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행사/교육

혈뇌장벽(BBB) - 투과성 Parkin 융합 재조합단백질 「파킨슨병 치료신약 iCP-Parkin』의 세포 보호 기전 규명

  • 등록일2020-10-19
  • 조회수3632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행사
  • 주관기관
    BRIC
  • 행사장소
    Online 개최
  • 행사기간
    2020-11-05
  • 원문링크
  • 첨부파일

 

혈뇌장벽(BBB) - 투과성 Parkin 융합 재조합단백질 「파킨슨병 치료신약 iCP-Parkin』의 

세포 보호 기전 규명

 

 

 
 

0032087_1.jpg

 
일시  :  2020년 11월 5일 (목) 오후 2시 (한국시간)
연사  :  정은나 (셀리버리)
약력  :  PDF (146 KB)
진행  :  발표 25분 / 토론, 질의응답 10분
 
 
세미나 개요
파킨슨병은 복합적인 환경 및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신경세포가 서서히 소실함으로써, 주요 중추신경의 기능 이상 및 사망까지 이르게 하는 퇴행성뇌질환이다. 그렇지만, 그 발병 기전이 불분명하고, 보통 운동장애가 동반된 중증 파킨슨병 상황에 이르러서야 진단이 되므로 병의 진행을 중단시키거나, 되돌려 정상수준으로 회복시킬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점에서 메커니즘-기반의 치료 신약 개발에의 여러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킨슨병 치료신약 세포투과성 iCP-Parkin을 개발하여 뇌조직 투과성 및 미토콘드리아 독성과 알파-시뉴클레인 (α-Synuclein) 축적으로 인한 신경세포 독성을 낮추는 효능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효능은 파킨슨병 동물모델에서 결국 뇌의 선조체 (striatum)와 중뇌 (midbrain)에 존재하는 도파민 생합성을 담당하는 죽어가는 뇌신경세포 (dopaminergic neuronal cells)를 되살리고, 동시에 도파민 분비 증가로 이어져 전체 운동능력 회복을 동반한 치료효능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파킨슨병이 약리학적으로 추적이 가능한 병리학적 특성들이 있으며, 특정 약물 (iCP-Parkin)에 의해 이러한 병리요인들의 효과적인 제어 및 세포 보호 효능을 유도하여, 파킨슨병의 진행 중단은 물론 운동능력 이상을 다시 정상 수준으로 회복할 수 있을 만큼의 우수한 치료효과도 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진행 방법
○ 실시간 온라인 세미나로 시행하며, PC/노트북,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기기로 접속합니다.
○ 첫 접속시 Webex 프로그램을 설치하셔야 합니다(약 10초 소요).
○ 회당 정원은 100명 미만으로 열립니다.
○ 예상소요시간은 총 35분이며, 연사발표 25분, 질문 및 토의 10분으로 진행합니다.
○ 발표언어: 한국어
 
 
사전 준비
○ 접속은 웨비나 시작 30분 전부터 가능합니다.(BRIC에서 개설을 하여야 접속이 가능합니다.)
○ 세미나 참석에 관한 구체적인 안내는 참석을 접수하신 분들에게 메일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 참석 신청을 하였으나 온라인 세미나에 참석하지 못하는 분은 다른 분이 참석할 수 있도록 사전에 연락 주시길 바랍니다.
 
문의: member@ibric.or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