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해외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자료집

  • 등록일2021-03-25
  • 조회수4371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03-18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해외 융복합 의료제제#융복합의료제제 #의료 품질관리료 품질관리
  • 첨부파일

 


해외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자료집

◈ 목차 

Ⅰ. 해외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1. 미국
가. 개요
나. 용어 설명
다.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라.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준수를 위한 일반적 고려사항
마. 21 CFR 4.4(b)에 지정된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요구사항
바.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적용 사례

2. 독일
가. 융복합 의료제품 정의
나. 심사기관 및 관련 부서
다.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3. 프랑스
가. 융복합 의료제품 정의
나. 심사기관 및 관련 부서
다.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4. 영국
가. 융복합 의료제품 정의
나. 심사기관 및 관련 부서
다.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5. 캐나다
가. 융복합 의료제품 정의
나. 심사기관 및 관련 부서
다.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6. 유럽
가. 융복합 의료제품 정의
나. 심사기관 및 관련 부서
다.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7. 일본
가. 융복합 의료제품 정의
나. 심사기관 및 관련 부서
다.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Ⅱ약어

Ⅲ참고문헌


◈ 본문

Ⅰ. 해외 융복합 의료제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1. 미국

가. 개요

 

미국 식품의약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의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cGMP, 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tice)은 식품,의약품,생물의약품 및 의료기기 등과 같은 규제 대상 제품에 대한 품질시스템이다.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의료기기 품질시스템 규정(QSR,Quality System Regulation), 생물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인체 세포,조직 또는 세포 및 조직기반제품(HCT/Ps,Human Cells,Tissues, and Cellular and Tissue-Based Products) 우수인체조직관리기준(cGTP,
Current Good Tissue Practice)은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구사항에 관한 체계를 제공한다. 
 
해당 규정에 포함된 핵심 요구사항은 제조공정 및 설비의 적절한 설계,모니터링 및 관리를 보장하는 시스템을 규정하고 있다.
미국 FDA 2017년 1월 융복합 의료제품을 대상으로 한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의 요구사항에 대한 최종규칙을 기술 및 설명하는 가이드라인「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Requirements for Combination Products」를 발간하였다. 가이드라인이 배포되기 이전에, 의약품,의료기기,생물의약품, 그리고 인체 세포,조직 또는 세포 및 조직기반제품(HCT/Ps)에 관한 요구사항을 확립한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규정이 갖추어지기는 하였으나, 해당 규정의 요구사항을 융복합 의료제품에 적용하는 방법을 
명확히 밝히고 설명한 규정은 없었다. 
 
해당 가이드라인은 새로운 요구사항을 확립하지 않으며 융복합 의료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의약품, 의료기기 및 생물의약품을 조합할 때 어떠한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요구사항이 적용되는지를 명확히 하고,기업에 적용되는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요구사항에 대한 적합성을 입증할 때 이용할 투명하고 간소화된 규제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