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개발동향 및 시사점

  • 등록일2020-09-02
  • 조회수7434
  • 분류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환경기술

미래 대응, 바이오 주요 이슈

친환경 바이오플라스틱 개발동향 및 시사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생물학전문연구단 성봉현

1. 개요와 현황

 

가. 플라스틱 문제 현황

 

플라스틱은 우수한 기능, 저렴한 가격, 뛰어난 내구성으로 현재 사회의 풍요로움에 큰 공헌을 하였으나, 이제는 이러한 장점이 오히려 심각한 폐자원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저렴하고 편하다는 이유로 1회용 제품을 남용하게 되었고, 경제성 때문에 재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낮았다.

뛰어난 내구성은 분해되지 않고 환경을 오염시키며, 해양생물에 축적되는 문제를 가져왔다. 플라스틱 문제의 대표적인 논문으로 언급되는 Geyer 등의 연구에 따르면, 2015년까지 생산된 전 세계 플라스틱의 총량은 83억 톤 정도이며, 연간 생산량은 1950년 2백만 톤에서, 2015년 3.8억 톤으로 200배 이상 증가하였다(1). 현재까지 발생된 플라스틱 폐기물 63억 톤 중 79%가 바다 또는 토양에 폐기되었고 12%는 소각되었으며, 재활용은 9%에 그쳤다. 이 추세대로라면 2050년까지 전 세계 누적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약 120억 톤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나. 국내 플라스틱 생산 및 소비 현황

 

국내 플라스틱 생산은 2005년부터 2016년까지 연평균 3.2%씩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2016년 국내에서 생산된 플라스틱은 폴리프로플렌(PP)이 410만 9천 톤으로 전체 생산량의 26%,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이 18%,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 13%,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이 11%, 폴리염화비닐(PVC)이 10% 등 상위 5개 품목이 전체 생산량의 87.36%를 차지하였다(2).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