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첨단 바이오 연구장비] 첨단바이오 R&D 장비 개발동향과 국산화 제고 방안
- 등록일2024-10-16
- 조회수1414
- 분류제품 > 바이오장비
-
저자/소속
임현의/한국기계연구원 바이오기계연구실 & 자연모사연구단장
-
발간일
2024-10-24
-
키워드
#첨단바이오 연구장비#국산화 제고 방안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첨단바이오 R&D 장비 개발동향과 국산화 제고 방안
첨단 바이오 연구장비
임현의 / 한국기계연구원 바이오기계연구실 & 자연모사연구단장
◈ 목차
1.배경
2.첨단 바이오 R&D 장비의 정의
3.첨단 바이오 R&D 장비 산업 및 개발 동향
4.결론 및 제언
◈본문
1. 배경
미래를 바꿀 게임체인저이자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첨단바이오 이니셔티브가 2024년 4월 25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발표되었다. 전통적으로 이루어지던 바이오 연구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등장은 바이오연구의 혁신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자동화와 로봇의 접목을 기반으로 하는 자율제조는 바이오산업의 변화를 예측케 한다.
첨단바이오기술은 바이오테크놀로지(Biotechnology), 즉 생물학 시스템, 생명 유기체, 또는 파생물을 이용하여 특정 용도의 제품이나 프로세스를 만들거나 변형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첨단바이오기술은 기존 생명과학 분야의 한계를 극복하게 해주는 핵심‧신흥 기술로서 차세대 유망산업 혁신을 위한 원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반도체, AI와 같이 ICT 기술과 융합 시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여, 의료, 환경, 에너지, 농업 등 산업 전반의 혁신과 새로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바이오경제’의 부상 원동력이 될 것이라 기대를 받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첨단바이오의 디지털화·플랫폼화·전략기술화를 가속화하고 AI·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과 융합으로 기존 바이오 R&D 한계(고비용·장기간·고난도) 극복을 위한 전략을 발표 중이다. 하지만 첨단바이오 산업의 디지털융합, 바이오제조의 발전에 핵심요소로 작용하게 될 첨단바이오 장비는 글로벌기업 위주의 독점 시장이 형성되어 국내 생태계가 취약하다. 본고에서는 첨단 바이오 R&D 장비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2. 첨단 바이오 R&D 장비의 정의
가. 바이오 장비
바이오산업은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하거나 이와 관련된 모든 산업 활동으로, 바이오 장비는 바이오산업에서 사용되는 장비라 볼 수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표준(KS J 1009)으로 바이오산업의 8개 업종에서 바이오 장비 및 기기 산업이 정의되어 있다.
[그림 1] 바이오 산업 업종 분류
바이오장비및기기 산업(BioinstrumentandBioequipmentIndustry)은 생물체에서 유래된 물질이나 생명공학 기술이 포함된 연구개발 및 산업적 응용을 목적으로 활용되는 장비 및 기기, 공정용 부품을 제조 및 수입, 연구개발하는 산업 활동으로, 바이오장비 및 기기 산업에 해당하는 제품 용어는 세부적으로 6개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