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보고서

개요
※ 본 보고서는 온라인 배포용입니다.
바이오 경제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생명공학 연구개발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필수 소재인 생명자원(생물자원, 생물다양성, 생명정보 세 분야의 총칭)의 확보가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생명자원은 바이오경제를 지탱하는 무궁한 가치의 미래자원으로써 생명공학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첨단 신약 및 新종자 등 고부가가치 제품개발을 위한 생명공학의 필수 소재로 재인식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국가 생명자원 확보·관리 및 활용 마스터 플랜 ’수립을 위해 구성한 실태조사
Working group(위원장 : 최홍근 아주대학교 교수)에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로부터 위탁받아
수행한 보고서입니다.
특히 국가차원에서 처음 실시한 생물자원, 생물다양성, 생명정보 분야의 일반 관리 현황 및 자원보유에 대한
실태 조사 보고서로서 국내 생명자원 현황에 대하여 전문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1) 부처별 국내 생명자원 보유 현황 및 분석, 2) 생물분류별 보유 현황 및 분석, 3) 이에 따른 문제점 및 발전방향 등을 제시하였습니다.
1. 조사연구의 목적
국가 생명자원 관리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생물자원, 생물다양성, 생명정보의 각 분야별 일반 관리 현황 및
자원보유 현황 조사
2. 조사연구의 필요성
○ 기술적 측면
- 국내 생명공학기술 및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관련 연구가 활성화 되면서 부처별, 기관별로 산재해
있는 생명자원의 관리 현황 파악이 요구되며, 국가생명자원의 효율적 관리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
- 세계적으로도 생물자원의 보호주의가 확산되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 대응과 국내 생명자원 활용도를 제고할 필요성이 증가
○ 경제 산업적 측면
- 생물자원 자체의 가치 증대 및 생명기능 활용 가능성 확대를 위해 생명자원의 원천기술 혹은 자원화가 요구
-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생물자원, 생물다양성, 생명정보의 관리를 통한 생물산업의 지속가능한 균형적 발전의 필요성 대두
○ 사회 문화적 측면
- 생물자원 및 유전자원에 대한 각국의 자원주의화 혹은 자원 무기화 경향에 대한 국내 생명자원의 체계적인
관리와 보호가 요구
- 국내 각 부처간 생명자원의 확보와 관리에 따르는 특성 및 역할 정립 등과 예산의 효율적 확보와 집행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목차
제 1장 서 론
제 1절 조사연구의 필요성 1
제 2절 조사연구 배경 17
제 3절 국내 현황 분석 21
제 2장 생물자원
제 1절 정의 및 목적 26
제 2절 조사 내용 및 범위 31
제 3절 부처별 현황 32
제 4절 생물분류별 현황 40
제 5절 현황분석 및 결론 48
제 3장 인체유래생물자원
제 1절. 대상의 정의 50
제 2절 국내외 현황 54
제 3절 조사 내용 및 범위 69
제 4절 부처별 현황 72
제 5절 현황분석 및 결론 7
제 4장 생물다양성
제 1절 국내 현황 76
제 2절 조사 내용 및 범위 88
제 3절 조사 방법 및 결과 88
제 4절 부처별 현황 93
제 5절 현황분석 및 결론 105
제 5장 생명정보
제 1절 생명정보 관련 현황 110
제 2절 조사 방법 및 범위 123
제 3절 정보분야별 현황 125
제 4절 현황분석 및 결론 144
제 6장 종합분석 및 결론
제 1절 생물자원 149
제 2절 인체유래생물자원 151
제 3절 생물다양성 153
제 4절 생물정보 156
제 5절 종합결론 및 제언 158
부록 1. 생명자원 실태 설문조사 양식 161
부록 2. 국가생명자원실태조사 설문조사 결과 (일반정보) 164
부록 3. 국가생명자원실태조사 설문조사 결과 (생명자원정보) 183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