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DNA-encoded library technology(DELT)를 활용한 신약개발 동향

  • 등록일2022-03-28
  • 조회수7884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DNA-encoded library technology(DELT)를 활용한 신약개발 동향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송민수noname01.png

  

 

 1. 머리말

하나의 화합물 신약이 탄생하기까지 10년 이상의 긴 시간과 수 조원 이상의 천문학적인 연구비용이 든다는 것은 이미 주지의 사실이다 [1-2]. 한편, 이것은 신약개발 과정의 총체적인 효율성의 문제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기 시작하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신약 개발을 위한 혁신 기술 발굴을 통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위한 연구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신속한 유효물질 도출을 통한 신약 개발 기간 단축 노력의 일환으로서 전통적으로 HTS, 가상검색, phenotypic screening, FBLD 기법을 오랜 기간 활용하고 있으며, 21세기 들어 보다 진보된 혁신 신약 도출 기반기술들, 즉, ADC, TPD, AI, CRISPR-Cas9, CAR-T, DELT, RNAi등이 활발히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림 1]. 본고에서는 이런 혁신 신약 기반기술 중 DNA-encoded library technology(DELT)를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신약개발 동향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noname02.png  


[그림 1] 화합물 신약 유효 물질 도출을 위한 기반 기술의 종류

 

 

 

2. 유전자 암호화 라이브러리 기술(DELT)의 이해

 


가. 기술의 유래

 

1992년 Brenner & Lerner가 “encoded combinatorial chemical libraries” 개념을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3]. 마치 자연의 모든 생물체 분자들이 고유한 유전정보를 DNA code에 담고 있는 것처럼, 저분자 화합물에도 고유한 DNA code를 담을 수 있다면, 그리고 아무리 많은 양의 화합물이라도 타깃 단백질에 대한 활성 스크리닝을 단번에 할 수 있다면, 활성을 갖는 화합물만 골라서 DNA 정보를 활용해 그 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는데 착안한 것이다 [그림 2]. 그 후, 10년이 더 지나 Liu 그룹에 의해 DNA-double strand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더욱 진화되었고 [4],  현재는 split-and-pool 기법을 이용한 DNA recording, DNA를 합성 template로  활용하는 DNA-templated synthesis (DTS), yoctoReactor, DNA oligonucleotide를 고정하고 합성하는 DNA routing, 화합물-single strand DNA 라이브러리 혼성 합성법을 이용한 encoded self-assembling chemical (ESAC) 기법 등 다양한 형태의 합성기법이 소개되고 있다 [그림 3] [5]. 본고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split-and-pool 기법 기반 DNA recording방법에 의한 DELT 활용 예를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noname03.png 

[그림 2] Brenner & Lerner “encoded combinatorial chemical libraries”의 개념 

출처 : Nat. Rev. Drug Discovery 2017, 131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