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중국의 바이오 연구개발 및 투자 동향

  • 등록일2021-02-25
  • 조회수6229
  • 분류기타 > 기타


중국의 바이오 연구개발 및 투자 동향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김종선중국 투자 정책동향.png


1. 서언

 

세계적으로 새로운 산업혁명을 견인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는 바이오분야이다. 중국도 장기적으로 국가중점연구개발계획 등을 통해 바이오분야 투자를 꾸준하게 확대해오고 있으며, 빠른 발전을 이룩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생명과학 및바이오기술 분야 논문 발표량은 2011년부터 세계 2위를 유지해왔고, 특허 등록량은 2019년에 미국을 제치고 처음으로 세계 1위를 기록하는 등 바이오산업의 발전 기반을 튼튼하게 다져가고 있다. 


또한 세포치료 등 선행기술 분야에서는성숙된 제품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최근에는 항체 약물 등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혁신성과를 일부 창출하는 등 원천혁신성의 바이오신약 개발 활성화 모습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바이오촉매기술, 분자육종기술, 환경바이오기술 등 분야에서의 연구개발과 보급응용도 가속화되고 있다. 중국의 빠른 바이오산업의 발전은 한국의 바이오산업에 다양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고는 가장 최근 중국의 바이오산업 분야 대표적인정책과 투자 방향, 그리고 주목할 만한 발전 동향을 정리하고자 한다.

 

2. 정책

 

13차 5개년계획 기간에 중국의 생명과학 및 바이오기술의 혁신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기반성 정책은 「13차 5개년계획 기간 바이오기술혁신 전문프로젝트 계획」(2017)과 「13차 5개년계획 기간 바이오산업발전계획」(2017) 등이 있다.

이들은 원천혁신능력의 향상, 기술혁신플랫폼의 구축과 바이오기술산업의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 외에도 바이오기술 연구개발 활동의 잠재적 위험 등급을 나누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바이오기술 연구개발 안전관리방법」(2017) 등을 발표하였다. 


[표1] 13차 5개년계획 기간 바이오 분야 중점 발전 방향

구분

내용

선행 핵심기술

획기적 기술

① 차세대 바이오 검사기술 ② 차세대 유전자조작기술 ③ 합성생물기술

선행 융합기술

① 뇌과학 및 뇌모방 인공지능 ② 마이크로 바이옴 ③ 나노바이오기술 ④ 바이오영상기술

범용 핵심기술

① 바이오 빅데이터 ② 유전체기술 ③ 프로세스 엔지니어링 기술 ④ 생명공학 기기 혁신연구 및 제조

중점 지원 분야

바이오의약

① 면역치료 및 유전자치료 등 현대 바이오치료기술 ② 줄기세포 및 바이오 의료용 소재와 재생의학 ③ 중대질환의 분자분형 및 정밀의학④ 신형 백신과 항체 등 중대 바이오제품의 연구개발 ⑤ 약물 설계 및 신약 개발⑥ 바이오의학공정 및 의료기기

바이오화공

① 차세대 산업발효기술 ② 중대 화학품의 바이오제조 ③ 바이오화공 핵심기술장비 ④ 효소공학 및 산업 바이오촉매 그린공법 ⑤ C1 기체의 바이오전환 및 C1 바이오화공

바이오자원

① 전략적 바이오자원 보호 및 보존 핵심기술 ② 고부가가치 바이오자원 기능평가 및 상용화 전환 ③ 특수 바이오자원의 발굴과 이용

바이오에너지

① 섬유소 에탄올 ② 바이오 디젤유 ③ 바이오 부탄올 ④ 바이오 수소제조

바이오농업

① 차세대 농업 바이오 육종기술 ② 농업 중대 생물재해 예방제어기술 ③ 신형 농업용 바이오제품 핵심기술

생물환경보호

① 생물환경 모니터링 및 경보 기술 ② 환경보호 및 생태복구 시스템

생물안전

① 생물안전 위험평가모니터링비상대응 및 예방제어 관련 기술방법장비 및 제품 개발

혁신 플랫폼

① 대형 종합성 연구기지 ② 기술혁신센터 ③ 전략적 자원 플랫폼(국가바이오정보센터인류유전자원뱅크바이오의학 빅데이터 등)

출처: 科技部, 「十三五生物技術創新專項計劃」(2017.04) / 发展改革委, 「“十三五”生物产业发展规划」(2016.12)


2020년에도 다양한 정책들이 발표되었다. 먼저 기초연구 분야에서 과기부,발전개혁위원회, 교육부, 과학원과 자연과학기금위원회가 공동으로 「“0”에서 “1”에 이르는 기초연구사업을 강화에 관한 방안」(1월)을 발표하였는데, 여기에는 뇌과학, 줄기세포, 합성생물학, 단백질, 발육 프로그래밍, 인간질환 동물모델 등 바이오 분야 원천성 혁신 내용이 대거 포함되었다.

 

그 후 상기 기초연구에 기반한 세포산업의 고품질 및 표준화 발전을 위해 국가약품감독관리국에서 「면역세포 치료제품의 임상시험 기술지도 원칙(의견수렴고)」(7월)과 「인간 줄기세포 및 파생세포 치료제품의 임상시험 기술지도 원칙(의견수렴고)」(8월) 등을 잇달아 발표하였다.


현재 중국의 바이오 연구사업은 주로 국무원의 “과기혁신 2030 – 중대프로젝트”와 과기부의 “국가중점연구개발계획 - 중점 전문프로젝트”를 통해 경비를 지원받고 있다. 이중 전자의 경우 기존에 지원해오던 형질전환, 신약 창제 및중대 감염병 예방제어 등의 기초 위에 2020년도부터 뇌과학 및 뇌모방 연구(뇌인지장애 관련 중대질환, 뇌모방기술 연구 등 5개 방향)를 새롭게 지원하기 시작하였고, 후자의 경우 줄기세포 및 중개연구, 합성생물학, 인구 건강과 노령화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 꾸준하게 투입해오고 있다. 


그 외 관련 부처에서도 바이오 분야 투입을 추가로 강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과학원은 “선행성 전문프로 젝트”를 통해 줄기세포와 재생의학, 생체기관의 재건, 맞춤형 약물(질병의 분자형에 기반한 신약 개발) 등의 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도 바이오 분야 일부 탐색성의 연구사업을 광범위하게 지원해오고 있다. 


[표2] 국가중점연구개발계획 바이오 중점 전문프로젝트(일부)의 2020년도 투입 규모

 

주요 프로젝트

지원 방향

투입 규모

1

줄기세포 및 중개연구(‘16.6)

9

2억 4,000만 위안

2

단백질 및 생명과정 제어(‘16.2)

7

1억 9,800만 위안

3

발육 프로그래밍 및 그 대사조절(‘18.11)

10

2억 7,700만 위안

4

합성생물학(‘18.11)

21

3억 8,000만 위안

5

주동적 건강과 노령화 관련 과학기술 대응(‘18.7)

16

4억 2,500만 위안

6

바이오안전 핵심기술 연구개발(‘16.3)

2

3,800만 위안

7

바이오 의료용 소재 연구개발 및 조직기관 복구·대체(‘16.4)

1

500만 위안

8

디지털 진료장비 연구개발(‘15.11)

2

5,000만 위안

9

중대 만성 비감염성 질환의 예방제어(‘16.4)

1~2

- (미공개)

10

생식 건강과 중대 출생결함 예방제어(‘16.3)

1~2

- (미공개)

11

중의약 현대화 연구(‘17.8)

1

5,000만 위안

출처科技部 홈피(www..most.gov.cn)의 공개자료에 기반해 KOSTEC 정리


2021년은 새로운 14차 5개년계획이 시작하는 해이다. 기존 바이오정책들의연장선에서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강화하는 정책들이 곧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3. 현황


가. 논문

「2020 중국 생명과학 및 바이오기술 발전보고」(2020.10)에 따르면, 2019년한해 중국이 발표한 생명과학 논문 수는 14만 9,022편으로 전년대비 22.99% (세계 평균 9.56%) 증가하였다. 그리고 2010~19년간 연평균복합성장률(CAGR)은 16.16%(세계평균 3.89%)를 기록하는 등 세계 평균 수준 보다 훨씬 높았다.이중 Nature, Science, Cell 등 세계적인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은 100편 이상 으로서 모든 과학연구 분야 중 가장 많았다. 


지난 10년간 국가별 생명과학 논문 발표량을 보면, 미국, 중국, 영국, 독일, 일본, 이태리, 캐나다, 프랑스, 호주 및 스페인이 톱 10위권에 랭킹되었다. 이중 중국은 2010년에 세계 4위로 등극해주목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2011년부터는 세계 2위 수준을 꾸준하게 유지해왔다. 그러나 생명과학 논문의 인용율 랭킹을 보면, 중국이 최하위인 10위에 머물러있고 영국이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19년 한해 전 세계 생명과학 논문 발표량 톱 10위 연구기관 중에는 중국과학원(4위)과 상하이교통대학(10위)이 포함되었다. 이중 중국과학원은 2014년 부터 줄곧 톱 4위에 안착해왔고, 상하이교통대학의 경우 가장 성장이 빨랐다(2015~2019년간 CAGR 9.67%). 그 외 푸단대학, 중산대학, 저장대학 및 베이징대학도 생명과학 분야에서 많은 논문을 발표하여 2015~2019년간 중국 내 상위 수준을 꾸준히 유지해 오고 있다.


[표3] 2015~2019년 및 2019년 중국 생명과학 논문 수 톱 10워권 연구기관

 

2015~2019

2019

연구기관

논문 수()

연구기관

논문 수()

1

중국과학원

45,700

중국과학원

11,048

2

상하이교통대학

25,279

상하이교통대학

6,286

3

푸단대학

20,481

중산대학

5,390

4

중산대학

20,067

푸단대학

5,291

5

저장대학

19,452

저장대학

525,210

6

베이징대학

17,762

베이징대학

4,575

7

수도의과대학

16,404

수도의과대학

4,505

8

중국의학과학원/베이징세허의학원

15,570

중국의학과학원/베이징세허의학원

4,413

9

스촨대학

15,124

스촨대학

4,028

10

산둥대학

14,388

난징의과대학

3,920

출처: 科技部,「2020 中國生命科學與生物技術發展報告」(2020.10)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