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합성생물학 동향]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항생제 개발 연구 동향

  • 등록일2025-07-21
  • 조회수3952
  • 분류생명 > 생명과학,  생명 > 생물공학
  • 저자/소속
    양동수, 남지우, 김유식/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발간일
    2025-07-21
  • 키워드
    #합성생물학#항생제 개발#연구 동향
  • 첨부파일
    • pdf [BioINpro 165호]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항생제 개발 연구동향.p... (다운로드 71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항생제 개발 연구 동향


합성생물학 동향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양동수 교수

 

남지우, 김유식


◈ 목차

  • 1. 서론

  • 2. 새로운 항생제 발견을 위한 전략


  • 3. 잠재적 생합성 유전자군(Cryptic BGCs) 활성화를 통한 새로운 항생제 발견


  • 4. 항생제 생산량 증진 전략

  • 5. 항생제의 다양화

  • 6. Conclusion


◈본문


1. 서론


 항생제의 오남용은 병원균의 빠른 진화를 촉진시켜 다제내성균(MDR pathogen)의 등장을 초래하였다. 2019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500만 명이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이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의 시급성을 부각시키고 있다[1]. 그러나 병원균의 빠른 진화 속도에 비해 항생제의 개발 속도가 미처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이에 따라 제약회사의 연구개발(R&D) 투자도 점차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이러한 상황에서 신속한 항생제 발굴개발생산을 위한 연구는 필수적이며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최초의 항생제는 알렉산더 플레밍(Alexander Fleming)이 Penicillium notatum에서 발견한 페니실린(penicillin)으로2차 세계대전 당시 많은 환자의 사망률을 크게 낮추는 데 기여하였다항생제의 중요성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은 이후다양한 항생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항생 활성을 지닌 대부분의 물질이 이 시기에 발견되었다[2]. 이들 물질은 주로 Actinomycetes 속에 속하는 방선균에서 생산되며실제로 1945년부터 1979년까지의 항생제 개발 황금기(Golden Age of Antibiotics)’ 동안 발견된 항생제의 약 55%가 방선균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3,4,5].

 

방선균은 다수의 생합성 유전자 클러스터(Biosynthetic Gene Cluster, BGC)를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2차 대사산물 생산의 잠재력을 지닌다특히방선균의 대표적인 2차 대사산물인 폴리케타이드(Polyketide)는 폴리케타이드 합성효소(Polyketide synthase, PKS)에 의해 합성되며많은 종류의 항생제를 포함하고 있다그러나 방선균은 유전자 조작이 어렵고 배양 조건이 까다로워 산업적 생산에 있어 생산성과 수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6]. 따라서 방선균뿐만 아니라 다양한 박테리아에서 2차 대사산물 속 항생물질을 발견하고이를 생산하는 전략은 굉장히 중요하다.


 

 

[그림 1] 항생제 발견 타임라인

출처 “Metabolic engineering approaches for the biosynthesis of antibiotics”, Microbial Cell Factories, 24:35 (2025)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