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엑소좀(Exosome) 활용 항암 연구 동향 및 시사점
- 등록일2020-09-02
- 조회수10576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저자/소속
김인산/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의공학연구소
-
발간일
2020-09-02
-
키워드
#엑소좀#항암 연구#exosome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미래 대응, 바이오 주요 이슈
엑소좀(Exosome) 활용, 함암 연구동향 및 시사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의공학연구소 김인산
1. 엑소좀 연구 현황
가. 엑소좀이란?
진핵생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대부분의 세포들은 세포간의 신호전달을 위하여 단백질, 지방, 핵산 등의 생체유래 물질을 운반하는 소포체를 분비한다. 이러한 소포체들은 크기, 형태 및 그 구성에 따라 exosome, microvesicle, apoptotic body 등으로 구분된다.
Exosome은 다양한 세포들로부터 생산되어 분비되는 소포체 중 한 종류로 혈액, 소변, 뇌척수액 등의 체액에서 발견된다. Exosome은 30~150nm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endosome이 세포막 내부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intraluminal vesicle이 세포막과 결합하며 생성된다.
Exosome은 세포와 같이 지질 이중층으로 둘러싸여 모세포로부터 유래된 단백질, 대사 산물, 핵산 등의 다양한 생체분자를 내부에 담지 하거나 표지하기 때문에 표적 세포로 이들을 운반하여 표적 세포를 리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따라서 exosome은 면역 반응, 신호 전달, 항원 제시와 같은 다양한 세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세포간 정보 전달체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exosome은 모세포의 세포 유형 및 상태(형질 전환, 분화 상태, 활성화 상태, 스트레스 상태)를 그대로 반영하여 세포의 ‘아바타’라고도 불린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