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코로나 팬데믹이 몰고 온 연구문화의 변화

  • 등록일2021-06-08
  • 조회수4436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05-25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팬데믹#연구문화
  • 첨부파일


코로나 팬데믹이 몰고 온 연구문화의 변화


◈목차


1.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연구문화의 변화 현상
2. 오픈액세스 논문(preprint)의 폭발적 증가
3. 국제협력 공동연구의 증가
4. 여성연구자의 논문실적 감소
5. 시사점
 

◈본문

 

 
1.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연구문화의 변화 현상
 
ㅇ 오픈액세스 논문(preprint)의 폭발적 증가
ㅇ 국제협력 공동연구의 증가
ㅇ 여성연구자의 논문실적 감소
 
2. 오픈액세스 논문(preprint)의 폭발적 증가
 
ㅇ Preprint의 속성상 빠른 정보의 공개와 토론의 증거로 활용될 수 있어 증가 추세
 - 물리적 미팅에 따른 심층적인 연구의 한계와 콘퍼런스의 온라인 개최에 따른 영향
 -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의 발전과 공개 데이터 확보 기회 확대로 출판 증가
 - 코로나 관련 정보의 증가와 관련 논문수의 증가

1.png

3. 국제협력 공동연구의 증가

2.png

ㅇ 물리적 이동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례적인 국제협력 공동연구의 증가 원인
 - 네트워크의 환경 발전과 화상회의를 통한 아이디어 교환 증가
 - 과학적 데이터의 온라인상 확보 가능(특히, 코로나 관련 정보의 증가에 따른 특정분야 보건의료관련 논문수 증가)

3.png

4.png

4. 여성연구자의 논문실적 감소
 
ㅇ 학교와 탁아시설의 폐쇄로 인한 강제적인 육아의 증가가 여성의 연구생산성에 영향을 미침
 - 여성연구자의 주저자 역할 논문 감소, 여성연구자의 공동연구 참여율 감소

5.png

5. 시사점
 
ㅇ 2021년 1월 통계를 기반으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연구문화의 변화 일면을 살펴봄
 - preprint의 속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메타정보로 연구문화의 현상을 분석
ㅇ 화상회의에 익숙해지고 오픈액세스(Open Access) 정책의 확대로 인한 연구 문화 현상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연구문화가 조성됨을 확인함
ㅇ 오픈액세스 정책은 다양한 연구정보(오픈데이터, Open Data)의 확보를 기반으로 오픈 사이언스(Open Science)로 이어지는 혁신적인 연구문화로 최근 중요한 이슈로 떠오름

6.png

 
ㅇ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환경변화가 오픈액세스 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층분석이 요구됨
ㅇ 또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여성연구자의 육아 증가가 논문 수 감소로 이어짐을 확인한 바 한국 연구현장에서 여성연구자의 어려움을 극복할 정책제안이 필요함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