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세계 최초 긴꼬리도약옆새우 유전체 해독
- 등록일2020-06-16
- 조회수3304
-
성과명
세계 최초 긴꼬리도약옆새우 유전체 해독
-
연구자명
임상욱, 박노백, 양영익
-
연구기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사업명
해양생물 유전체정보 확보 및 분석사업
-
지원기관
해양수산부
-
보도자료발간일
2020-06-16
- 원문링크
-
키워드
#긴꼬리도약옆새우 #유전체 해독
- 첨부파일
핵심내용
세계 최초 긴꼬리도약옆새우 유전체 해독
- 우리 해양생물종 유전자 연구 확대로 바이오 소재 개발 추진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국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팀이 우리나라 고유종인긴꼬리도약옆새우(Trinorchestia longiramus)의 유전체를 세계 최초로 해독하고, 이를 세계적 학술지인 ‘사이언티픽 데이터(Sicentific Data, IF=5.9*)’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 IF(Impact Factor) : 논문 피인용지수로 논문가치를 평가하는 점수, 높을수록 논문가치가 큼
긴꼬리도약옆새우는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고유종으로 가재, 꽃게 등과 같은 갑각류의 일종이다. 어류나 조류 등의 중요한 먹이 공급원이된다. 특히, 도약옆새우과(Talitridae) 생물들은 독성물질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중금속 등 오염물질 독성평가모델 생물로 활용되는 등 생태 및 산업적 연구가치가 높지만 그동안 관련 유전체 연구는 전무했다.
이번에 해독된 긴꼬리도약옆새우 유전체는 인간 유전체(3Gb*)의 1/3 크기로 26,080개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새우과에 속하는 다른 생물에 비해 외부 스트레스 또는 세포신호를 감지하여 반응하는 유전자와 안정적 생존에 필요한 항상성을 유지하는 유전자 군이 많아 환경오염 실험생물 개발, 바이오소재 발굴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Gb : 10억개의 염기쌍
** 단백질을 생산해낼 수 있는 정보의 단위
*** 물이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할 때 생겨나는 압력
상세내용
이번 성과는 해수부가 2017년부터 우리 해양생물종의 보존 및 활용을 위해 추진한 “해양생물 유전체정보 확보 및 분석사업”의 결과물이다. 특히2014년 10월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되면서 생물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용에 대한 국제적인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고유종에 대한 유전자 분석 결과를 축적하여 생물자원 주권을 더욱 공고히 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시 사전 허가 및 그 이용으로 발생한 이익을자원 제공국과 이용국간 공유 의무 규정
김인경 해양수산부 해양수산생명자원과장은 “고유 해양생물종에 대한 유전체 해독 성과로 생물자원 주권에 대한 가치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라고 말하고 “앞으로도 해양생물에 대한 유전자 연구를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이라고 말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