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보고서

개요
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담당자에게 (042-879-8363)에게 문의 바랍니다.
1. 골다공증 연구 개요
골다공증은 모든 나이대에 걸쳐 나타나는 보편적인 근골격계질환 중 하나로 전세계적인 고령화추세와 함께 골다공증 및 관련 질환 보유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고려할 때 향후 관련 시장이 확대될 전망임. 한편 현재까지 완벽한 진단과 치료법이 정착되지 않아 기술적으로도 보다 잠재가능을 보이는 분야임
가. 골다공증이란?
1) 골다공증 연구의 정의 및 특징
□ 골다공증(Osteoporosis) 연구란 뼈의 질량감소와 뼈 조직의 구조학적 퇴화를 특징으로 하며 뼈를 구성하는 미네랄(특히 칼슘)과 기질의 감소 상태를 보이는 전신적인 진행성 골격질환으로 골절위험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질환을 연구하는 것을 의미함(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2011)
○ 본지에서 명시하는 골다공증 연구의 정의와 범위는 골다공증 관련 기관들의 정의를 포괄하여 골다공증기전, 골다공증제어, 골다공증질환으로 분류함
◆ 주요 기관의 골다공증 정의
▶미국립보건원(NIH): 골다공증이란 뼈가 약해져 골절이 되기 쉬운 상태에 있는 질환이며, 첫 골절이 일어나기 전까지 그 증상을 깨닫기 어려움. 골다공증은 주로 엉덩이 및 고관절(hip), 척추(spine), 그리고 손목(wrist) 등의 부위에서 자주 발견되는 질환임 (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11. 1)
▶미국립 관절, 근골격·피부 질환 연구소(NIAMS): 골다공증이란 낮은 골질량과 미세한 골 구조적 파괴를 특징으로 하는 체계적(systemic)이고 퇴행적인 골격계 질환으로, 점차 뼈 강도가 약해지며 골절(fracture)의 위험이 증가함 (NIAMS; National Institute of Arthritis and Musculoskeletal and Skin Diseases, 2007)
▶英국립골다공증재단(NOF): 골다공증이란 보통 노화와 함께 일어나며, 골절이 있기 전까지 깨닫기 힘든 무통증의 조용한 질환(silent, asymptomatic disease)으로, 첫 골절 이후 작은 외상(trauma)에 따라 그 빈도가 잦아짐 (NOF; National Osteoporosis Foundation)
.....................계속
목차
1. 골다공증연구 개요
가. 골다공증연구란?
1) 골다공증연구의 정의 및 특징
2) 골다공증연구의 연구영역 및 기술분류
나. 골다공증 연구의 필요성 및 전망
2. 서지분석
가. 특허분석
1) 해외특허로 살펴본 골다공증분야 세계동향
2) 해외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골다공증분야 국내동향
3) 한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골다공증분야 국내동향
나. 논문분석
1) 논문으로 살펴본 골다공증분야 세계동향
2) 논문으로 살펴본 골다공증분야 국내동향
다. 관련 시장 및 산업동향 분석
1) 세계시장규모
2) 주요국가(미국, 5EU, 일본) 및 신흥부흥국의 골다공증 시장 현황 및 전망
3) 향후 전망
3. 기술개발동향
가. 세계동향
1) 골다공증 분야 국제협회 및 관련기구
2) 주요국 정책동향 및 관련 연구기관
3) 산업계 기술동향
나. 국내동향
1) 우리나라 국가연구개발사업
2) 국내 정책동향
3) 국내 주요 연구자/연구성과
4) 국내산업계의 기술동향
4. 국내 경쟁력 현황 및 시사점
가. 국내 연구개발 경쟁력
나. 국내 산업계 경쟁력 및 SWOT 분석
5. 참고문헌
별첨 1. 골다공증 연구 분야 특허분석
별첨 2. 골다공증 연구 분야 논문분석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