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KBCH 브리핑] 필리핀, 황금쌀 재배 승인
- 등록일2021-08-19
- 조회수4429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08-18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황금쌀 재배
- 첨부파일
[KBCH 브리핑] 필리핀, 황금쌀 재배 승인
◈목차
1. 비타민 A와 황금쌀
2. 필리핀의 GMO 규제 절차
3. 필리핀의 황금쌀(GR2E, IR-00GR2E-5) 재배 승인
4. 시사점
◈본문
※ 2021년 7월 21일, 필리핀 농업부 식물산업국은 규제 절차를 완료하여 황금쌀에 대한 재배를 최종 승인하였습니다. 영양개선 GM쌀로는 세계 처음으로 승인된 사례로, 황금쌀의 재배 승인 과정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1. 비타민 A와 황금쌀
1) 비타민A
□ 비타민A는 인체 기능 중 시력 유지, 신체의 저항력 강화, 생체막 조직의 구조와 기능 조절에 관여하는 지용성 비타민으로 지방이나 기름과 결합했을 때만 체내로 흡수
ㅇ 주로 동물성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녹황색의 식물성 식품에는 체내에서 비타민A의 전구체인 카로티노이드1)의 형태로 함유되어 있음
□ 비타민A의 전구체인 베타카로틴은 노화 지연, 항암 효과, 당뇨병 합병증 예방, 폐 기능 증진 등에 작용하며, 주로 당근, 늙은 호박, 고구마, 브로콜리, 시금치, 케일, 살구, 망고, 파파야, 키위에서 흡수 가능
2) 필리핀의 비타민A 결핍(VAD) 상황
□ WHO에 따르면 VAD는 주로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빈곤국 에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약 2억 5천만 명의 미취학 아동, 그리고 많은 수의 임산부들이 VAD(자세한 내용은 KBCH브리핑 2020-07참조)에 노출 되어 있음
□ 필리핀 과학기술부 식품영양연구소(Food and Nutrition Research Institute)의 조사2)에 따르면, 필리핀은 생후 6개월~5세 미만의 아동과 임산부들에게 VAD에 대한 공중보건문제가 있음(표1, 그림1)
3) 황금쌀의 개발
□ 국제쌀연구소(IRRI)는 비타민A 결핍(VAD) 해결을 위해 국가별 연구 기관과 협력하여 황금쌀을 개발(자세한 내용은 KBCH브리핑 2020-07참조)
ㅇ 2000년에 처음으로 황금쌀의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많은 주목을 받아 관련 연구가 확대 진행되었으며, 이후 ‘Golden Rice Project’가 결성되어 개발도상국에서 영양결핍을 해결하기 위해 황금쌀 개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게 한다는 목표를 세움
□ 쌀을 통해 하루 권장 칼로리의 절반 이상을 보충하고 있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황금쌀이 VAD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필리핀쌀연구소(PhilRice)는 IRRI와 협력하여 연구를 진행해 옴
2. 필리핀의 GMO 규제 절차
□ 필리핀은 2016년에 위해성평가 시 환경 및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 하여 GMO를 관리하도록 하는 새로운 법률 ‘DOST-DA-DNER-DOH-DILG Joint Department Circular No.1, series of 2016(JDC)’을 마련하여 관리3)
ㅇ JDC는 현대생명공학을 이용한 GM작물과 유래 제품의 연구개발, 취급/이용, 국경이동, 환경방출 및 관리에 대한 규정으로 과학기술부, 농업부, 환경자원부, 보건부, 행정자치부가 협력하여 관련 업무를 수행하도록 함
□ 규제에 따라 GMO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용도(시험재배, FFP, 상업적 재배)에 따라 승인을 받아야 함
ㅇ GMO 승인에 관여하는 기구와 상업적 재배를 위한 승인 절차는 표2,그림2와 같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