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조절 연구 동향

  • 등록일2024-12-16
  • 조회수1430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조절 연구 동향

[KRIBB 워킹그룹]



◈본문

1. 개요

■︎ 마이크로바이옴의 활용

◦︎ 마이크로바이옴이란?

- 마이크로바이옴은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 집단(Microbiota)의 유전체(Genome)를 의미하며, 휴먼 마이크로바이옴은 사람 피부나 소화기관 등 인체에 공생하는 미생물 군집을 뜻함

-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man gnome poject, HGP)를 통해 인간이 약 2만개의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를 보유하며 이는 초파리와 크게 다르지 않았기에, 이후 체 내외 미생물 군집에 대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man microbiome project)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그림 1)

- 한 사람의 몸에 공생하는 미생물의 수는 약 60~100조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사람 유전자의 수백 배에 달하는 유전정보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됨


출처: The Integrative HMP (iHMP) Research Network Consortium, Nature 2019

[그림 1]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uman microbiome project)1)


-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약 96%에 달하는 장 마이크로바이옴은 영양, 면역, 대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숙주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마이크로바이옴의 불균형(Dysbiosis)은 면역 반응 이상 및 대사장애를 유발하여 다양한 질병과 연관이 있음이 보고됨

- 장 마이크로바이오타는 약물의 약리학적 동태(Pharmacokinetics, PK)와 약리작용(Pharmacodynamics, PD)에 주요하게 관여함2)

- 유럽의 MetaHIT 프로젝트(Metagenomics of the human intestinal tract; 사람 소화기계 메타지놈 프로젝트)3)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발전 가능성으로 만성질환의 조기 진단, 개인 맞춤형과 생애 주기별 헬스케어 개발, 특정 질환 치료 개발 등을 제시하였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로그인 후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