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유전자가위기술과 동물 그리고 규제
- 등록일2018-07-18
- 조회수6652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8-04-19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유전자가위기술
- 첨부파일
유전자가위기술과 동물 그리고 규제
유전자가위 동물 관련 리뷰 논문을 중심으로 유전자가위을 이용한 동물 연구개발 및 규제에 대한 동향을 이슈리포트 형태로 정리하여 제공
1. 개요
■ 현대생명공학 기술 중 하나인 유전자가위 기술(Genome Editing)을 이용해 동물의 유전체를 교정하는 것은 의학 연구 모델 개발, 동물 복지 향상, 생산효율 개선 등 수많은 실질적인 응용을 가능하게 함.
■ 징크핑거(ZFN), 탈렌(TALEN), 크리스퍼(CRISPR/Cas9)을 포함한 유전자가위기술은 제브라피쉬, 설취류, 원숭이, 돼지, 소, 양, 염소 등 다양한 동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음.
- 특히, 유전자가위 기술을 동물에 적용하는 것은 지금까지 이용되어온 동물 육종 방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음(전통적인 동물 육종은 유전자원이 한정1)되어있고, 동물의 긴 번식주기로 인해 빈도가 제한되며 비용이 많이 소요됨).
■ 유전자가위 기술의 높은 효율과 낮은 가격으로 수많은 유전자교정 동물이 개발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동물 육종 산업계에 대한 유전자교정 동물의 장·단점을 포괄적으로 평가해야 함.
- 유전자교정 동물의 장·단점이 신중하게 평가될 때, 동물 육종 분야에서 유전자 가위 기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이 확대될 것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