발생양상은 병원체의 변이 등의 특성 변화, 숙주 중 하나인 사람 활동의 변화 및 자연환경의 변화에 기인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특히, 신속한 도시화 및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인한 기후의 변화나 인구의 증가, 산림의 개발, 여행의 자유화 및 증대, 인적, 물적 자원의 국제적 교류의 증가, 산업화된 사회, 경제 발전 및 그에 따른 문화의 변화 등으로 인해 기존에 없던 감염병의 발생
혹은 기존 감염병의 변종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의 감염병에 대한 연구는 감염병 발생 시 이를 효율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다양 분자/면역 진단기술개발 위주의 연구가 각 부처별 기업 및 연구자별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기술동향 형광 편광 모달리티 접목을 통한 감염병 진단 기술의 고도화 2025-03-21
- 기술동향 디지털헬스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전 2024-12-30
- 기술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빅데이터(K-COV-N) 연구 성과 소개 및 활용방안 2024-12-27
- 기술동향 신규 감염 내국인에서의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유전형 및 약제내성, 2022–2023년 2024-11-26
- 기술동향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변이 바이러스 유행 현황 및 세포기반의 오미크론 세부계통 KP.3 감염성 분석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