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카르타헤나의정서 리아종그룹회의 역할 [KBCH 브리핑]
- 등록일2020-06-24
- 조회수4479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0-06-23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카르타헤나 의정서#생물다양성
- 첨부파일
[KBCH 브리핑]
카르타헤나의정서 리아종그룹회의 역할
김원희(KBCH)
※ 카르타헤나의정서는 의정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3개의 전문가그룹 및 위원회1)를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브리핑에서는 올해 4월에 온라인으로 개최된 리아종그룹회의의역할 및 논의내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1. 배경 및 개요
□ (배경) 제1차 카르타헤나의정서 당사국회의(2004, 말레이시아)에서 당사국들은원활한 의정서 이행을 위한 개발도상국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소규모특별전문가그룹회의*를 만드는 것에 합의함
- 참가자들은 역량강화 분야에서 뛰어난 경험을 지닌 전문가들 중지역별, 성별 등 특성을 고려하여 약 15명을 선발함
* Liaison Group on Capacity-Building for Biosafety. 이후 제13차 리아종그룹회의에서 Liaison Group on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로 명칭 변경(2019)
□ (역할) 행동계획 이행 제안을 시작으로 의정서 전략계획, 의정서평가 등 그 역할을 점차 확장하고 있음
- 최초에는 카르타헤나의정서 이행 역량 강화 행동계획(Action Plan)*의효과적인 이행을 위해 사무국(Executive Secretary)에 다양한 대응방안제시* Action Plan for Capacity-Building for Implementation of the Cartagena Protocol
- 이후 카르타헤나의정서 당사국회의 결정에 따라 의정서 전략계획* 개발및 평가, 의정서 평가** 등의 활동이 추가됨
* Strategic Plan for the 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 The third/fourth assessment and review of the Cartagena Protocol
- 제13차 리아종그룹회의에서 Post-2020 생물다양성 체계 의제와 책임·구제 추가의정서를 포함한 바이오안전성분야 의제 전반에 대해 검토하는것으로 역할 확장(2019)
* 단, 의무준수위원회 활동분야와 겹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활동
□ (연혁) 현재까지 총 14번의 회의가 진행되었으며, 올해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고려하여 온라인으로 개최됨
- 우리나라는 BCH 연락포인트인 장호민 박사(한국생명공학연구원)가제11차 리아종그룹회의부터 초청받아 지속 참가 중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