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바이오산업분야 디지털트윈의 활용방안

  • 등록일2022-10-31
  • 조회수3724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바이오산업분야 디지털트윈의 활용방안




목원대학교 명예교수 고대식

(주)토탈시스 연구소장 박필원



◈ 목차

⑴ 디지털트윈
⑵ 바이오산업분야 디지털트윈의 활용방안
⑶ 도전과 기회

1. 디지털트윈

디지털트윈(Digital twin)은 그림1에서 설명하고 있는 메타버스 4가지 유형 중에 미러월드(mirror world)와 거의 동일한 개념이며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대상이나 시스템의 디지털 버전물리적 기계 혹은 프로세스의 소프트웨어 모델물리적 자산에 대한 살아있는 디지털 시뮬레이션 모델물리적 객체의 시뮬레이션 모듈프로세스 또는 실제 제품의 최신 디지털 프로파일물리적 시스템의 구조문맥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정보의 조합 등의 의미로 정의되고 있다.


[그림 1] 메타버스 4가지 유형과 거울세계(디지털트윈)

출처 : NIA보고서


디지털트윈이란 그림2와 같이 현실세계의 물리적 객체(사람사물프로세스 및 시스템 등)들에 대한 디지털 복제(쌍둥이)로서대상객체를 

가상세계에 모델링하여 디지털화하고 이에 대한 AI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자율운행제조산업공정관리물류최적화 그리고 재난재해 

상황에서 대피 지원 등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체계이다.

 

디지털트윈은 제조업뿐 아니라 다양한 산업·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는다그리고 기본적으로는 다양한 물리적 시스템의

구조맥락작동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정보의 조합으로과거와 현재의 운용 상태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 있다물리적 세계를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강력한 디지털 객체로서운용 성능과 업무 프로세스를 대폭 개선할 수 있다.


[그림 2] 의료분야 디지털트윈 개념도 [3]


디지털트윈을 지원하는 기술은 계속 확대되어 지금은 단위시스템이 아닌 빌딩이나 공장도시 등 거대한 실체를 컴퓨터에 가상으로 재현하

기도 하고사람이나 프로세스도 디지털트윈으로 재현하는 시도가 있다디지털트윈은 주로 제조 분야를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사물인

터넷(IoT: Internet of Things), 확장현실 기술(XR:Extended Reality), 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과 접목하여 다양한 산업으로 활

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