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교육
2019 바이오미래포럼
- 등록일2019-11-07
- 조회수10348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행사
-
주관기관
(주최) 과기정통부 (주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
행사장소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 하모니볼룸
-
행사기간
2019-12-16 ~ 2019-12-17
- 원문링크
- 첨부파일
2019 바이오미래포럼
(1) 추진개요
□ 목적 및 일정
ㅇ (추진목적) 글로벌 바이오 트렌드에 하여 국가 정책 현안 해결 및 R&D 사업 기획에 반영될 수 있는 주요 정책 아젠다 발굴과 공감대 형성
※ 지난 바이오미래포럼 : ▴1회(’15.11) : 미래 바이오대응 정책 발굴, ▴2회(’16.11) : Bio, Lab to Market, ▴3회(’17.10) : 바이오경제 시대의 서막을 열며, ▴4회(’18.11, 2018 바이오 혁신성장대전) : 바이오경제, 바이오일자리
ㅇ (일시) 2019.12.16(월)~17(화)
ㅇ (장소)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 하모니볼룸
ㅇ(주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 주요 프로그램 및 행사구성
ㅇ (핵심메시지) “바이오 경제, 글로벌 혁신 생태계”
ㅇ (주제발표) ① (국제세션) 글로벌 및 주요국의 R&D 패러다임, 혁신 생태계 등, ② (국내세션) R&D, 산업화 발표
ㅇ (부대행사) ① 네트워킹 데이(벤처기업 IR 기업설명회, 창업멘토링), ② 정부 R&D사업의 산업화 우수사례 전시(과제 참여기업의 성과물 전시 등)
일차 |
본행사 |
부대행사 | |
1일차 (오후) |
‣ (개회식) 과기부 장관님 개회사, 연구재단 이사장, 생명연 원장, 일자리진흥원장 축사 ‣ (국제포럼) “선진 바이오 생태계를 해부한다” 주요국(미국, 유럽(영국), 싱가폴) 바이오 생태계 운영 현황 벤치마킹 ※ 국가별 성공모델 발표 후, 패널토론 진행 |
과기부 R&D 성과전시
※기업, 출연연, 개인연구자 |
|
2일차 (전일) |
‣ (R&D 세션) New target, New platform ※ 주제(안) : 엑소좀, 미토콘드리아, 오가노이드, ‣ (산업화 세션) 바이오산업화 성공사례 벤치마킹 ※ 주제(안) : 라이센싱아웃 사례, 글로벌 진출 임상 디자인, 미 FDA 내부 프로세스 경험담 |
‣ 바이오벤처 투자유치 설명회 ※ 기업 홍보를 통한 투자 유치 기회 제공, 만남의 장 ‣ 바이오파마테크콘서트 ※ 사업화 유망기술의 기술사업화 및 일자리 창출 등창 |
(2) 프로그램 세부 일정
□ 포럼 1일차(12.16) 세부 일정
시간 |
프로그램명 및 내용 |
발표자/좌장 |
12:30∼13:30 |
등록(60’) |
|
13:30∼ 13:50 (20’) |
개최사 및 특별행사 | |
① 개회사(5’) |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 | |
② 축사 |
노정혜 연구재단 이사장 | |
김장성 생명(연) 원장 | ||
배정회 일자리진흥원 원장 | ||
13:50∼ 16:00 (130’) |
국제세션 주제(안) | |
① The impact of life science incubation: How JLAB is helping nurture the next great healthcare breakthroughs. |
Sanjay Mistry (JLABS, San Diego) | |
② Diversity: What Makes the Bio R&D in the United States the Global Leader |
권영직 (Univ. of California, Irvine) | |
③ Health systems and patient safety in the digital age |
Luke Slawomirski (OECD) | |
④ The Bio-Ecosystem in the UK: Open Innovation Ecosystem in Cambridge & Milner Therapeutics Consortium |
한남식 (캠브릿지 Milner 연구소) | |
➄ Precision Medicine in Singapore : Fostering Research and Innovation on a National-Scale |
Patrick Tan (듀크-싱가폴 국립대) | |
➅ Bio-Innovation : Reinvigorating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Partnerships by Triple Helix Model |
조남준 (난양기술대학교) | |
16:00∼10(10’) |
| |
16:10∼ 17:20(70’) |
패널토의 및 질의응답 | |
(방향) 글로벌 바이오생태계 진단 및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성공요인 발굴을 위한 제안 등 ※ 해외연사 6명, 국내 산학연병 관계자 4명, 좌장 1명 : 총 11인 ※ 40~50분간의 패널토론 및 20~30분간 질의응답 |
운영위원장 (김연수 충남대 교수) | |
17:20∼30(10’) |
| |
17:30∼ 17:55(25’) |
스페셜 세션(바이오R&D사업 추진방향 공유_한국연구재단) | |
① 2020년도 과기정통부 바이오분야 추진방향 및 실적 ② 바이오 분야 원천연구현황 및 ’20년도 중점추진방향 및 주요사업 등 ※ 주제별 발표 15분, 질의응답 15분 |
신약단 단장 | |
뇌․첨단의공학단 단장 | ||
차세대바이오단 단장 | ||
17:55∼18(05’) |
공지사항 알림 및 1일차 폐회 |
부대행사 |
프로그램명 및 내용 |
성과전시 (09:30∼17:00) |
(1일차) 정부 R&D 우수성과 사례 전시 |
□ 포럼 2일차(12.17) 세부 일정
시간 |
프로그램명 및 내용 |
발표자/좌장 |
09:00∼20(20’) |
등록 |
|
09:20∼ 11:00(100’) |
<생태계의 씨앗> R&D 세션 : New target, New platform | |
① 세포의 아바타 ‘엑소좀’ 연구 동향과 기대효과 |
고용송(포항공대) | |
② 세포 내 에너지공장 ‘미토콘드리아’ 연구의 동향과 기대효과 |
이인규(경북대의대) | |
③ 오가노이드 기술의 현재와 비전 |
손미영(생명연) | |
④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개발 현황과 발전 전망 |
송상옥(스탠다임) | |
11:00∼15(15’) |
| |
11:15∼ 12:25(70’) |
패널토의 및 질의응답 | |
(방향) 새로운 분야의 R&D 촉진과 연구프로세스의 혁신을 위해 우리의 모습을 진단하고, 글로벌 리딩을 위해 필요한 요소 발굴 및 제안 ※ 발표자 4명, 국내외 산학연병 관계자 4명, 좌장 1명 : 총 9인 ※ 40~50분간의 패널토론 및 20~30분간 질의응답 |
오구택 (이화여대) | |
12:25∼13:35 (70’) |
점심식사 | |
13:35∼ 15:25(110’) |
<생태계의 열매> 산업화 세션 : 바이오산업화 성공사례 벤치마킹 | |
① 신약개발 분야 라이센싱 아웃 성공사례 및 시사점 |
이정규(브릿지바이오) | |
② 경쟁력 있는 임상개발 전략을 통한 글로발 신약 승인 |
문한림(큐어랜케어리서치) | |
③ 혁신 플랫폼 기반 바이오메디컬 산업 및 창업 생태계 발전방안 |
김윤근(MD헬스케어) | |
④ 글로벌 진출을 위한 한국 바이오의 발전방안 및 전략(35’) |
안해영(AhnBio 컨설팅) | |
15:25∼35(10’) |
| |
15:35∼ 16:45(70’) |
패널토의 및 질의응답 | |
(방향) 산업화의 다양한 측면(프로덕트 측면, 플랫폼 측면, 글로벌 진출 측면 등)에서의 국내 성공사례에 대한 진단과 향후 글로벌 진출을 위해 우리가 갖추어야할 제반 상황에 대한 제안 ※ 발표자 4명, 국내외 산학연병 관계자 4명, 좌장 1명 : 총 9인 ※ 40~50분간의 패널토론 및 20~30분간 질의응답 |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 |
16:45∼55(10’) |
공지사항 알림 및 1일차 폐회 |
부대행사 |
프로그램명 및 내용 |
성과전시 (09:30∼17:00) |
(2일차) 정부 R&D 우수성과 사례 전시 |
네트워킹데이 (09:30∼17:00) |
(기업투자유치설명회) 기업 IR을 통한 투자 유치 기회 제공, 만남의 장 등 (바이오파마 Tech-concert) 사업화 유망기술의 기술사업화 및 일자리 창출 등 |
■ 참가신청
http://www.bioforum.kr/enter/page1
● 참가신청 등 문의 : 이지현 연구원 (042-879-8366, bioforum@kribb.re.kr)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