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KRIBB 워킹그룹] 지속가능 세계를 위한 미래푸드

  • 등록일2023-11-30
  • 조회수2294
  • 분류생명 > 농림수산식품학,  그린바이오 > 식품기술

 

 

지속가능 세계를 위한 미래푸드

2023년도 KRIBB 워킹그룹이슈페이퍼 제 10호

 

◈ 목차

1. 개요

2. 주요 동향 및 이슈

  2.1 신규 식품 소재 연구

  2.2 배양육 생산 최신 기술 동향

  2.3 배양육의 환경·사회적 영향

3.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미래푸드의 정의

  • 첨단기술이 이머징 되는 미래 푸드 기술

  • ╶︎미래 푸드(Future Foods) 기술은 현재 섭취하고 있는 식품의 영양원을 유지하면서 인류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발전을 위하여 원료물질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환경에 대한 영향과 인간의 건강을 고려하여 기존의 농축수산 산업에서 얻어지는 식품소재에 혁신적 생물공학기술을 도입하여 새로운 식품소재 및 첨가물 등으로 생산제조관리소비처리하는 등의 일련 과정을 포함한 기술로 정의함

  • ╶︎미래 푸드에 대한 관심은 전세계적인 인구증가와 이에 따른 식량유용 자원 감소뿐 아니라최근의 지구적 기후변화로 인한 농축수산 1차 산업의 수확량의 급격한 감소그리고 환경오염에 따른 식량 안전(food safety)의 위기라는 과제에 인류가 직면하면서 증가되고 있음

  • ╶︎여타 기술과 달리 식품은 인류의 생존을 위한 필수 자원으로식품안전소비자 건강수요공급환경이슈사회적 요구와 더불어 대중의 선호도기호와 취향 그리고 지역적, 국가적 공급망 등 과학적 기술뿐 아니라인문 사회학적인 복잡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

  • ╶︎특히기존의 단지 생존 유지를 위한 식품을 넘어 최근 퍼스널케어환경보호동물복지종교와 같은 개인적사회적 니즈에 따라 식품의 기호도가 바뀌게 되면서 의약 대체환경부하 저감비건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생명공학 기술을 사용한 미래푸드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2]

  • ╶︎또한타 첨단 바이오 기술과 달리 미래푸드 기술은 원료 제품의 생산에서 가공포장소비, 폐기 등의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는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를 통해 현재에 인류가 직면한 글로벌 기후변화의 대응기후변화에 따른 식량안보그리고 미래의 지속가능한 인류사회의 유지 발전에 핵심 목표가 있음

  • ╶︎따라서 미래푸드 개발은 하나의 개별국가 이슈가 아닌 전세계적 메가트렌드로 건강첨단 기술 발전국가 간 인구변화급격한 자연-환경 변화세계경제 및 국제간 통상의 5가지의 관점이 통합적으로 작용하는 이머징 산업 분야임

미래푸드가 관련 있는 과학적, 경제적, 사회적 이슈의 범주

출처 : Sowcharoensuk, C. (2022) Future food industry

[그림 1] 미래푸드가 관련 있는 과학적경제적사회적 이슈의 범주


2. 주요 동향 및 이슈


2.1 신규 식품 소재 연구


□ 전통적 식품 소재에서 탈피한 신규 식품소재

  • 식용곤충(Edible insects)

  • ╶︎특정 곤충을 식품으로 사용하는 것은 제한적 지역문화에 따라 오랜 역사가 있으나서구사회에서 새로운 단백질영양원유용 지방산미네랄 등을 포함한 식품으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로, EU의 경우 2015년에 유럽의회의 가이드라인(Regulation (EU) 2015/228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에서 신규 식품으로 지정된 이후해당 법령이 발효된 2018년 1월에 이르러 식용 곤충이 유럽시장에 선보이기 시작함

  • ╶︎식품으로서 식용곤충 소재는 식품뿐 아니라 사료용으로 사용 가능하여 기존 축산 기반 단백질 생산에 비해 제한적 토지소량의 물최소한의 에너지 사용을 통해 적은 이산화탄소 배출로 환경부하를 최소화한다는 장점이 있음

  • ╶︎식용곤충으로 산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곤충은 black soldier flies, yellow mealworms, lesser mealworms, crickets, grasshoppers, house flies 등이 있음

  • ╶︎그러나 곤충소재에는 포자를 생성하는 Bacillus cereus 균이나 식중독을 유발하는 Salmonella sp.와 Campylobacter sp.같은 균이 존재하여 비위생적인 가공시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내재되어 있음또한 사육시 사용되는 사료에 따라 중금속이나 농약 오염과 같은 위험이 존재함더불어곤충유래의 단백질은 잠재적인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내재하고 있어 광범위한 식품소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문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고됨

  • 해파리(Jellyfish)

  • ╶︎해파리는 해양무척추 동물의 일종으로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온도 상승에 따라 개체수가 급격하기 증가하기 시작하면서해안의 수족관의 배수시설어업활동에 사용되는 구조물 파쇄 등에 많은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 제공자로 알려져 있으며특히 먹이사슬에서 특정 어족과 경쟁 관계에 있어 어족 자원의 감소 문제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음

  • ╶︎전통적으로 아시아권에서 식용하고 있는 해파리 종 중 식용 가능한 해파리가 저탄수화물과 지방높은 단백질 함량과 미네랄 등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미래푸드 자원으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

  • ╶︎식용가능한 해파리로 Rhopilema spp.와 Stomolophus meleagris 두 종이 있으며, 2018년 기준으로 30만 톤이 어획됨

  • ╶︎하지만 해파리는 여타의 수산물과 같이 유통과정에서 해양 병원성 미생물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해수 속 중금속의 축적해파리 먹이인 조류에서 오는 톡신잠재적인 알레르기 인자에 대한 우려가 존재함더불어 다른 수산물과 마찬가지로 해파리에서도 해수 속 미세플라스틱 축적에 대한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해산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플라스틱과 인간의 건강에 대한 추가적인 정밀한 연구가 필요함

  • 식물기반의 대체 식품소재(Plant-based alternative)

  • ╶︎식물기반의 식품소재는 건강환경동물복지종교적 신념 등 다양한 이유로 동물 유래의 식품을 대체하는 소재로식품가공기술로 동물 유래의 육류낙농제품달걀 등을 유사한 풍미식감 등을 유사하게 재현시킬 수 있어 최근 급격하게 성장하는 분야임. 2020년에 보고된 전세계시장은 294억 달러 규모였으며, 2030년까지 1,620억 달러로 5배 이상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식물기반의 대체소재는 환경*과 영양학**적 2가지 측면에서 다른 식품 소재에 비해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분야임

  • ⁎︎환경 이슈에 있어 축산산업은 지구온난화 가스 방출토양침식과다한 물 사용동물 배설물에 의한 수계의 부영양화 등의 문제로 인해 환경부하가 적은 식품 유래의 대체 소재가 부각되고 있음다양한 식품 소재 중에서 특히 콩 대체소재가 영양학적 측면에서 고함량의 단백질원뿐 아니라 환경 중 질소고정을 통해 토양의 비옥도(soil fertility)를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는 소재임

  • ⁎︎영양학적 측면에서는 식물유래의 소재는 고함량의 식이섬유가 포함되어 있어 동물 유래의 식품에 비해 소화계 질병을 현저히 저감시킨다는 보고가 있음하지만 식물 유래의 대체 소재에 포함된 영양소가 동물유래의 단백질과 완전히 동일하지 않으며특정 영양소미네랄의 부족 또는 가공시 상대적으로 높은 염의 함량 등에 대한 논쟁이 있음

  • ╶︎단백질원으로 식품소재는 견과류씨앗씨리얼식물의 덩이줄기(tubers)가 있으며추가적으로 버섯 소재가 포함되며 균사체 곰팡이인 Fusarium veneatum 유래의 mycoproteins 대표적 사례로 알려짐지질(fat) 소재로는 카놀라유코코넛버터코코넛오일해바라기씨유 등이 사용되거나 이들의 혼합제재가 사용됨특이적으로 식물기반의 대체육 성형 소재로 메틸셀룰로즈(methylcellulose) 고분자가 식물성 단백질의 성형이나 유화(emulsifier) 위해 사용되고 있음

  • ╶︎식물기반 소재는 다른 대체 소재와 달리 많은 식용식물을 이용할 수 있어 식품 가공기술을 활용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다양한 비타민미네랄폴리페놀 등과 같은 다양한 첨가물을 추가할 수 있으며식물 고유의 색상을 사용하여 유사한 육가공제품을 대체 할 수 있는 기능성 바이오식품 개발을 개발할 수 있음

  • ╶︎단점으로는 식물 유래의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포자를 생성하는 Bacillus spp.와 Clostridium spp.의 오염 가능성이 존재함특히탄수화물 및 단백질로 존재하는 영양원을 추출하여 가공하는 프로세스가 동물유래의 소재 가공보다 복잡하고영양소식감풍미 등을 위해 저온가공이 필요하여 공정상 미생물 감염에 노출될 위험이 있음

  • ╶︎또한 식물 유래의 식품에 존재하는 곰팡이로부터 분비되는 곰팡이독소[Mycotoxins]식물 유래의 잠재적 알레르기 인자들그리고 영양소 흡수를 방해하는 phytic acid, 단백질저해렉틴사포닌이소플라빈 및 유도체들은 anti-nutrient의 성분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또한 식물 유래의 소재들은 농업에서 얻어지는 소재로 수확량 증대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적 농약비료 성분 오염과 토양으로 부터 식물내 중금속 축적에 대한 우려가 있음

  • ╶︎하지만 현재 단계에서 식품 유래의 소재는 동물유래의 단백질소재를 대체하는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전세계적인 시장규모나 소비자 선호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해조류(Seaweeds)

  • ╶︎해조류가 대체 식품소재로 주목받는 가장 큰 이유는 지구온난화의 원인인 이산화탄소를 광합성으로 고정화하여 바이오매스를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담수 수계가 아닌 해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이용 저감그리고 육지가 아닌 바다를 사용하여 제한된 농경지 해결이라는 점에서 지속가능한 인류의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미래푸드 소재이기 때문임

  • ╶︎식품소재뿐 아니라 해안 근처의 거대조류는 어패족 자원의 먹이와 산란-서식지를 제공함으로써 해양바이오 생태계의 복원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과 최근 기후변화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거대 태풍이나 폭풍시 조류에 의해 파괴유실되는 인공양식시설에 비해 안전한 구조물로 사용되어 어족자원의 보호에 도움이 된다는 장점도 있음또한 해조류는 해양에서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흡수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저감과 해양의 산성화를 방지해 급속한 기후변화를 완화할 수 있으며폭우태풍폭풍과 같은 급격한 육지 담수의 해양으로 유입과정에서 과량의 인과 질소를 제거하여 유해 미세조류의 번식을 막아주는 환경정화 작용을 수행함

  • ╶︎한국을 비롯한 일본중국의 동북아시아 문화에서는 해조류가 식품으로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으나 서구권에서는 최근 들어 해조류가 건강식품으로 부각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 2016년 해조류 생산 통계자료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약 3천만 톤의 해조류가 생산되었으며 국가별로는 중국 47.5%, 인도네시아 38.7%, 필리핀 4.7%, 한국 4.5%, 대만 1.6%, 일본 1.3%, 말레이시아 0.7% 순으로 전세계에 공급되고 있는 해조류의 거의 대부분이 태평양의 아시아 국가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보고됨

  • ╶︎해조류는 다양한 미네랄(칼슘요오드칼륨셀레늄)과 비타민(특히 바티만 A,C,B-12)을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비-어류성 오메가-3 장쇄지방산수용성 다당체그리고 유용한 다양한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음

  • ╶︎또한 해조류는 종류에 따라 항염증프리바이오틱항산화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건강증진에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짐이 외에도 축산사료로 활용할 경우 80% 이상의 메탄가스의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구온난화 방지에 도움이 될 수 있음

  • ╶︎또한 중금속 흡착제거를 통해 해양의 중금속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해수중의 중금속 함량 분석에 인디케이터로 활용될 수 있음.

  • ╶︎식품 소재 측면에서는 해조류 다당체의 특이한 물성은 식품음료의약의료화학 등 다양한 소재로 활용 가능하며특히 생체적합도가 뛰어나 식품 이외에 바이오의료용 소재로 활용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됨농업소재로는 비료로 사용시 토양세균 및 곰팡이에 저항성이 높고보습력영양 성분이 뛰어나 토양의 비옥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

  • ╶︎하지만 해조류도 다른 식품소재와 마찬가지로 Vibrio vulnificus와 Vibrio parahaemolyticus와 같은 해양 감염성 미생물에 대한 오염가능성이 있으며우수한 중금속 흡착능으로 인한 중금속 및 요오드 과다 축적에 대한 우려가 있음더불어 해양조류 유래 톡신(toxin)이나 식물독소[phytotoxin]에 대한 노출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있음또한 해조류 단백질에 대한 알레르기 및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사고 이후에 방사능물질의 해양유출에 따른 해조류의 특정 핵종 물질의 축적그리고 해양오염 중의 하나인 거대 및 미세 플라스틱에 혼합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음

  • 세포기반의 인공배양 식품소재(Cell-based food production)

  • ╶︎세포기반의 인공배양 식품소재는 전통적인 육상이나 수계의 식품소재를 대규모 사육이나 양식 그리고 도축과 같은 프로세스를 거치지 않고 in vitro 상에서 동물세포 배양과 같은 방법을 통해 하나의 완전한 가축 개체 없이 원하는 부분의 육류만을 얻는 방법임

  • ⁎︎※ 세포기반의 육류소재는 animal-free, artificial, cell-based, cell-cultured, cellular, cuelty-free, cultivated, in vitro, lab-grown, staughter-free, synthetic, test tube, vat-grown과 같은 수식어로 알려져 있으며통일된 명칭 없이 ‘cultured, cell-based, cultivated’란 수식어들이 따라다니는데이는 무동물(animal-free)’, ‘청정(clean)’, 또는 무도축(slaughter-free)’의 육류라는 의미를 포함함

  • ╶︎세포기반의 육류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단계를 거쳐 일반적인 육류와 동일한 형태의 세포로부터 배양한 육류로 생산됨: (1) 원하는 동물로부터 원하는 부분의 세포 채취; (2) 세포 준비증식분화; (3) 3D 형태의 조직형성을 위해 마이크로캐리어나 주형에 세포부가 및 생물반응기를 통한 대량 배양; (4) 최종 세포로 만들어진 조직 회수;(5) 성형 및 첨가제 추가를 통한 식품 가공

세포기반의 배양육 기반의 푸드 생산의 기본적 개념

출처 : GFI(2022)

[그림 2] 세포기반의 배양육 기반의 푸드 생산의 기본적 개념

  • ╶︎세포로부터 육류 형태의 완제품 생산시 각 단계별 잠재적인 위험과 고려사항은 첫째동물감염 질병의 교차오염둘째잔여물과 부산물 발생셋째외부소재의 이입넷째미생물에 의한 오염이 있음(1)

 

[표 1] 배양육 생산시 잠재적 위험 및 고려할 단계

구분

동물감염 질병 교차오염

잔여물과 부산물

외부소재 또는 추가 프로세스

미생물에 의한 오염가능성

세포선별

 

생산

회수

 

 

식품가공

 

출처: FAO, Thinking about the future of food safety (2022)

  • (1)세포 선정시배양육에 사용되는 세포 채취시 살아있거나 도축된 동물로부터 동물 감염 질병의 교차오염이 있을 수 있으며특히 세포배양시 사용되는 동물유래의 배지는 바이러스미생물원생동물프리온 등의 감염 위험성이 상재함으로 우수위생관리(GHP, Good Hygiene Practices) 준수가 필요함특히 세포배양시 항생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잔류 항생제에 대한 논쟁 요소가 존재함

  • (2)성장배지 요소동물혈청 기반의 배양 배지는 항상 미생물 오염에 대한 우려가 항상 존재함해당 문제 해결을 위해 무혈청 배지 또는 이와 유사한 100여종의 배지가 사용되고 있음

  • (3)3D 지지체 부가세포배양을 통해 일정 크기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3D 지지체가 필요한데 세포 성장 후에는 제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식용 가능한 재질이어야 하며잠재적인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평가가 필요함

  • (4)물리화학적 특성 변화일정한 수준까지 세포가 세대를 계속하여 성장하는 과정에서 세포의 유전형 또는 후생유전적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어 상시 모니터링 필요함

  • (5)동결보존제세포주 보관시 사용되는 이뉼린이나 소비톨 같은 동결보존제 물질이 세포 배양시 포함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종 배양육에 포함여부 확인 필요함

  • (6)정 과정 중 미생물의 오염식품 가공이나 세포의 배양 등 공정상에는 항상 미생물의 오염 가능성이 내재하고 있어 GMP 및 GHP 수준의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와 최종 배양육 제품 제작시 사용되는 첨가제의 위해요소분석(Hazard Analysis)과 중요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 즉 해썹(HACCP)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 ╶︎최종 산물의 안전성 평가의 경우배양육을 사용한 식품제조에 대한 국제 가이드라인 제작을 위하여 2021년부터 유엔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와 국제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화학적 첨가제잔류물과 오염물질미생물 오염 평가독성과 알레르기 평가를 위한 화학생화학물리적 성분분석영양분 분석 등 다양한 관점에서 개별적인 배양육 사례별 분석이 시작되고 있으나현재까지 공식적인 가이드라인규정 등은 제시되지 않은 상황임

2.2 배양육 생산 최신 기술 동향


□ 배양육 관련 연구 논문 및 산업계 동향

  • 배양육 관련 논문 동향

  • ╶︎2021년도에 Good Food Institute(GFI, http://gfi.org)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산업체와 대학을 비롯한 연구기관에서 배양육에 대한 혁신적 연구 진행하고 있음. 2010년부터 ’21년까지 11년간의 배양육(cultivated meat)’ 연구 논문 조사결과, 2019년부터 논문 수가 2배씩 성장하여 2021년에는 거의 90편 정도의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남논문의 종류는 50여 편이 리뷰논문이며 나머지가 실험논문으로 알려져 있음(그림 3)

배양육 관련 논문의 출판 추이

출처 : GFI(2022)

[그림 3] 배양육 관련 논문의 출판 추이

  • ╶︎또한 GFI award research grant로 2021년에는 open-access R&D로 22개 2022년에는 15개의 기술이 선정되었음향후 배양육 분야의 다양한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현재 시장진입에 장해요소인 제품의 가격인하를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예상됨

  • 배양육 관련 산업계 동향

  • ╶︎2013년에 최초로 실험실 소고기 버거가 출시된 이후로 20년 12월 싱가포르에서 세포배양 통한 닭고기 너겟이 선보였으며, ’22년 현재 전세계적으로 156개 기업*이 유사한 기술을 기반한 제품 개발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됨(그림4)

  • ⁎︎국가별로 미국 43개사이스라엘 17개사영국 17개사싱가포르 12개사 등이 있으며이들 기업은 육류닭고기생선수산식품낙농식품 및 달걀 등 다양한 동물과 그 유래의 제품 생산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보유함

배양육 관련 회사들의 핵심 사업 분야 및 기술 정보

출처 : GFI(2022)

[그림 4] 배양육 관련 회사들의 핵심 사업 분야 및 기술 정보

  • ╶︎60% 이상의 기업이 배양육의 제형제조 기술을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있음나머지 40%는 실험실 단계의 세포배양배양최적화배지개발첨가물 개발 등의 업무를 주로 수행하고 있음(그림5)

  • ╶︎하지만 2022년 현재 미국과 싱가포르 2개 국가만 배양육의 상업적 허가가 이루어져 판매가 되고 있음

2022년도 기준 대륙별 국가별 배양육 관련 업체의 수(A)와 해당 업체의 핵심 산업별 분포도(B)

출처 : GFI(2022)

[그림 5] 2022년도 기준 대륙별 국가별 배양육 관련 업체의 수(A)
해당 업체의 핵심 산업별 분포도(B)

□ 최근(2019~2022)의 개별 기술의 개발 동향

  • 세포주(Cell lines)

  • ╶︎연구분야 범위: 배양육 개발의 세포주 연구는 현재 소비되고 있는 다양한 육류어류패류, 갑각류 등의 전분화능 줄기세포(Pluripotent stem cell)와 성체 줄기세포(adult stem cell) 등에서 세포 채취잠재적인 분화 성장대사특정 배지 등의 전반적인 연구분야를 포함함

  •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의 Sullivan 박사와 연구팀에서는 대서양 연어돼지 등의 다양한 동물과 어패류 등에서 배양육 개발에 사용된 세포주 채취를 위한 키트와 세포주 보관 등의 방법을 개발하고 있음

  • ╶︎스위스 ETH의 Bar-Nur, O. 교수 연구팀은 배양육 사용을 위해 섬유아세포(fibroblasts)를 바로 유도근육전구세포(induced myogenic progenitor cell)로 전환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근육 전구세포(Muscle progenitor, i.e. myoblast)를 저분자 물질과 혈청제거를 통해 근섬유(muscle fibers)로 분화시키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미국 플로리다의 Monte Marine Laboratory의 Dr. Marin, K.과 Dr. Walsh, C. 연구팀에서는 최적의 해양 배양육 어패류 개발을 위해 Redfish(Sciaenops ocellatus)와 whiteleg shrimp(Litopenaeus vannamei)에서 선별된 세포의 증식특성(Proliferative properties)과 분화능(differentiation potential)을 연구하고 있으며만들어진 세포주에서 분화 유도 근분화(inducing myogenesis)방법을 연구 중임또한 해양 동물 유래의 세포의 배양 및 유지를 위한 방법 및 제반 기술을 위한 연구를 수행 중임

  • ╶︎미국 Tufts University는 대서양 연어(Atlantic salmon)에서 근육줄기세포(myosatellite cell) 분리하여 연속 배양이 가능한 세포주 개발을 수행하고 있음특히 해당 세포주를 무혈청 배지에 적응시키는 방법을 통해 높은 분화능을 갖는 세포주 개발 연구를 진행 중임

  • ╶︎덴마크의 Aarhus University에서는 소에서 분리된 근육세포를 사용하여 보관시간방법 및 근육분화도의 확인을 통해 배양육에 사용되는 초기 세포주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 ╶︎싱가포르의 A*STAR 프로그램에서는 CRISP Meats Program(CentRe of Innovation for Sustainable banking and Production of Cultivated Meats)을 통해 식품으로 사용될 배양육 개발 위한 세포주 개발과 보관에 대한 연구를 수행 중임

  • ╶︎일본 게이오대학 Dr. Tsuruwaka, Y.와 교토대학미국 UC Davis Dr. Shimada, E. 교수 공동연구팀은 버려지는 쥐치(thread-sail tilesfish)의 지느러미(fish fins)로부터 fibroblast와 유사한 세포(fibroblast-like cells, ‘deSc’: dedifferentiated Stephanolepis cirrhifer)를 분리하여 유전자 조작없이 다양한 혈청의 처리 또는 여러 가지 배지에서의 배양을 통해 신경필라멘트(neurofilaments)와 지방세포(adipocytes)로 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다층 및 3원 세포배양을 통해 회초밥에 제작에 적용가능한 어류 배양육 ‘aquatic clean meat’ 기술을 선보임[20]

  • ╶︎노르웨이의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의 Dr. Per Bruheim 교수 연구팀은 최초로 랍스터(Lobster, Homarus gammarus)의 근육모세포(primary muscle cells)를 분리하여 배양하는 데 성공함

  • ╶︎미국 Tufts University의 Dr. Kalpan 교수팀은 소 근육에서 분리된 위성세포(satellite cell)에 유전적으로 Bovine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TERT)와 Cyclin-dependent kinase 4(CDK4)를 코팅하는 유전자를 세포내에서 항시 발현할 수 있도록 CMV 프로모터 하에 클로닝하여 세포에 도입 후장기배양을 통해 세포의 사멸을 조사한 결과 TERT에 의해 세포내 telomere가 유지되고 CDK4에 의해 cell cycle progression이 유지되는 죽지 않는 세포(immortalized bovine satellite cells)를 개발함

  • 세포배양 배지(Cell culture media)

  • ╶︎연구분야 범위: 세포배양 배지는 배양육 생산을 위한 영양소 및 성장인자 등 세포배양에 사용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함이 분야는 완제품인 배양육이 식품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비동물성(animal-free) 및 식품 규격에 맞는 첨가제(food grade ingredient)의 사용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체 배양육 생산공정에서 가장 높은 생산 비용이 소모되는 분야임

  • ╶︎따라서 본 기술은 배양육 개발 있어 생산 단가저감을 통한 시장진입과 직결되므로 핵심 기술적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공개되어 있지 않고 어떠한 대상에 기존 기술 대비 소요비용 절감에 대한 내용만 알려져 있음

  • ╶︎일반적으로 세포배양시 동물유래 혈액의 혈청을 사용하는데 이 혈청에는 성장인자들단백호르몬지질영양분 등이 함께 포함되어 있음비동물성 배지 개발에 있어서는 대다수의 기술이 무혈청배지(serum free medium) 개발과 세포배양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성장인자(예를 들어 TGF-β1, FGF2)와 단백질(albumin, transferrin)을 재조합 단백질이나 식물체에서 대체 단백질을 추출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음배지에 들어가는 영양분은 미세조류에서 추출하여 첨가하는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음

  • 지지체(Scaffolding)

  • ╶︎연구분야 범위: 배양육의 세포 배양시 일반적인 육류 모양으로 세포가 성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지지체로영양성분 및 산소 전달세포 성장시 부산물의 제거와 부착된 세포의 분화를 용이하게 하는 소재임특히 배양 세포와의 친화성과 부착이 잘되는 최적의 소재식용가능성 및 생산단가가 핵심 고려 요소임

  • ╶︎중국 Zeijang 대학 연구팀에서는 어류 유래의 젤라틴(gelatin)과 알지네이트(alginate)를 바이오잉크의 원료로바이오프린터 기술로 p53 저해제와 Yap 활성제를 부가하여 Tgf-β와 Notch signal을 저해하는 방법을 통해 어류근세포(Piscine satellite cells, PSCs)와 지방세포의 충진(filling)하여 20x12x4 mm의 3차원적인 조직-같은 어류 필렛을 제작함

  • ╶︎포르투갈 Lisbon 대학팀에서는 해조류 유래의 κ-Carrageenan 지지체를 섬유화한 바이오잉크를 사용하여 L929 마우스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배양하는 데 성공하였으며향후 sea bass cells을 전기방사하여 해당 소재에 적용할 예정임

  • ╶︎또한 alginate, gelatin 등 다양한 식용가능한 고분자 소재를 이용하여 식물 단백질을 코팅하여 배양된 세포를 고정화하는 방법곰팡이 균사체를 배양하는 방법고분자 소재 표면의 개질을 통한 세포고정화마이크로캐리어 등 여러 가지 소재 개발을 통해 배양육의 배양 또는 성형을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음

  • 생물공정 디자인(Bioprocess design)

  • ╶︎연구분야 범위생물공정 분야의 연구는 배양육 제조를 위한 다양한 인자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가 부가된 배양기에서 사용되는 세포배양 기술 뿐 아니라 세포의 회수 및 육류 제품 가공들의 일련의 모든 공정기술을 포함함

  • ╶︎2022년에 보고된 바에 의하면 Believer Meats사에서 chicken fibroblast 세포를 무혈청 배지를 사용하여 연속배양 시스템으로 살아있는 세포이면서 유전자의 변화가 없는 108x106 cells/mL의 고농도 세포배양을 수행함해당 기술은 리터당 360그램의 단백질을 생산하는 것과 동일한 수준임

  • ╶︎아직까지 생물공정 연구분야는 배양육의 세포주배양배지지지체 개발 등의 여타의 기술에 비해 기술 개발이나 데이터가 축적되지 않고 모델링이나 이론적인 부분에 머물러 있음대표적인 예로 미국 테네시 대학에서 컴퓨터 유체 동력학 모델링(Computational fluid dynamic modeling)을 사용한 생물반응기에서 배양육 세포 모델링에 대한 보고가 있음

  • ╶︎영국 University Colleague London 연구팀에서 새로운 생물반응기 내의 impeller 특성 연구를 통해 동물세포 배양시 세포 혼합시에 사용되는 에너지 감소 및 세포에 영향을 주는 전단응력을 줄일 수 있는 반응기 설계를 연구 중임

2.3 배양육의 환경·사회적 영향


□ 배양육 산업의 환경적 영향 전망

  • 지구적 환경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배양육 산업

  • ╶︎2018년에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에 보고된 바에 따르면배양육은 소고기돼지고기닭고기에 비해 토지사용이나 온실가스 배출량은 낮으나생물배양기를 통해 생산될 때 각각의 육류 제품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2~6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아직까지는 에너지 소비 비율이 높은 제품으로 여겨지고 있음

  • ╶︎배양육이 기존 육류와 비교하여 환경부하를 얼마 줄일 수 있는지에 관한 또 다른 연구로는 영국의 Bath 대학과 미국의 오하이오주립대학에서 수행한 ’22년에 배양육에 대한 전과정평가(LCA) 보고가 있음

  • ╶︎국 Bath 대학에서는 실험실 규모의 Hallow fiber bioreactor를 사용하여환경적 부하를 줄이기 위해 최적 배양배지최적 대사 세포주식물 가수분해 아미노산 소스재생에너지를 사용한 발효기 배양을 모델로 하였으며미국 오하이오주립대는 파일럿 스케일의 발효기에서 생산된 배양육 17%와 10%의 콩 단백질코코넛오일 그리고 다른 식품첨가제를 넣은 하이브리드 햄버거를 최종 제품으로 모델로 하였을 때일반적으로 87%의 온실가스 저감효과와 90%의 경작지 사용 저감, 96% 물 사용 저감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

  • ╶︎2023년도 배양육에 관련된 15개사의 데이터로 다시 업데이트된 전과정평가에서 환경부하에 대한 영향을 온실가스배출 총량(carbon footprint), 토지이용도(land use)대기오염(air pollution)토양산성화(soil acidification)해양부영양화(marine eutrophication)에 대한 가금류소 유래의 육류와 배양육을 비교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월등하게 배양육이 환경부하를 줄여줄 수 있는 제품으로 확인됨

  • ╶︎하지만 이들 보고서의 경우는 환경친화적인 다양한 변수(예를 들어 재생에너지의 사용이나 식물성 단백질등을 사용하여 이론적으로 환경친화적인 배양육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음

□ 배양육 제품의 사회적 허용에 대한 전망

  • 소비자의 구매 및 대중의 수요에 대한 전망

  • ╶︎일반적인 유전자 조작 식품이나 인공적인 감미료에 대한 사회적 호감도를 고려할 때 ‘in vitro’나 ‘lab-grown’이라는 개념을 갖는 배양육에 대해 소비자가 호감적이지 않은 것이 사실임

  • ╶︎2018년에 조사된 바에 의하면 배양육과 식물성 고기(vegetarian meat)에 대한 호감도를 조사했을 때 배양육에 대한 이미지는 현저히 낮게 나타남다만 최근 지구적인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한 우려에 따라 배양육에 대한 인식 변화가 시작되고 있음

  • ╶︎하지만 최근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물가 상승으로 인해 전통적인 육류 제품보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배양육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해당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의 실적 저하로 인한 투자저하에 대한 우려가 있음

  • 미래 배양육 산업에 대한 불확실성 존재

  • ╶︎현재까지 배양육 제품이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는 국가는 미국과 싱가포르에 한정되어 있어, 소비자의 평가에 의한 육류 제품과의 비교가 가능한 상태가 아니며기존에 육류제품에 비해 안전성이나 식품으로써의 영양그리고 환경문제가격경쟁문화적인 수용 등 다양한 요소들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해당 제품의 사회적 수용 여부는 아직까지는 불확실함

  • ╶︎또한 해당 제품의 규제나 국제적인 표준화 등이 확립되지 않고 개별국가에서 자율적인 기술 개발 단계에 있는 상황이라향후 각국의 규제 여부나 국제표준화가이드라인에 따라 개발된 기술의 방향이나 최종 제품의 허가나 시장 점유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시장의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음

  • ╶︎하지만 현재의 기술 발전 추이와 국가별 투자 추세를 볼 때 배양육 산업과 해당 분야의 연구는 급속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다양한 국가에서 출판된 보고서와 논문들의 전망에 따르면 2050년에 배양육 제품이 범용적으로 상업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3. 결론 및 시사점


□ 앞으로의 전망

  • 미래푸드 분야는 인류의 생존을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 개발 기술

  • ╶︎미래푸드 분야는 인구증가와 전세계적 기후의 급격한 변화그리고 미세먼지플라스틱의 해양 오염 등과 같은 글로벌 환경문제로 미래를 위한 선택이 아닌 식량의 안전과 안보를 위해 확보해야할 우선 기술로 부각되고 있음

  • ╶︎과다한 육류 소비에 기인한 온실가스 배출양의 증대가 가져오는 부작용으로 탈육류 소비를 위한 방법으로 대체식품소재의 개발이 향후 점차 증대할 것으로 예상됨

  • ╶︎특히 2030년을 목표로 미국과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 식물유래의 대체 식품 개발에 대한 투자와 제품 개발이 매년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동물 유래의 대체 단백질 또는 식품 분야는 향후 5~7년 내에 일정 수준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배양육 기술의 경우 다수의 보고서와 리뷰논문에서 2050년에 대한 상업화 전망을 내놓고 있으나현재의 기술 발전 추이나 기존 식물유래의 단백질 소재 분야와 배양육 기술의 하이브리드 제품 개발이 이미 진행되고 있어 예상보다 빠른 기간에 배양육 제품 또한 시장에 나올 가능성이 있음

  • 미래푸드 분야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융합 학문을 활용한 기술

  • ╶︎미래푸드 분야 기술 중 배양육 기술은 현재 바이오분야의 첨단기술인 줄기세포 연구나 오가노이드 분야를 인간이나 실험용 동물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식품으로 활용되는 축산동물에서 해양 어류패류갑각류 등의 세포를 사용하여 해당 동물의 조직을 만드는 미래푸드 기술로 활용하는 것임이는 역으로 해양동물 유래의 세포를 활용한 과학적 발견 또는 응용기술이 줄기세포나 오가노이드 분야에 교차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

  • ╶︎특히 배양육 개발의 기본 기술인 세포 분리배양배양기 제작스케일 업 등은 기존의 동물세포 배양을 통한 치료용 세포주단백질 의약품 생산 등에도 적용 가능한 기술이므로 배양육 생산가격을 낮추기 위한 소재나 공정 기술 개발은 바이오 의료소재 생산 기술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또한 생체친화도를 갖는 바이오 소재(Biomaterials) 개발과 이를 활용한 바이오잉크바이오 프린터 등 3차원 형태를 만들어 내는 기반 기술도 다양한 식물이나 미생물 유래의 바이오학 소재재조합단백질생리활성물질 등과의 합성으로 원하는 형태의 세포기반의 기능성 푸드 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바이오의약품 인허가에 비해 규제나 시장 진입이 비교적 용이한 식품기술에 적용을 통해 급격한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됨

□ 해결해야할 문제점

  • 미래푸드 제품의 불확실성 존재

  • ╶︎현재 미래푸드 제품의 경우 국제적인 가이드라인 명확하게 정립된 것이 아니고개별국가에서 개별 제품에 따라 식품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상황임향후 정부나 국제기관의 규제나 가이드라인에 따라 특정 제품의 시장 출시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기 떄문에 관련 기술 개발이나 제품 개발이 민감한 측면이 있음

  • ╶︎또한 식품은 사회적으로 소비자의 선호도나 기호에 따라 상품의 수용 여부가 결정되는데, 현재는 미래푸드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향후 제품 출시 이후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항상 내재되어 있음

  • ╶︎따라서 미래푸드 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가이드라인이나 표준화된 분석평가 기술 등을 통하여향후 인허가를 위한 제품 개발이나 품질생산공정 등의 정성정량 표준화 방법 및 국제 표준화 규정 준수 등을 미리 대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