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연구성과
일차섬모의 대사조절 기능 규명
- 등록일2020-10-27
- 조회수3186
-
성과명
일차섬모의 대사조절 기능 규명
-
연구자명
선지수, 양동주, 김기우
-
연구기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
사업명
신진연구지원사업,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지원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보도자료발간일
2020-10-27
- 원문링크
-
키워드
#일차섬모 #대사조절
- 첨부파일
핵심내용
일차섬모의 대사조절 기능 규명
생쥐에서 시상하부 일차섬모에 의한 비만과 골질환 동시 조절 기전제시
상세내용
<논문 및 저자 정보>
논문명 |
Ventromedial hypothalamic primary cilia control energy and skeletal homeostasis |
저널명 |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
키워드 |
Primary cilia (일차섬모), Energy homeostasis (에너지 항상성), Ventromedial hypothalamus (시상하부 복내측핵), Sympathetic nervous system (교감신경계) |
DOI |
10.1172/JCI138107 |
저 자 |
김기우 교수(교신저자/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선지수 (제1공저자/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양동주 (제1공저자/연세대학교 치과대학/원주의과대학) |
○ 전세계 비만/당뇨 등의 대사질환 및 이와 연관된 질환의 발병률 증가와 함께, 우리 몸의 대사에너지 항상성 조절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복합 질환을 예방, 치료 및 조절하기 위한 중추신경계를 통한 다양한 항상성 조절기전을 이해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필요하다.
○ 최근 중추신경계에 일차섬모(primary cilia)의 존재가 제시되었고, 뉴런 일차섬모가 에너지 대사 조절의 매개자로서 제시되었으나 우리 몸에서 시상하부 일차섬모의 다양한 항상성 조절은 연구된바 없다.
○ 본 연구팀은 선행연구를 통해 중추신경계 복내측핵 시상하부(Ventro medial hypothalamus, VMH)에 SF-1 신경세포를 특정하였고 이 세포가 자율신경계 조절 및 에너지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밝힌 바 있다. 또한 SF-1 뉴런에 일차섬모가 발현하며 다른 시상하부 뉴런의 일차섬모에 비해 길이가 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 신경세포에 일차섬모가 왜 존재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 이에 SF-1 뉴런에 존재하는 일차섬모와 대사성질환 및 항상성 조절과의 연관성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시상하부 SF-1 뉴런 일차 섬모가 교감신경 활성조절에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하여 에너지 항상성과 골 항상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소기관임을 밝혔다.
○ 시상하부 복내측핵 SF-1 뉴런 특이적으로 일차섬모를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결손시킨 쥐를 구축 후, 분석을 통하여, 복내측핵 일차섬모 결손 쥐에서 심한 비만이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다양한 에너지대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일차섬모 결손 쥐의 비만은 교감신경 활성 감소와 에너지 소비의 결함에 의한 것임을 밝혔다.
○ 또한 복내측핵 일차섬모 결손 쥐에서 에너지 균형조절에 주요 작용 호르몬인 렙틴(leptin)에 대한 민감도가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 교감신경 활성과 골밀도 조절의 상관관계 및 교감신경에 의한 골밀도 조절에 대한 기전이해는 미흡하였고, 시상하부 일차섬모에 의한 골대사 조절에 대한 지식은 전무하였다.
○ 본 연구에서 시상하부 일차섬모 결손 쥐에서 교감신경 활성도의 저하를 보였고, 비만 표현형을 관찰한 것을 토대로 일차섬모에 의한 교감신경 조절이 골대사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가정 하에, 시상하부 일차섬모와 골밀도 항상성과의 상관관계에 주목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흥미롭게도, 일차섬모 결손 쥐(교감신경활성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골밀도가 증가함 관찰할 수 있었고, 이러한 골밀도의 증가는 나타나는 비만과는 별개로 뇌의 자율신경 조절이상에 의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 이와 함께, 다양한 기전연구를 통하여 일차섬모 결손 쥐에서 보이는 골밀도의 증가는 골형성인자와 골파괴인자 사이의 항상성이 무너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내측핵 일차섬모가 우리 몸의 대사항상성과 함께 골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제시하는 것이다.
3. 연구성과/기대효과
○ 본 연구는 시상하부 복내측핵 SF-1 뉴런에 존재하는 일차섬모가 교감신경 활성조절에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밝히고, 우리 몸의 에너지 대사 및 뼈 항상성 조절과 유지를 위하여 복내측핵 일차섬모의 기능이 필수적임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대뇌 신경에 의한 에너지 항상성 및 골밀도가 동시에 조절 될 수 있음을 밝힌 바, 비만/당뇨등 대사질환과 동반되는 골질환 (골다공증 등)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개발에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 본 연구를 통해 복내측핵 일차섬모가 이러한 교감신경 활성조절에 필수 적인 세포소기관임을 규명함으로써, 일차섬모를 표적으로 한 약물개발 및 대사성 질환 및 골질환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연구팀은 기존 대사성 질환(비만/당뇨 등)과 뼈 질환을 분리된 표현형(질환)으로 구분하지 않고, 동시에 표적할 수 있도록 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하고 있다.
○ 아직 일차섬모의 활성 및 길이유지에 필수적인 내인적 체내요소를 찾지 못한 상태이다. 만일 일차섬모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내인성 인자를 찾는다면 우리 몸의 항상성 조절 기전을 이해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대사질환 및 골질환에 적용 가능하므로, 향후 본 연구팀은 여러 가지 생체 조건에서의 분비되는 인자중 뇌 일차섬모의 항상성 조절에 중요한 내인성 인자를 찾고자 한다.
<연구 이야기>
□ 연구 전개 과정에 대한 소개
□ 연구하면서 어려웠던 점이나 장애요소는 무엇인지? 어떻게 극복(해결)하였는지?
□ 이번 성과, 무엇이 다른가?
□ 꼭 이루고 싶은 목표나 후속 연구계획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