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실험동물 영장류 글로벌 공급부족, 그 원인과 해결책

  • 등록일2021-11-02
  • 조회수4503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제품 > 바이오자원

 

 

실험동물 영장류 글로벌 공급부족, 그 원인과 해결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허재원 허재원.png


1. 서론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펜데믹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 두 국가에서 갑자기 실험용 원숭이 자원 부족 문제가 불거졌다. 전 세계에서 가장 강한 두 나라의 기업들과 관계자들이 실험용 원숭이가 부족하다며 정부의 대책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여기서 주목할 만 한 점은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실험용 영장류를 많이 수입했던 나라이며, 중국은 이러한 실험용 영장류를 가장 많이 수출했던 나라라는 점이다. 

 

과연 이러한 두 강대국에서 어떤 문제로 인해 이런 문제가 발생했으며, 우리는 이러한 국제정세의 변화에 발맞추어 어떤 준비를 하고 있었으며,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우리의 관점에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2. 대한민국의 영장류 인프라

“우리의 문제는 실험용 영장류 자원 부족이 아니었다.”


2005년 비록 선진국보다는 많이 늦었지만, 대한민국 국토의 중심 청주에 현재의 국가영장류센터가 건설되어 영장류 연구의 씨앗이 뿌려졌다.

 

많은 수는 아니었지만, 2~300백 마리 규모의 영장류 자원을 유지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국외에서 실험용 영장류 자원을 수입하며 실험을 진행하고 산·학·연에 연구지원을 조금씩 수행하고 있었다. 

 

하지만, 바야흐로 2012년 9월 25일, 머나먼 이국땅에 있는 국제 동물보호단체인 PETA(People for the Ethical Treatment of Animals)에서 진행하고 있던 영장류 항공운송 금지 캠페인의 확산은 국가영장류센터에서 영장류연구를 수행하던 연구자들에게 전 세계적 영장류 물류대란이 현실화할지 모른다는 우려를 가져다주었다.


[그림 ] 글로벌 의·과학 실험실 ‘원숭이 물류대란’ 위기(보도자료)

원숭이.png

출처 : 2012년 9월 25일, 조선일보


왜냐하면, 실험동물 영장류의 경우 먼 거리의 국가 간 거래에서 항공운송은 스트레스에 약한 실험동물 영장류의 운송에 유일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항공운송 금지는 곧 실험동물 영장류의 수입이 불가능해짐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야생 영장류가 전혀 없는 대한민국에서 “영장류 연구 인프라 구축 및 산·학·연 연구지원”이라는 미션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영장류 자원의 수급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해왔던 국가영장류센터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국제정세의 변화는 마치 센터 자체의 존폐문제와도 같은 위험요인으로 받아들여졌다.  

 

국가영장류센터에서는 이러한 국제정세 변화에 대한 관련 동향을 수집하고 정리하여 주무부처에 이러한 잠재적 위험에 대해 지속적으로 설명하여 결국에는 관련 예산을 확보하여 대한민국의 영장류자원을 공급할 미래 영장류 자립 기지인 ‘영장류자원지원센터(전북 정읍)’를 건설하게 되었다. 

 

하지만 국가의 예산지원만으로 간단하게 건설 사업이 진행되지는 못하였다. 예산을 확보하고 부지를 선정하는 절차에서 수차례 지역 주민을 상대로 주민설명회를 개최하여 센터의 필요성 및 당위성을 설명하던 중 또다시 동물복지를 주장하는 시민단체들과 맞닥뜨렸으며, 시민단체에서 주장하는 동물윤리이슈는 결국 영장류 인프라와 떨어질 수 없는 문제임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2020년 시작된 코로나19 펜데믹은 전 세계적으로 실험용 영장류의 이동을 완전히 중단시켰고, 짧은 순간에 수많은 영장류 자원을 코로나19 관련 백신 및 치료제 연구에 소진하게 함으로써 실험용 영장류 자원의 부족을 가속화 시켰다. 

 

특히 2021년 기준, 영장류 자원을 가장 많이 보유한 미국, 중국마저도 실험용 영장류가 부족하다고 아우성을 쳤다. 이러한 영장류 자원 부족사태로 인해 현재는 실험용 영장류 가격이 1만 달러를 넘어서고 있을 정도로 귀한 몸이 되었다. 

 

하지만 2021년 현재 대한민국은 현재까지 확보한 영장류자원을 활용해 산업체에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연구를 성공적으로 지원하였으며, 현재도 지속적인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모든 산·학·연 관계기관들이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있어 최소한 영장류 자원 부족으로 인한 문제만은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을 위해 영장류 인프라에서 갖추어야 할 조건은 아래에 제시한 4가지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영장류자원 그 자체이다.

두 번째는 영장류자원을 활용하여 영장류 감염모델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력이며,

세 번째는 이러한 감염모델을 실험하고 평가할 수 있는 ABL-3(Animal Biosafety Level 3)시설이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시설에서 모델을 제작하고 영장류 실험을 진행시켜 줄 전문가 집단이다.

미국과 중국의 경우 첫 번째가 가장 큰 문제라면 한국의 경우에는 세 번째, 네 번째 문제가 더욱 심각한 문제였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