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이슈페이퍼] 첨단바이오의약 제조기술 현황

  • 등록일2025-07-31
  • 조회수4099
  • 분류제품 > 바이오의약


 첨단바이오의약 제조기술 현황

이슈페이퍼


◈ 목차

  • 1.개요

  • 2.주요 동향 및 이슈

  • 3.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첨단바이오의약품 정의 및 범위

○ 첨단바이오의약품은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첨단재생바이오법, 2020년 시행)에 따라 정의되며기존의 화학합성의약품이나 전통적인 생물학적 제제와는 달리 세포조직유전물질 등 생물학적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하는 의약품을 포괄함

기존 의약품과는 달리 생물학적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하는 고도화된 치료제로서법적·제도적으로 명확한 정의와 분류가 요구되며첨단재생바이오법에 따른 정의는 제품 개발규제 승인임상 적용 시 기준이 되며별도의 관리체계를 필요로 하는 규제의 기준으로도 작용함

첨단재생바이오법에서는 첨단바이오의약품을 약사법」 2조 제4호에 명시된 정의에 따라 기존의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 외에 조직공학제제첨단바이오융복합제제에 해당하는 의약품으로 규정하고 있음 (표 1)


[표 1]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정의


분류

정의

세포치료제

사람 또는 동물의 살아있는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증식하거나 선별하는 등 물리적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조작하여 제조한 의약품

(다만생물학적 특성이 유지되는 단순분리세척냉동해동여과원심분리세포선별 등 최소한의 조작만을 거쳐 제조된 것으로서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수술 또는 시술에 사용하기 위해 해당 환자의 세포로 제조한 의약품은 제외)

유전자치료제

유전물질의 발현에 영향을 주기 위해 투여하는 의약품으로서 유전물질을 함유하거나,

유전물질이 변형·도입된 세포를 함유한 의약품으로 세포의 범위는 사람 세포에만 국한되지 않음

조직공학제제

조직의 재생복원 또는 대체 등을 목적으로 사람 또는 동물의 살아 있는 세포나 조직에 공학기술을 적용하여 제조한 의약품

첨단바이오융복합제제

세포치료제유전자치료제조직공학제제와 의료기기법」 2조 제1항에 따른 의료기기가 물리적ㆍ화학적으로 결합(융합복합조합 등을 포함한다)하여 이루어진 의약품

(다만주된 기능이 의료기기에 해당하는 경우는 제외)

기타 총리령으로 정하는 의약품

· 이종이식제제 동물의 살아있는 장기를 물리적·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조작하여 제조한 의약품

· 이종이식융복합제제 이종이식제제와 의료기기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의약품으로 주된 기능이 의료기기에 해당되는 경우는 제외


출처식품의약품안전처 [1]


□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의 범위

 ○ 첨단바이오의약품의 제조는 전통적인 의약품 제조와는 달리생물학적 원료 (세포유전물질 등)의 취급과 조작을 포함하며그 과정에서의 복잡성고위험성개별 맞춤성 등의 특성을 고려해야 함

주요 제조 단계로는 원료 확보 (인간 또는 동물 유래 세포조직유전자 등), 세포 조작 또는 유전자도입 (배양증식분화 유도바이러스 벡터 이용 등), 정제 및 품질관리 (불순물 제거무균성 보장특성 분석), 최종 제제화 및 보관 (냉동 보관 등 특수 조건)이 있음 (표 2)

GMP (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에 따라 제조소는 엄격한 관리가 진행되어야 하며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업 허가를 반드시 필요로 함


[표 2] 첨단바이오의약품 분류 및 가이드라인 적용 범위


원료 종류

제품 유형

주요 제조 단계

가이드라인 비적용

가이드라인 적용

사람·동물 유래

유전자치료제
(유전자 변형 세포)

세포 공여·조달·시험

벡터 생산세포 가공

유전적 변형

- MCB/WCB 구축

제형화·충전

체세포 치료제

세포 공여·조달·시험

- MCB/WCB 또는 Cell Pool 구축

분리·배양·정제

비세포성분 배합

제형화·충전

조직공학제제

세포 공여·조달·시험

초기 가공·정제

세포은행 또는 Cell Pool 구축

배양·배합

제형화·충전

-사람·-동물 유래

유전자치료제
(안정한 세포주 기반)

플라스미드 제조

생산 세포주 구축

벡터 제조

제형화·충전

유전자치료제
(일시적 생산 시스템)

바이러스 제조

세포 시스템 구축

벡터 제조

제형화·충전


출처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고시 [2]


□ 바이러스 기반 유전자치료제 제조 기술

 ○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Adeno-associated virus; AAV) 기반 유전자치료제 상용화 

AAV 기반의 생체 내 (in vivo유전자치료제는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되어 주요국을 중심으로 활발한 임상시험이 수행되어지고 있으며 허가 및 상용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uniQure의 Glybera가 2012년도 유럽에서 지단백질지질분해효소 결핍증 (Lipoprotein lipase deficiency; LPLD)를 대상으로 첫 허가 및 상용화된 이후로 망막질환 (Luxturna), 근신경계질환 (Zolgensma), 혈우병 (Roctavian, Hemgenix, Beqvez) 등 다양한 적응증 및 타겟 조직 맞춤 유전자치료제가 개발됨 (그림 1)

특히-바이러스성 유전자 전달체 (Lipid nanoparticle; LNP )와는 차별성 및 특장점으로 간 이외의 조직에도 효과적인 치료유전자의 전달 및 발현이 가능하다는 점이 주요함


 

[그림 1]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기반 유전자치료제 주요국 허가 상황


 

□ -바이러스 기반 핵산치료제 제조 기술

 ○ 핵산치료제 의약품의 중요성

핵산치료제는 DNA 및 RNA를 기반으로 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직접 조절하거나 치료유전자를 세포 내에 도입함으로써 질병의 근본 원인에 개입하는 혁신적 접근 방식으로유전자치료제로 분류되는 첨단바이오의약품임

최근 유전자 수준에서 질병을 조절하거나 치료하는 기술이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전통적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핵산 기반 치료제가 첨단바이오의약품 분야의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음

유전자 변이에 따라 맞춤형 설계가 가능해 정밀 의료를 실현하는 핵심 기술이며, 이를 통해 핵산치료제는 유전적 결함에 의한 희귀질환이나 난치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음

또한핵산치료제는 설계와 생산이 빠르고 유연하다는 강점을 지니며실제로 COVID-19 백신의 신속한 개발을 통해 그 실용성과 속도가 입증되었음 [3]

이는 첨단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질병 치료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키는 핵심 기술로정밀성속도적응력융합성산업성을 모두 갖춘 전략적 치료제일 뿐만 아니라향후 의료 현장과 국가 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성장동력으로 발전이 예상됨

 ○ mRNA-LNP 제조 공정 개요

대표적인 핵산치료제인 mRNA 치료제의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은 주요 단계로 구분됨 (그림 2)

(1) DNA 템플릿 서열 설계 및 최적화

  • 표적 단백질의 특성과 발현 효율을 고려하여 mRNA 코딩 서열 (CDS), 5-UTR, 3-UTR, 폴리아데닐화 서열 (polyA tail) 등을 설계 및 최적화함

(2) DNA 템플릿 제조 및 정제

  • 박테리아 발효를 통한 플라스미드 DNA 생산혹은 PCR 기반의 무세포 합성법 등을 통해 DNA 템플릿을 제조하고선형화 및 정제를 거쳐 IVT용 DNA 확보함

(3) IVT (in vitro transcription)를 통한 mRNA 합성

  • T7 RNA 중합효소를 활용하여 세포 외 환경에서 mRNA를 효율적으로 합성하며, 연속식 IVT 공정 및 공정 제어 기술이 적용되어 생산성과 일관성이 향상되고 있음

(4) mRNA 정제

  • DNase 처리크로마토그래피 (oligo-dT, HPLC, SEC) 등을 활용하여 불순물, dsRNA, 미반응 성분 등을 제거하고고순도의 mRNA를 확보함

(5) LNP 캡슐화 및 최종 포장 단계

  • 이온화 지질인지질콜레스테롤, PEG-지질을 포함하는 LNP를 미세유체 기반 공정으로 제조하여 mRNA를 효과적으로 캡슐화하고원하는 입자 특성과 전달효율을 확보한 후 제형화 및 무균 충전 과정을 거쳐 최종 완제의약품으로 포장됨

mRNA 치료제는 세포 배양이 필요 없는 세포무배양 (Cell-free) 제조 방식으로 생산되며공정 확장성 및 자동화에 유리하고대규모 생산에도 적합하여 빠른 개발 속도와 산업화 가능성을 갖춘 차세대 핵산 기반 의약품으로 주목받고 있음


 


출처 Youssef et al., Biomolecules (2023), 13, 1497 [4]

[그림 2] mRNA 치료제 제조 과정


 

□ 유전자변형 세포치료제: CAR-T 세포치료제의 개요와 필요성

 ○ CAR-T 세포치료제의 개요

CAR-T (Chimeric antigen receptor T-cell) 세포치료제는 환자에게서 추출한 자가 세포에 인공 수용체 (CAR)를 유전적으로 도입하여종양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식하고 제거하도록 유도하는 정밀 면역세포 기반 유전자치료제임 [5]

본 글에서는 유전자변형 세포치료제 (Genetically modified cell therapy) 에서도 기술적 발전이 가장 활발하고 상업적 성공 가능성이 높은 CAR-T 세포치료제를 중심으로 다루고자 함이는 CAR-T가 유전자변형 세포치료제의 대표주자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임

해당 치료제는 유전자 조작이 핵심 공정에 포함되어 있는 만큼단순한 세포치료제와는 달리 제조 공정이 훨씬 더 복잡함학술적으로는 유전자세포치료제 (Cell and gene therapy; CGT)에 속하지만바이오의약품 분류 체계상에서는 유전자치료제 (Gene therapy product)로 간주됨 [6]. 이는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CAR 유전자를 삽입하는 공정이 중심을 이루기 때문이며이에 따라 미국 FDA를 포함한 주요 규제기관에서는 유전자치료제에 해당하는 심사 기준을 적용함 [7-8]

구체적으로는 CMC (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s) 자료 제출삽입 위치에 대한 분석장기추적조사 (Long-term follow-up) 수행 등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CAR-T 치료제는 생산품질관리규제 전략 측면에서 기존의 세포치료제와는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함 [9-10]

 ○ CAR-T 세포치료제의 필요성

2017년 FDA의 최초 승인 이후, CAR-T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DLBCL) 등 혈액암에서 괄목할 만한 치료 성과를 보이며면역항암제 분야의 패러다임을 전환시킨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음 [11-12]

CAR-T 세포치료제는 기존 항암제 대비 다음과 같은 주요 장점을 가짐 [13]

 ① 종양 항원에 대한 높은 특이성과 직접적인 표적 공격력

 ② MHC 비의존적 작용으로 다양한 암 유형에 적용 가능

 ③ 자가 증식과 장기 지속성이 가능하여 단회 투여만으로도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

그러나 CAR-T 세포치료제는 여전히 여러 기술적·상업적 한계를 동반함대표적으로, 높은 생산 비용과 긴 제조 소요 시간복잡한 수작업 기반의 공정으로 인한 제조 편차가 존재하며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 (Cytokine release syndrome; CRS) 및 신경독성과 같은 면역 관련 중증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음 [14]. 또한개인 맞춤형 치료라는 특성상 상업적 확장성과 환자 접근성 측면에서 제약이 따름

따라서 CAR-T는 단순한 세포치료제를 넘어 유전자치료제이자 고난도 정밀바이오의약품으로 인식되어야 하며임상적 효과의 지속과 상용화를 위해서는 제조 공정의 표준화·자동화·폐쇄화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함

□ 바이오제조 핵심 키워드

 ○ 바이오의약 제조의 최근 주요 이슈

AI, 빅데이터디지털트윈연속생산 등 첨단제조기술도입과 공정혁신을 위한 생산효율과 품질 일관성 확보 전략임 (그림 3)



 

[그림 3] 바이오제조 관련 핵심 키워드 워드 클라우드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동아ST, 롯데바이오로직스 등 CDMO 시장확대를 위한 적극적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유전자세포치료제 분야에 있어서도 해외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항체약물접합체 (ADC), 유전자편집치료제맞춤형 세포치료제 등 차세대 바이오의약품의 개발과 함께인공지능스마트제조디지털트윈 등 첨단 제조기술의 도입이 확대됨아울러친환경저탄소에너지 효율 기술을 접목한 지속가능한 바이오제조에 대한 장기적 전략도 함께 추진되고 있음 (표 3)


 

[표 3] 바이오제조 트랜드 분류


바이오의약

제조

산업

항체약물접합체

비만치료제

유전자세포치료제

오가노이드

표적단백질분해제

신규/멀티 모달리티치료제

개인맞춤형치료제

유전자편집치료제

인공지능기술

스마트제조

로봇자동화

디지털전환

디지털트윈

실시간공정분석

연속생산

일회용 모듈형 시스템

융복합기술

친환경탄소저감에너지효율기술

규제과학

글로벌규제대응시스템

표준화 생산시스템

데이터표준화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