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바이오클러스터 평가요소의 고찰을 통한 발전방안

  • 등록일2020-05-31
  • 조회수7651
  • 분류종합 > 종합,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국내외 바이오클러스터 동향 및 정책제언  

바이오클러스터 평가요소의  고찰을 통한 발전방안


베스티안재단 베스티안이노베이션센터 양재혁

 

1. 바이오산업과 바이오클러스터


한국의 바이오산업은 1982년 한국유전공학연구조합이 설립되고, 현대그룹 고 정주영 회장이 초대이사장으로 취임하면서 시작되었다고 본다면 벌써 40년에 가까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한국의 바이오산업은 한국바이오협회의 2017년 기준 바이오산업통계에 따르면, 2017년 바이오산업 수급 규모는 최근 3년 8.7% 증가추세로 총 11조 7,150억 원에 이른다. 

공급시장에서 생산규모는 10조 1,457억원으로 86.6%를 차지하며, 수입규모는  1조 5,693억원(13.4%), 수요시장에서 내수 규모는 6조 5,466억 원으로 55.9%를 차지하며, 수출 규모는 5조 1,684억원(44.1%)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양적인 성장에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끊임 없는 바이오클러스터 지원 정책이 기본적인 역량 강화의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한 것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바이오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부 2020년 바이오헬스분야 예산은 2019년 0.98조원에서 17% 증가한 1.15조원 이른다. 


우리나라의 바이오클러스터 현황은 15개 시도에 바이오벤처센터 9개, 지역진흥사업 16개를 포함한 총 25개의바이오클러스터 기관을 운영 중이다. 바이오분야 클러스터는 대부분 정부주도로 구성이 되었으며, 일부는 기업의 자생적 클러스터화 이후에 지자체의 지원이 따르고 있는 곳도 있다.


바이오 클러스터.png

 출처 : 매일경제 신문 2017.3.8.



2. 국내외 바이오클러스터 평가 요소 사례


가. 한국 바이오클러스터 분석 지표

 

국내에서는 2018년 산업연구원에서 ‘우리나라 바이오클러스터의 현황 분석 및 발전 방향 연구‘를 통해서 바이오클러스터의 특성을 기반으로 클러스터를 방법을 연구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클러스터를 평가하였다. 

 

클러스터 기반, 클러스터 활동, 네트워크, 클러스터 지원제도 및 환경이라는 네 가지 요소를 가지고 체계적인 분석을 진행한 바 있다.


동 연구의 분석결과 중 클러스터의 활동 분야는 바이오클러스터 내에서 기업 활동이 특히 경기, 송도, 원주, 오송은 기업수가 증가하고 있었다. 창업활동의 지표로 살펴본 창업 5년 이내의 기업들의 비중이 65~84%에 이르는 등 전반적인 활동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 바이오분야의 투자활동은 오송, 대덕, 경기 쪽은 22~35%로 활발한 투자 증가세가 있고, 연구개발 증가로는 경기, 오송, 원주의 연구개발투자율 상승세가 13~27%에 이르렀다.


나.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리포트 2019

 

Startup Genome은 수천 명의 스타트업 창업자와 수백만의 화사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스타트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2019 GSER (Global Startup Ecosystem Report)를 발간하였다. 

 

이 보고서에는 어떤 스타트업 생태계가 성장하고 있으며, 혁신적인가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2019년부터는 생명공학분야로 Life Sciences Ecosystem Ranking을 포함해서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대한 성공요소와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글로벌 라이프사이언스 스타트업의 분석을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생태계 성공요소를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