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 보고서

구조 단백질체학 연구 및 신약개발 활용기술

구조 단백질체학 연구 및 신약개발 활용기술

  • 발행일 2011-01-31
  • 출처 기술동향2010-1(총서 제136권)
  • 담당자 김민정 ( 042-879-8371 / bestkmj@kribb.re.kr )
  • 조회수 16347
  • 키워드
    #단백질체학
  • 첨부파일

개요

1. 구조 단백질체학 연구 개요
생체 내의 모든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밝히는 일은 생명 현상 규명, 신약 개발 및 난치병 치료에 직결된 과제로 인간 게놈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DNA 서열 정보를 획득하게 된 이후 효과적인 단백질 구조 예측의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가. 구조 단백질체학이란?

 

1) 구조 단백질체학의 정의 및 특징
■ 구조 단백질체학(Structural proteomics)은 유전체 정보로부터 생명 현상의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의 연관성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하며 구조 유전체학(Structural genomics)이라고도 함
○  넓은 범위의 구조 유전체학은 게놈의 구조 관련 연구 일체를 지칭하며 좁은 범위로는 유전자의 기능 규명을 위한 단백질의 3차 구조를 결정하는 연구 분야로 정의함


○ 생체내 단백질의 구조를 대량으로 신속히 밝히는 것이 목표임
­ - 게놈 프로젝트 이후 유전자 서열이 해독되면서 서열의 비교 분석 후 유사성에 따른 기능을 부여하였으나 전체 유전자 중 40~60% 정도에 그치는 한계가 있었고 이의 극복을 위해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통한 생화학적 기능을 유추하고자 함
­ - 생체내에서 직접 일을 하고 있는 것은 단백질로서 그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생체내의 현상을 규명하는 데 아주 중요한 기술임


○  1960년 처음으로 myoglobin의 구조가 밝혀진 이 후로 50년이 지나 현재에 이르는 동안 수없이 많은 단백질들의 구조가 규명되어져 오고 있음
­ - PDB(protein data bank)에 등록되어진 단백질 구조의 수는 2000년대 초반부터 급속도로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0년에는 7만개를 향하고 있음

 

.....(계속)

 

"구조 단백질체학 연구 및 신약개발 활용기술" 책자 신청하기(클릭!!)

 

 

 

 

목차

1. 구조 단백질체학 연구 개요 
  가. 구조 단백질체학이란? 
   1) 구조 단백질체학의 정의 및 특징 
   2) 구조 단백질체학 연구를 위한 기술적 접근 
  나. 신약 발굴 활용가치 및 연구의 필요성 

 

2. 서지분석 
  가. 특허분석 
   1) 해외특허로 살펴본 구조 단백질체학 분야 세계동향 
   2) 해외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구조 단백질체학 분야 국내동향 
  나. 논문분석 
   1) 논문으로 살펴본 구조 단백질체학 분야 세계동향 
   2) 논문으로 살펴본 구조 단백질체학 분야 국내동향 
  다. 관련 시장 및 산업동향 분석 
   1) 구조 단백질체학 분야의 시장규모 
 
3. 기술개발동향 
  가. 세계동향 
   1) 주요국 연구 및 정책동향 
   2) 주요 연구자 및 연구 성과 
   3) 해외 산업체 동향 
  나. 국내동향 
   1) 국내 기술연구 및 개발동향 
   2) 국내 주요 연구자 및 연구 성과 
    가)학계 
    나)연구계 
    다)산업계 

 

4. 국내 경쟁력 현황 및 시사점 
  가. 기술별 역량 분석 
  나. SWOT 분석 
  다. 기대효과 및 시사점 

 

5. 참고문헌 
별첨 1. 구조 단백질체학 분야 특허분석
별첨 2. 구조 단백질체학 분야 논문분석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