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보고서

개요
생명공학은 세기 경제성장을 주도할 핵심 산업으로 21 부각되고 있으며,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인류 공통의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도구와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서구 선진국들은 지난 수십 년간 생명공학을 핵심전략기술이라 판단하고 연구 및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를 점차적으로 늘려왔으며 핵심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각국의 경쟁이 매우 치열한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는 BT 핵심기술들을 선별하여 이러한 BT 핵심기술들에 대한 특허, 논문 및 시장정보 분석과 국내∙외 총괄 기술발전도를 작성하여 관련 분야의 기술개발 동향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자 “BT 기술동향 보고서”를 주기적으로 발간하고 있습니다. BT분야 핵심기술 동향보고서 발간을 통하여 제공되는 국가 BT 정책 추진현황 및 R&D 활동현황, 국내외 BT 동향과 전망 등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는 생명공학 전문가, 관련 기업, 그리고 정부의 생명공학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본 보고서는 37번째로 발간되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총서이며 10번째로 발간되는 기술동향 보고서로서 “시스템생물학”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관련 기술분야 전문가들이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앞으로 보다 양질의 분석자료를 제공하도록 노력 겠습니다.
끝으로 본 보고서 작성을 위해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신 과학기술부 관계자를 비롯하여 많은 조언과 지도를 해주신 광주과학기술원의 김도한 교수님,한국과학기술원 이상엽 교수님,서울의대 조광현 교수님께도 심심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06. 12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현 병 환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목차
목 차
1. 기술개요 1
가. 정의 및 특징 1
나. 시스템생물학의 2가지 접근방법 3
2. 서지분석 4
가. 특허분석 4
나. 논문분석 5
1) 논문으로 살펴본 시스템생물학 세계동향 5
2) 논문으로 살펴본 시스템생물학 국내동향 7
다. 시장성 분석․관련 산업동향 9
1) 시스템생물학의 주요 적용범위 9
2) 시스템생물학 관련 주요 업체 동향 11
3. 기술개발동향 13
가. 세계동향 13
1) 총괄 국외기술발전도 13
2) 국제적 컨소시움 14
3) 주요 관련기관, 프로그램 및 주요 업체 15
4) 주요국 연구개발 투자동향 18
나. 국내동향 19
1) 총괄 국내기술발전도 19
2) 관련 수행과제 20
3) 국내 주요 연구활동 20
가) 학술대회 및 학술회 관련 활동 20
나) 주요 연구활동 20
4. 국내외 기술수준비교 24
가. 기술수준비교 24
나. SWOT 분석 24
5. 기대효과 25
가. 기술적 효과 25
나. 경제 산업적 효과 25
6. 참고문헌 26
-
이전글
- 글라이코믹스 및 탄수화물 의약품
-
다음글
- 바이오 에너지
지식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2025-04-14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watch 바이오를 해석·응용하는 새로운 접근, 바이오 파운데이션 모델 2024-11-01
- BioINwatch NAM을 통해 새로운 인간생물학모델을 개발하는 2025년 NIH 신규 프로그램, Complement-ARIE 2024-10-21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