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KRIBB 워킹그룹] 뇌질환 관련 디지털 의료기기 연구동향

  • 등록일2024-11-07
  • 조회수2140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기기기술

 

 

[KRIBB 워킹그룹] 뇌질환 관련 디지털 의료기기 연구동향

2024년도 KRIBB 워킹그룹 이슈페이퍼 제9호

 

◈ 목차

  • 1.개요

  • 2.주요 동향 및 이슈

  • 3.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

1. 개요

  • 뇌질환 유병율 및 치료법 연구 국내외 현황

  • 뇌는 신체 전반을 통제하는 기관으로 뇌질환 발병 시 기본적인 생활의 질을 현저히 저하시킴. 최근까지의 과학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치매, 파킨슨병 및 기타 난치성 발달, 정서장애 등의 근본적 치료법이 부재함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퇴행성 뇌질환의 경우 2023년 치매 환자 67만 명, 파킨슨병 14만 명, 뇌졸중 환자가 65만 에 이르며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그밖에도 ADHD 20만 명, 뇌전증 16만 명, 불면증 75만 명, 발달장애 27만 명 등 정신질환 및 기타 뇌 발달장애 또한 마찬가지로 증가함

  •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도 뇌질환 환자 수는 각각 치매 5,500만 명, 파킨슨병 850만 명, 뇌전증 6,500만 명 등 에 이르며, 국내와 마찬가지로 매년 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병원인과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출처 : 2)건강보험심사평가원 HIRA 빅데이터 개방포털

[그림 1] 치매 환자수 연도별 추이


출처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HIRA 빅데이터 개방포털

[그림 2] 뇌전증 환자수 연도별 추이


  • 뇌질환 치료법 연구 현황

  • -︎뇌질환 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치료제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어 치료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현재 개발 중인 모든 약물의 10%가량이 뇌질환 약물이며, 그 중 가장 큰 비율을 치매와 파킨슨병이 차지하고 있음

  • -︎미국 국립보건원(NIH)는 뇌세포와 시냅스 연결망을 이해하기 위해 2014년부터 Brain Initiative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휴먼 게놈 프로젝트’와 같은 ‘뇌지도’를 작성하여 뇌질환을 정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해당 프로젝트에 2026년까지 총 50억 달러가 투입될 예정임

  • -︎중국 정부 또한 ‘중국 뇌 프로젝트(CBP)’를 개시하여 ‘인지 기능 담당 신경’, ‘뇌 장애 진단 및 치료’, ‘뇌 기능을 모방한 컴퓨팅’ 등 크게 세 개의 영역을 중점을 두고 50억 위안의 투자를 결정한 바 있음

  • 뇌질환 치료를 위한 첨단바이오 기술 – 유전자 치료제

  • 유전자치료는 유전자를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에 활용하는 의학적 치료 기법을 의미하며, 이를 응용하여 개발된 약물 또는 기법 등이 유전자치료제로 통칭됨

  • -︎질병의 증상 및 진행 조절에 초점을 둔 기존의 약물과 달리, 유전자 수준에서 원인 유전자를 교정하거나 정상 유전자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질병에 대한 근본적인 대응이 가능함.

  • -︎환자의 유전자 프로필에 기반한 맞춤형 치료, 한 번의 투여로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 원샷 치료법, 약물 내성 극복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기존 약물과 대비되는 장점을 가짐

  • -︎최근 5년 간의 유전자치료제의 임상 연구는 신경근육장애, 유전성 망막질환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질환을 타깃으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어옴

  • -︎2023년, 현재 임상 연구가 진행 중인 유전자 치료 연구는 3826 건이며 질환 별로 암 (68.5%), 유전 질환 (12.8%), 감염병 (5.0%), 심혈관계 질환 (5.0%), 뇌신경계 질환 (1.7%), 안구 질환 (1.5%), 면역계 질환 (0.4%) 등의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유전자치료제 개발기업은 2022년 기준 1457개사이며 파이프라인은 3,343개로, 국내외 기관과 기업의 투자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임

  • -︎유전자 치료제 시장은 기존 신약 시장 (저분자합성의약품 : 5.2%, 항체의약품 : 5.2%, 백신 : -4.1%)의 성장률에 비해 높은 성장률 (49.1%)을 보이고 있음


출처 : 집필진 작성

[그림 3] 유전자치료제의 종류와 작용기전 개요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로그인 후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