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pro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바이러스 창궐의 시대의 주역, 인수공통감염병

  • 등록일2020-05-14
  • 조회수10423
  • 분류생명 > 생명과학,  생명 > 보건의료학

바이러스 창궐의 시대의 주역, 인수공통감염병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송대섭


1. 인수공통감염병이란?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이후 코로나19)로 인한 폐렴이 처음 보고된 이후로, 2020년 4월 28일 현재, 확진자 295만명, 사망자 20만명이 넘어가고 있으며, 아시아 개발은행(ADB)의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경제가 최대 5천조 원의 손실을 볼 것이라고 한다. 

 

이번 코로나 판데믹은 21세기 들어 최악의 바이러스 발병으로 기록을 갱신해 나가고 있다.

아직 바이러스의 정확한 기원, 중간숙주 등 많은 정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확실한 것은 박쥐 유래의 바이러스가 종간 벽을 넘어 사람에게 감염이 되고, 다시 사람 간 전파가 되고, 이로 인해서 폭발적인 감염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은 분명히 인정되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진 7번째 바이러스로 2002년 홍콩에서 시작된 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코로나, 2012년 처음 보고되었던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코로나에

이어 인체에 치명적인 위협을 유발하는 세 번째 코로나 바이러스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코로나 바이러스 이외에도, 광견병바이러스와 같은 고전적인 감염병 부터, 21세기 첫 대유행을 유발했던 신종인플루엔자, 2013년 살인진드기바이러스라 불리며 세상에 알려진 SFTS, 2014년 전세계에 전파되어 공포를 안겨준 에볼라, 2017년 신생아 소두증의 원인이 되었던 지카 바이러스 등은 모두 동물에서 유래하여 인체에 감염되는 인수공통감염병 (zoonosis)이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전체 감염병에서 인수공통감염병이 차지하는 비율이 60%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발생하고 유행하고 있는 감염병 중 인수공통감염병은 80% 정도를 차지한다는 최근의 보고는 인수공통감염병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 사회적 피해를 유발하는 인수공통감염병에 대응을 위한 전략 및 고려해야 할 요소들에 대해서 기술하겠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