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 보고서

노화연구 및 활용기술

노화연구 및 활용기술

  • 발행일 2009-04-25
  • 출처 기술동향2008-6(총서 제100권)
  • 담당자 김무웅 ( 042-879-8375 / rush@kribb.re.kr )
  • 조회수 15687
  • 키워드
    #노화
  • 첨부파일

개요

1. 노화연구 개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유럽의 많은 나라들이 2026년을 전후로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가 총 인구의 20% 이상 차지)로의 진입이 예상되어, 고령인구의 건강한 삶 유지와 경제적 생산활동 참여를 가능케 하는 노화 관련 연구 및 이를 활용한 치료제 개발, 의료기술 및 삶의 질 향상 기술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음

 

가. 노화연구란?
1) 노화연구의 정의 및 특징
■ 노화연구란 노화의 기전규명을 위한 생물의학적 연구, 노화과정에 따른 예방과 치료연구, 장수연구를 포함한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학문·기술 분야의 연구를 말함

 

○ 본지에서 명시하는 노화연구의 정의와 범위는 ‘노화과학기술연구촉진법안’에서 제시하는 노화연구의 정의 및 범위를 따름


- ‘노화종합연구 설치․운영방안 연구’에서는 노화종합 연구를 생물학적 노화뿐만 아니라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전 분야에 걸친 종합적인 연구로 정의함


* 위의 두 가지 정의에서 노화연구를 생물의학적 기전 및 치료․예방 연구뿐만 아니라 노화연구에 필요한 관련 학문·기술을 포함하는 등 공통적으로 노화연구의 범위를 넓고 포괄적으로 보고 있음...... 계속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목차

1. 노화연구 개요
  가. 노화연구란?
   1) 노화연구의 정의 및 특징
   2) 노화연구의 연구영역 및 기술분류
  나. 노화연구에 거는 기대와 가능성

 

2. 서지분석
  가. 특허분석
   1) 해외특허로 살펴본 노화분야 세계동향
   2) 해외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노화분야 국내동향
   3) 한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노화분야 국내동향
  나. 논문분석
   1) 논문으로 살펴본 노화분야 세계동향
   2) 논문으로 살펴본 노화분야 국내동향
  다. 관련 시장 및 산업동향 분석
   1) 노화제어 분야
   2) 노인질환 분야

 

3. 기술개발동향
  가. 세계동향
   1) 국제기구 활동 및 국제적 컨소시움
   2) 주요국 정책동향 및 관련 연구기관
   3) 연구개발 동향
  나. 국내동향
   1) 관련 정책 수립 및 제도 마련
   2) 정부투자 분석
   3) 국내 주요 연구자 및 연구성과 

 

4. 국내 경쟁력 현황 및 SWOT 분석
  가. 국내 경쟁력 현황
  나. SWOT 분석

 

5. 기대효과 및 시사점
  가. 기대효과
  나. 시사점 및 대응방향

 

6. 참고문헌

별첨 1. 노화 분야 특허분석
별첨 2. 노화 분야 논문분석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