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보고서

개요
1. 후성유전체 연구개요
인간 게놈 프로젝트 완료 및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프로젝트 수행으로 인간의 염기서열 정보와 유전자 변이에 대한 정보가 속속 밝혀지고 있으며, 차세대 게놈 프로젝트로 후성유전체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가. 후성유전체란?
후성유전학(Epigenetics)은 DNA 염기서열 자체의 변화가 아닌 DNA 주변환경에 의해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연구하는 분야로 이를 전체 유전체 차원에서 연구하는 것을 후성유전체학(Epigenomics)이라 함
○ DNA 염기서열의 변화가 아닌, 외부 주위환경에 의한 변이는 크게 2가지로 DNA methylation과 Histone modification이 대표적임
- 후성유전적 코드는 염기서열보다 환경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쌍둥이들의 후성유전적 프로파일을 비교해보면, 비슷한 환경에서 함께 자란 쌍둥이에 비해서 멀리 떨어져 자란 쌍둥이 사이에서 그 프로파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계속
★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관리자에게 연락을 주십시요. 파일을 발송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42)879-8377, (bioin@kribb.re.kr)
목차
1. 후성유전체 연구개요
가. 후성유전체란?
나. 후성유전체의 연구의 발자취와 이정표들
2. 서지분석
가. 특허분석
1) 해외특허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분야 세계동향
2) 해외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분야 국내동향
3) 한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분야 국내동향`
나. 논문분석
1) 논문으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세계동향
2) 논문으로 살펴본 후성유전체 국내동향
다. 관련 시장 및 산업동향 분석
3. 기술개발동향
가. 세계동향
1) 글로벌 공동연구 및 국제적 컨소시엄
2) 주요국 정책동향 및 관련 연구기관
3) 연구분야별 동향
가) 후성유전체 기작연구 분야
나) 후성유전체 임상적 활용기술 분야
다) 후성유전체 분석툴 및 분석기술 분야
4) 해외 산업체 동향
나. 국내동향
1) 정책동향 및 정부투자 분석
1) 국내 주요 연구자 및 연구성과
가) 학계
나) 연구계
다) 산업계
4. 국내 경쟁력 현황 및 발전방향
가. 국내 경쟁력 현황 및 발전방향
나. SWOT 분석 및 대응전략
다. 기대효과 및 시사점
5. 참고문헌
별첨 1. 후성유전체 특허분석
별첨 2. 후성유전체 논문분석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