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교육
[BRIC Webinar] 3광자 현미경을 통한 살아있는 생쥐의 림프절 전체 깊이 영상화 [Nat. Immunol.]
- 등록일2022-03-23
- 조회수2791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행사
-
주관기관
BRIC
-
행사장소
온라인
-
행사기간
2022-04-22
- 원문링크
-
첨부파일
[BRIC Webinar] 3광자 현미경을 통한 살아있는 생쥐의 림프절 전체 깊이 영상화 [Nat. Immunol.]
일시 2022년 4월 22일 (금) 오전 10시 (한국시간)
연사 최기백 (Cornell University)
진행 발표 40분 / 토론, 질의응답 20분
세미나 개요
지난 20년동안, 살아있는 생쥐의 림프절 내에 면역세포들의 상호작용을 실시간 관찰하기 위하여 공초점 (Confocal) 현미경 및 2광자 (two-photon) 현미경이 활발히 사용되어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현미경들은 투과 깊이의 한계(<300µm)로 인해 림프절의 일부만 관찰 할 수 있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뇌 영상화에 사용되고 있던 3광자 (three-photon) 현미경을 림프절 영상화 목적에 맞게 개선하여 림프절 전체 깊이(600-900µm)를 영상화 할 수 있었습니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림프절내 깊이에 따른 CD8 T 세포와 CD4 T 세포의 움직임을 비교할 수 있었으며, LPS를 주입한 염증 모델에서 CD4 T 세포는 얕은 곳에 비해 깊은 영역에서 운동성이 떨어지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또한 germinal center dark zone과 같이 B 세포가 밀집된 영역에서 기존 2광자 현미경에 비해 higher contrast 이미지로 B 세포의 움직임을 영상화 할 수 있었습니다. 이와 같이, 기존현미경으로 볼 수 없었던 깊은 영역의 면역세포들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데 앞으로 3광자 현미경이 많이 사용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생체내 3광자 현미경 (intravital three-photon micros), 림프절 (lymph node), T/B세포 움직임 (T/B cell migration)
진행 방법
○ 실시간 온라인 세미나로 시행하며, PC/노트북,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기기로 접속합니다.
○ 예상소요시간은 총 60분이며, 연사발표 40분, 질문 및 토의 20분으로 진행합니다.
○ 발표언어: 한국어
사전 준비
○ 접속은 웨비나 시작 30분 전부터 가능합니다.(BRIC에서 개설을 하여야 접속이 가능합니다.)
○ 세미나 참석에 관한 구체적인 안내는 참석을 접수하신 분들에게 메일을 통해 개별적으로 안내해 드립니다.
○ 참석 신청을 하였으나 온라인 세미나에 참석하지 못하는 분은 다른 분이 참석할 수 있도록 사전에 연락 주시길 바랍니다.
문의: webinar@ibric.or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