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New GPT 시대의 바이오기술] 경제안보 관점에서의 바이오 분야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분석 및 시사점

  • 등록일2023-10-12
  • 조회수2539
  • 분류종합 > 종합,  기타 > 기타

 

 

경제안보 관점에서의 바이오 분야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분석 및 시사점



이승필, 홍세호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략기술글로벌분석센터

 

◈ 목차

1. 배경

2. 글로벌 공급망 분석 방법론

   가. IMF 방법론

   나. 경제안보 기반 글로벌 공급망 분석 방법론

   다. 바이오 분야 공급망 리스크 품목 도출

3. 바이오 분야 공급망 리스크 품목 분석

4.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배경


 지난 30여년 간 세계무역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화로 인해 글로벌 가치사슬이 복잡하게 형성되고 무역규모는 전례가 없는 속도로 팽창하였으나이 과정에서 비용-효율성이 최우선시되면서 특정 국가 및 기업에서 주요 소재·부품·장비를 독점하게 되었다특히 중국은 단순 조립가공에서 중간재 제조 강국으로 전환하여 대다수 국가의 수입 공급망이 중국에 집중되었고전략적 광물자원 확보 정책이 더해지면서 원소재에 대한 점유율도 대폭 증가하였다이러한 과점현상은 코로나-19, 기후변화 등의 환경적 요인과 더해지면서 공급망 교란을 초래하였고일본의 한국 수출규제-중 패권경쟁 등 산업·통상 정책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됨으로써 구조적인 공급망 붕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이는 기업의 최대 리스크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기후위기도 지속적으로 발생할 이슈이지만-중 패권경쟁이 경제안보의 측면에서 진행되면서 수출통제막대한 보조금 등의 수단으로 구조적인 공급망 붕괴를 야기하고 있으며이는 단기적인 이슈가 아닌 장기적인 트렌드가 될 가능성이 높다중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패권 도전국이었던 일본소련과 달리 경제·안보 양 측면에서 패권국인 미국에 도전하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패권도전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이에 대해 미국은 트럼프 재임 시절 시작한 관세전쟁을 시작으로중국 투자 미국 기업의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해 수출통제를 확대하였고바이든 정부로 들어서면서 동맹국들과의 연합전선을 펼치며 “small yard, high fence”라는 주요 방향성 하에첨단산업의 사다리를 넘어오지 못하도록 막대한 보조금 정책과 함께 기술 및 첨단산업 제재를 취하고 있다이에 대해 중국도 수출통제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국의 글로벌 경쟁력이 뛰어난 광물자원 및 드론에 대한 수출통제전략으로 맞대응하고 있다.


 이처럼 장기간 지속될 다수의 요인들로 인해 기존의 비용-효율적 공급망은 신뢰성·유연성 측면으로 구조적 재편 움직임이 활발히 포착되고 있다이는 수치상으로도 잘 드러나는데인건비가 더 낮은 제2의 중국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늘어남에 따라 대중국 그린필드 외국인직접투자(FDI) 비중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아세안으로의 투자 비중은 늘고 있으며미국 및 서방국가들의 리쇼어링 및 보조금 정책으로 인해 선진국으로의 그린필드 FDI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그림 1] 경제권별 그린필드 FDI 비중

*자료: UNCTAD, 출처 한국무역협회


[그림 2] 주요 신흥국으로의 그린필드 FDI 비중

*자료: UNCTAD, 출처 한국무역협회

아세안 6개국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태국베트남싱가포르


 하지만 이러한 국가·기업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다변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특정 국가 및 지역의 기반 시설인력구조산업 생태계자원 등을 고려했을 때 완벽한 다변화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실제로 중국에 집중되었던 다국적 기업의 생산거점 이동은 주로 조립생산 등 스마일커브의 하단부에 위치한 저부가가치 부문에 그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장기적 트렌드로 지속될 공급망 리스크에 대한 사전 대응을 위해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분석 방법론을 소개하고이 중 경제안보 관점에서의 글로벌 공급망 분석 방법론을 HS code 기반의 글로벌 교역 데이터에 적용하여 공급망 리스크가 높은 품목을 도출하고자 한다또한동 방법론으로 도출한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품목 중 바이오 분야에 해당하는 품목에 대해 심층분석하고경제안보 관점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2. 글로벌 공급망 분석 방법론


. IMF 방법론


 IMF에서는 CEPII(프랑스 국제경제연구원)에서 제공하는 HS 6단위 양자 간 글로벌 교역데이터(BACI)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분석 방법론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높은 품목을 도출하였다크게 핵심교역국 판별군집 경향성 판별수입대체가능성 평가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통한 리스크 품목 분류 등 4가지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핵심교역국 판별에 대해서 알아보면특정 품목을 거래하는 교역 형태가 그림 3의 A국과 같이 핵심교역국의 형태를 지니면 A국의 독점력으로 인해 공급망 리스크가 높다고 보았고그림 4와 같이 교역 현황이 다변화되어 있으면 특정 독점국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공급망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보았다이에 대한 판별은 수식 1의 외향중심성과 그 표준편차를 활용하였다두 번째로 그림 5와 같이 글로벌 교역망이 군집경향성을 띄면 자신들끼리 거래하려는 경향성이 크게 되고특정 군집에 쇼크가 발생하면 새로운 공급처를 찾기 어려워 공급망 리스크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이에 대한 판별은 수식 2를 활용하였다세 번째로수출국의 평균 교육 연수와 수출금액을 기반으로 수입국 대체 가능성을 평가하였는데이에 대한 판별은 수식 3을 활용하였다마지막으로 세 가지 방법으로 도출된 지표들에 대해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비슷한 특성을 가진 데이터끼리 분류한 후상대적으로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높은 품목들을 도출하였.



[그림 3] 핵심교역국 존재


[그림 4] 핵심교역국 부재


[수식 1] 핵심교역국 판별 수식

*출처: IMF(2017), 한국은행(2022)



[그림 5] 군집경향성 예시



[수식 2] 군집경향성 판별 수식



[수식 3] 수입국대체가능성 가 수식


*출처: IMF(2017), 한국은행(2022)


경제안보 기반 글로벌 공급망 분석 방법론


 IMF(2017)은 네트워크분석방법론을 기반으로 의미있는 공급망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으나공급망 리스크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다소 떨어지는 군집경향성수입국대체가능성으로 인해 분석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며최근 공급망 교란의 최대 요인인 경제안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이에 이승필 외(2023)에서는 IMF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기반으로 경제안보 관점에서의 글로벌 공급망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승필 외(2023)에서는 경제안보의 개념을 도입하기 위해 수식 4와 같이 국가간 신뢰거리(Dij)를 수치화하여 IMF(2017)에서 제시하는 핵심교역국 판별 수식인 수식 1에 반영하였다새롭게 도입한 신뢰거리는 국가 간의 신뢰도 및 우호도를 수치화한 개념이며표 1과 같이 교역 국가가 우호관계일 때는 신뢰거리가 0 ~ 1 사이의 값으로 교역액을 낮춰주고적대관계일 때는 신뢰거리가 1 ~ ∞ 사이의 값으로 교역액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신뢰거리는 UN 총회 안건에 대한 국가들의 투표 결과에 대해 상관관계(ρ)를 계산하고이를 맵핑함수(  )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여기서  는 맵핑함수의 차수로 일반적으로 또는 2의 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수식 4] 경제안보 기반의 글로벌공급망 리스크 분석 수식


[표 1] 상관관계 → 신뢰거리 맵핑 표


상관관계(ρ)

신뢰거리(D)

비고

-1 < ρ < 0

1 < D < 

비우호국교역액 교역액×D

ρ = 0

D = 1

중립교역액 교역액×D

0 < ρ < 1

0 < D < 1

우호국교역액 교역액×D


 마지막으로 리스크 품목 도출을 위해 신뢰거리 기반 외향중심성의 표준편차를 계산하고표준편차 값이 높은 순서대로 상대적 공급망 리스크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다만통계적 임계점을 기반으로 공급망 리스크 품목을 도출하기 위해 표준편차의 평균(μ)과 표준편차(σ)를 계산하고표준편차의 값이 μ σ 이상인 품목을 공급망 리스크 품목으로 분류하였다.



[그림 6] 품목들의 표준편차 histogram 및 공급망 리스크 분류 임계점


바이오 분야 공급망 리스크 품목 도출


 본 고에서는 이승필 외(2023)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을 적용하여 바이오 분야 공급망 리스크 품목을 도출하였다CEPII 및 KOTRA의 2021년 HS 6단위 글로벌 교역데이터를 활용하였고기술·산업적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5,000여개 HS 6단위 품목 중 소재·부품·장비에 해당하는 2,162개 품목에 한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또한 상관관계분석의 경우 미-중 패권경쟁을 고려하여 2017부터 현재까지 안건에 대해 분석하였으며맵핑함수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차수  로 지정하였다아래 표 2에 나타나 있는 품목들은 2,162개 품목 중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품목 311개를 1차적으로 분류하고그 중 바이오 분야에 해당하는 품목 23개만 별도로 리스트업 해 둔 목록이다표에서 제시된 리스크 구간은 한국 입장과는 관계 없이 글로벌 공급망 측면의 리스크 정도에 따라 구분한 것으로리스크 구간 1은 주의리스크 구간 2는 경계리스크 구간 3은 심각으로 표기하였다.


[표 2] 바이오분야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품목


순번

HS 코드

리스크 구간

최대

수출국

품목명 (6단위)

1

291814

주의

중국

시트르산

2

293627

주의

중국

비타민 C, 그 유도체 (혼합 안한 것)

3

293629

주의

중국

기타 비타민그 유도체 (비타민 B9, 비타민 D, 비타민 H, 비타민 K, 니코틴아미드 등) (혼합 안한 것)

4

300215

주의

독일

면역물품 (일정 투여량의 것) (소매용 포장의 것)

5

300220

주의

벨기에

백신

6

300290

주의

미국

사람 피동물 피(치료용.예방용.진단용)

7

340700

주의

중국

페이스트 (조형용아동 오락용), 치과용 왁스.인상재료 (소매용 포장), 치과용 조제품 (소석고.황산칼슘으로 만든 플라스터 재료의 것)

8

350790

주의

덴마크

췌장계 효소파파인브로멜라인피신아밀라제프로테아제펙틱효소 등

9

380894

주의

중국

소독제

10

382100

주의

미국

조제 배양제 (미생물.식물.인간.동물 세포의 성장.보존을 위한 것)

11

382200

심각

미국

뒤편을 보강한 진단용실험실용 시약과 조제된 진단용실험실용 시약(뒤편을 보강한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제30023006호의 물품은 제외한다), 보증된 참조물질

12

621010

심각

중국

의류 (펠트.부직포의 것)

13

841830

경계

중국

냉동고(체스트형용량 800L 이하)

14

841850

주의

중국

체스트/캐비닛전시용 카운터쇼케이스 (저쟝용전시용냉장/냉동 장치를 갖춘 것)

15

841869

주의

중국

냉장기구.냉동기구 (혈액저장용 냉동고 등)

16

901819

경계

미국

뇌파계청력검사기구혈압측정기환자 감시장치 등

17

901850

경계

미국

안과용 기기

18

901890

심각

미국

외과수술용 기기피부과용 기기산부인과용 기기임신진단기수의과용 기기내시경,인공신장기 등

19

901910

심각

중국

기계요법용 기기마사지용 기기심리학적 적성검사용 기기

20

901920

주의

중국

오존 흡입기산소 흡입기에어로졸 치료기인공 호흡기치료용 호흡기기

21

902190

주의

미국

기타 정형외과용 기기 (스크루.스테이플.핀 등)

22

902290

주의

독일

엑스선 발생기엑스선 스크린엑스선용 고압발생기방사선 사진용.치료용 기기 등

23

902780

심각

미국

혈당측정기미생물 반응기소변분석장비 등 기타 물리/화학 분석용 기기


3. 바이오 분야 공급망 리스크 품목 분석


① HS 291814 (리스크 구간 주의)

 해당 품목은 시트르산으로 대부분 공업용 시료로 사용되나의료기기 세척용 수용액으로도 활용된다중국에서 독점력이 크고일부만을 오스트리아태국벨기에캐나다 등에서 생산한다유럽일본인도 등이 중국 수입에 의존하며미국은 주로 태국 및 캐나다를 통해 수입이 이루어진다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중국으로부터 대부분의 수입을 의존(86% 수준)하였다.


② HS 293627, 293629 (리스크 구간 주의)

 해당 품목은 비타민 원료물질로 가루의 형태로 중국의 생산 독점력이 크며 그 뒤를 미국독일일본네덜란드스위스가 유사 규모로 수출하고 있다중국의 생산 독점력은 크지만일반 건강보조제의 원료물질로 주로 사용되고 있어 첨단 산업에 끼치는 영향은 미미하다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HS 293627 품목은 영국으로부터 최대 비중(47% 수준)HS 293629 품목은 중국으로부터 최대 비중(36% 수준) 수입하였다.


③ HS 300215, 300220, 300290 (리스크 구간 주의)

 HS 3002 품목은 사람 또는 동물의 피(치료용예방용진단용), 면역혈청 및 면역 물품백신세포배양제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HS 300215는 소매포장된 면역 물품, HS 300220은 백신, HS 300290은 사람 또는 동물의 피(치료용예방용진단용)가 해당한다.

HS 300215는 소매 포장 형태의 항암제심혈관계 치료제는 물론 영양 보조제웰빙제품 들도 포함된다독일스위스아일랜드미국이 유사한 수출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수입 또한 미국벨기에 독일스위스 등에서 주로 이루어진다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스위스로부터 최대 비중(22% 수준)을 수입하였다.


 HS 300220은 인체에 관련된 각종 백신으로 벨기에가 생산 독점력이 높으며그 뒤를 중국미국독일스페인이 유사 규모로 수출하고 있다중국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개도국으로의 백신 수출량이 대부분인 것으로 분석된다최다 수출국인 벨기에는 바이오 제약 생태계가 튼튼하고신속한 임상시험 승인 절차를 지니고 있어 바이오 제약의 주요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벨기에로부터 최대 비중(57% 수준)을 수입하였다.


 HS 300290은 인혈치료 및 예방 목적의 동물의 피항혈청혈액관련 의약품보톡스 등이 모두 포함된다미국아일랜드가 주요 수출국이며 그 뒤를 이어 독일영국프랑스가 주로 수출하고 있다수입도 미국아일랜드영국스웨덴독일 등에서 이루어지며 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미국으로부터 최대 비중(45% 수준)을 수입하였다.


④ HS 340700 (리스크 구간 주의)

 HS 340700은 치과용 조제품으로 중국의 생산 독점력이 크며그 뒤를 이어 독일이탈리아미국네덜란드에서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고미국네덜란드 독일이 최다 수입국으로 집계되고 있다치과용으로 사용되기는 하나 아동용 놀이제품도 이에 포함되는 등 첨단 기술을 요하지 않는 일반 제품으로 분석된다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중국으로부터 최대 비중(36% 수준)을 수입하였다.


⑤ HS 350790 (리스크 구간 주의)

 효소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나바이오쪽으로는 소화불량 등을 치료하는 의약품(췌장계 효소), 의료용 세정제(아밀라제프로테아제등으로 활용되며노화방지 등의 기능성 화장품에도 일부 활용된다덴마크미국이 주요 수출국이며그 뒤를 이어 독일중국네덜란드 등에서 수출을 주로 하고 있다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중국으로부터 최대 비중(25% 수준)을 수입하였다.


⑥ HS 380894 (리스크 구간 주의)

 해당 품목은 소독제로 중국이 주요 수출국이며그 뒤를 이어 독일미국 영국벨기에가 유사 규모로 수출하고 있다북미 및 유럽 주요국이 주요 수입국이며코로나-19 시기 손소독제의 수요가 대폭 증가하여 품귀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였다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영국으로부터 최대 비중(25% )을 수입하였다.


⑦ HS 382100 (리스크 구간 주의)

 해당 품목은 조제배양액으로박테리아 배양에 필요한 영양성 물질 혼합액동식물 세포 증식용 배양액/세포 등의 보존을 위한 보존액 등이 포함된다미국의 수출 독점력이 크고그 뒤를 이어 프랑스영국독일네덜란드 등 주요 선진국들이 수출을 점유하고 있다중국이 최대 수입국이며네덜란드인도한국일본 등이 주요 수입국이다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미국으로부터 최대 비중(44% 수준)을 수입하였다.


⑧ HS 382200 (리스크 구간 심각)

 해당 품목은 체외진단기기로질병 진단치료효과 판정예방 등의 목적으로 조직세포혈액대소변타액 등을 이용해 검사하는 의료기기를 의미한다코로나19로 인해 폭발적인 수요 증가가 발생했으며미국의 독점력이 매우 크고그 뒤를 독일중국네덜란드영국에서 유사 규모로 수출하고 있다유럽 및 북미가 주요 수입국이며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미국으로부터 최대 비중(44% 수준)을 수입하였다.


⑨ HS 621010 (리스크 구간 심각)

 해당 품목은 펠트부직포 등의 의복류이나의료용으로는 방호복가운 등이 해당된다섬유산업은 중국이 독점하고 있는 대표 산업으로 중국이 독보적 수출 규모를 가지고 있으며그 뒤를 캄보디아베트남터키 등 개도국들이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코로나-19로 인해 폭발적인 수요급증이 있었으며미국이 대표적인 수입 국가이다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미국으로부터 최대 비중(43% 수준)을 수입하였다.


⑩ HS 841830, 841850, 841869 (리스크 구간 경계주의주의)

 해당 품목은 가정용을 제외한 일반 산업용 냉장·냉동고 및 기구로의약품의 보관 및 배송에도 활용된다타 일반 범용 기계장비와 마찬가지로 중국이 독점적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그 외 터키이탈리아미국오스트리아시코 등에서 일부 수출을 차지하고 있다미국이 최대 수입국이며한국도 2021년 기준으로 중국으로부터 최대 비중(90%, 63%, 54% 수준)을 수입하였다.


⑪ HS 901819, 901850, 901890 (리스크 구간 경계경계심각)

 HS 9018 분류는 내과용/외과용/치과용/수의과용/안과용 기기 및 진단기기가 해당되며, HS 901819는 뇌파계청력검사기구혈압측정기 등이 해당되고HS 901850은 안과용 기기, HS 901890은 외과수술용/피부과용/산부인과용 기기 및 내시경/인공신장기 등을 다양한 품목을 포함한다.


 HS 901819는 인체 진단을 위한 필수 기기로 미국독일에서 유사 규모로 수출을 점유하고 있고그 뒤를 이어 일본중국아일랜드에서도 비교적 큰 규모로 수출하고 있다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미국으로부터 최대 비중(42% 수준)을 수입하였다.


 HS 901850는 안과용 기기로한국의 수출입 물품을 살펴보면 라식수술 기기시력 검사기 등 비교적 일반의료기기들로 구성되어 있다미국과 독일이 유사 규모로 수출하고 있고그 뒤를 일본스위스네덜란드가 일부 수출을 점유하고 있다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미국으로부터 최대 비중(34% 수준)을 수입하였다.


 HS 901890은 다양한 기타 의료용 기기들이 포함되어 있으나특히 혈압 측정기내시경검사 장치신장투석 장치혈관조영장치마취장치 및 기타 외과도구 등 외과에 필수적인 장치 및 도구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미국이 독점적 수출규모를 가지고 있고그 뒤를 이어 멕시코독일네덜란드중국이 수출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미국으로부터 최대 비중(32% 수준)을 수입하였다.


⑫ HS 901910, 901920 (리스크 구간 심각주의)

 HS 9019는 기계요법 또는 마사지용 일반 기기나 치료용 호흡기기를 포함하는 코드로, HS1910이 기계요법 또는 마사지용 일반기기를 포함하고HS901920이 산소흡입기에어로졸 치료기인공호흡기치료용 호흡기기 등을 포함한다.


 HS 901910은 기계요법 및 마사지용 일반기기로 단순 생활용품에 해당하나 일부 재활기기들도 포함된다중국이 독보적인 수출 규모를 가지고 있고그 외 미국멕시코독일캐나다에서 유사한 규모의 수출이 이루어지고 있다중국의 최대 수출 대상국은 미국이며한국도 2021년 기준으로 중국으로부터 최대 비중(96% 수준)을 수입하였다.


 HS 901920은 기술 수준이 높지는 않으나 의료현장에 반드시 필요한 품목으로중국이 최대 규모로 수출하고 있으며그 뒤를 이어 미국싱가포르독일뉴질랜드가 일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코로나-19를 겪으면서 수요가 급증하였고인공호흡기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미국이 최대 수입국이나싱가포르중국멕시코 등에 다변화되어 있고한국은 2021년 기준으로 뉴질랜드로부터 최대 비중(19% 수준)을 수입하였다.


⑬ HS 902190(리스크 구간 주의)

 해당 품목은 스크루스테이플핀 등 정용외과용 기타 기기들을 포함한다미국이 주요 수출국이며독일아일랜드네덜란드가 그 뒤를 이어 유사 규모로 수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독일네덜란드중국에서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한국도 2021년 기준으로 미국으로부터 최대 비중(33% 수준)을 수입하였다


⑭ HS 902290(리스크 구간 주의)

 해당 품목은 엑스선 기기용 주요 부품으로 세계 최대 의료 시장인 미국의 경우 병원 방문환자의 90%가 엑스선 검사를 받을 정도로 강한 수요가 존재한다독일미국중국에서 유사 규모로 수출 비중을 차지하고그 뒤를 이어 일본프랑스에서도 수출이 이루어진다중국의 수출 물량은 대부분 일본독일미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 수입이 이루어지며한국도 2021년 기준으로 중국으로부터 최대 비중(27% 수준)을 수입하였다.


⑮ HS 902780(리스크 구간 심각)

 해당 품목은 혈당측정기미생물 반응기소변분석장치 등 기타 물리/화학 분석용 기기 및 체외 진단기기를 모두 포함한다미국독일이 최대 수출국이며그 뒤를 이어 싱가포르중국일본에서 일부 비중을 수출하고 있다미국독일의 수출 중 대부분은 중국으로 수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한국도 2021년 기준으로 미국으로부터 최대 비중(33% 수준)을 수입하였다.


4. 결론 및 시사점


 본 고에서는 미-중 패권경쟁 본격화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를 분석하기 위해 경제안보 관점에서의 공급망 리스크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고, 2021년 HS 6단위 품목의 글로벌 교역데이터를 활용하여 바이오 분야 공급망 리스크 품목을 도출하였다.


 바이오 분야 공급망 리스크 품목 23개에 대한 주요 독점국가 미국(8개 품목), 중국(11개 품목), 독일(2개 품목), 덴마크(1개 품목), 벨기에(1개 품목)로 대다수의 공급망 리스크 품목이 미국과 중국에 집중되어 있다다만미국의 독점 품목들은 대개 수술용 기기나 진단기기 등 기술 수준이 높은 의료 필수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중국의 독점 품목들은 기술수준이 낮고 저부가가치 품목인 의약품 원료단순 조제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하지만 코로나19에서 겪었듯이 이러한 품목들도 글로벌 의료체계에 치명적인 리스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본 고에서 도출한 품목 중에서는 소독제의료 방진복인공호흡기의약품 보관/운송 기기 등이 해당된다.


 품목의 수출입 동향을 살펴보면, HS 380894, HS 382100, HS 621010, HS 841830, HS 841850, HS 841869, HS 901910, HS 901920의 경우 미국 → 중국 또는 중국 → 미국 상호 간 교역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품목으로경제안보관점에서 주의를 요하는 품목이다한국의 수출입 동향을 보면대부분 중국과 미국에 집중되어 있고, HS 291814, HS 300220, HS 841830, HS 841850, HS 841869, HS 901910 품목의 경우 특정국가 의존도가 특히 높은 것(50% 이상)으로 분석되어 주의를 요한다공급망 리스크가 심각’, ‘경계’ 단계로 나타난 8개 품목 중 생명에 직결되는 의료기기나 감염병 대응을 위한 기기·시약의 최대 수출국은 대부분 미국이었으며우리나라의 최대 수입국 또한 미국(30~40% 수준)이었다다만의약품의 물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HS841830 품목과 위험도가 낮은 의료기기인 HS901910 품목의 경우우리나라에서는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으로 높게(90% 이상나타났다.


[표 3] 우리나라의 공급망 리스크 품목 수입 현황


리스크 구간

HS코드

품목명

최대수출국

(공급망전체)

한국의 최대수입국

(비중)

기술

수준

비고

심각

382200

진단용·실험실용 시약

미국

미국(44%)

감염병 대응

901890

외과수술용기기내시경·인공신장기 등

미국

미국(32%)

생명에 직결

902780

혈당측정기,미생물반응기물리화학분석기기 등

미국

미국(33%)

감염병 대응

621010

의류(펠트부직포)

중국

미국(44%)

감염병 대응

901910

기계요법용기기마사지용기기 등

중국

중국(96%)

 

경계

901819

뇌파계혈압측정기환자 감시장치 등

미국

미국(42%)

생명에 직결

901850

안과용 기기

미국

미국(34%)

 

841830

냉동고(용량 8000L 이하)

중국

중국(90%)

 


 그간 비용-효율적으로 구축된 글로벌 공급망은 경제안보 시대를 맞이하여 국가 및 기업에게 최대의 리스크 요인으로 부각되었으며현재에도 진행 중인 이슈이다한국은 2021년 기준 무역의존도가 69.29%로 G20 중에서도 네덜란드독일멕시코의 뒤를 이어 4번째로 무역의존도가 높은 나라로글로벌 공급망의 붕괴 또는 재편은 한국에게 치명적인 리스크로 다가올 것이지만반대로 제조강국인 한국에게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특히 바이오 분야는 그 자체로도 큰 경제·산업적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국민의 건강·생명과 직결되어 국가 안보적 중요성이 높아 산업 안정성은 물론 국가 위기 대응 측면에서 공급망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위기 관리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CEPII 및 KOTRA의 2021년 글로벌 교역 데이터(HS 6단위)를 활용하여 산업 전 분야에 대한 공급망 리스크를 분석한 결과 중 바이오 분야의 품목에 대해 소개하였으나향후 바이오 분야 산업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좀더 세부 단위의 품목을 대상으로 한 공급망 분석을 통해 품목 전체의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관리는 물론우리나라 관점에서 특정 국가 의존도가 높은 품목에 대한 관리도 필요하다또한 공급망 리스크가 있는 품목의 기술 수준생명에 직결되는 정도공급망 다변화 가능성 및 대체 생산 가능성 등을 고려한 대응 전략 마련과 함께위기 대응에 필수적인 핵심품목의 경우 국내 생산을 촉진할 수 있는 메리트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특히, 의약품의료기기와 같은 바이오 제품은 고도의 안전성과 신뢰도가 중요하며높은 기술수준의 필수 품목의 경우 수입 다변화 내지는 내재화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기존의 중심국가와의 연계·협력 강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