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KRIBB 워킹그룹] 바이오플라스틱 동향
- 등록일2024-10-07
- 조회수2239
- 분류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환경기술, 제품 > 바이오자원
-
저자/소속
권길광 외 11명/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생물학연구센터
-
발간일
2024-10-07
-
키워드
#바이오플라스틱#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재생가능한 바이오플라스틱#천연폴리머 기반#합성폴리머 기반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바이오플라스틱 동향
2024년도 KRIBB 워킹그룹 이슈페이퍼 제4호
◈ 목차
1.개요
2.주요 동향 및 이슈
2.1 바이오플라스틱 규격
2.2 바이오플라스틱 종류
2.3 바이오플라스틱 산업 동향3.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바이오플라스틱(Bioplastic)
●바이오플라스틱은 기존의 석유 기반 플라스틱 사용 증가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음
-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분해 기간은 5년 이내로 폐기 후 빠르게 분해되며, 제작 과정 중 탄소 배출량이 석유 기반 제품 대비 절반 수준으로 온실가스 감소에 효과적●전세계적으로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산업 발전을 위해 석유 대체 바이오플라스틱에 대한 정책이 마련되고 있음
- 미국은 2030년까지 석유 소비량 30%를 바이오화학제품으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
* 바이오우선사용(Biopreferred) 프로그램을 통해 연방정부가 공공기관 우선 구매 대상 바이오매스 유래 제품 품목 지정(‘21, 139개)
* 바이오플라스틱을 포함한 바이오 제조경쟁력 강화를 위한 합성생물학 기반의 바이오파운드리기술 개발 추진(Agile Biofoundry)
- EU는 민관 협력의 RoadtoBio 프로젝트를 통해 2030년 화학 원료의 25%를 바이오 기반 제품으로 대체하기 위한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 EU의 대표 9개 품목으로 화장품, 페인트 및 코팅제, 농화학제품, 계면활성제, 윤활유, 인조섬유, 용매제, 접착제, 플라스틱/고분자를 선정하여 로드맵을 발표
- 국내는 탄소중립 추진, 플라스틱 문제 해결, 화이트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대책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하였으며, 산업계와의 협력 확대를 추진
* 「생활폐기물 탈(脫)플라스틱 대책(’20.12.)」을 발표하고 대체 플라스틱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100% 바이오플라스틱으로의 전환을 추진(2050년 까지)●바이오플라스틱은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에서 유래된 플라스틱(바이오기반 플라스틱, Bio-based Plastic) 또는 자연환경에서 분해될 수 있는 생분해성 특성을 가진 플라스틱(생분해성 플라스틱, Biodegradable Plastic)을 총칭
- 바이오기반 플라스틱: 식물, 미생물 등에서 추출한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여 만든 플라스틱. 일부는 기존 석유 기반 플라스틱과 유사한 특성을 가짐
* 바이오기반 폴리에틸렌(bio-PE,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bio-PP, PolyPropylene), 폴리락트산(PLA, PolyLactic Acid) 등
- 생분해성 플라스틱: 자연 환경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플라스틱. 일부는 석유 유래 플라스틱이며, 특정 조건에서 분해
*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PolyHydroxyAlkanoate),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그림 1] 원료와 생분해성에 따른 플라스틱 분류
출처 : APCO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