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나고야의정서 국내외 동향 ABS BRIEF [제 115호] KIOST발견, 신종 유독플랑크톤 천연진통제 개발 촉진 등~

  • 등록일2021-12-14
  • 조회수3956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나고야의정서 국내외 동향 ABS BRIEF [제 115호]


◈목차


국내동향
해외동향
해외법제 소개 시리즈



◈본문


KIOST발견, 신종 유독플랑크톤 천연진통제 개발 촉진
◯ 한국해양과학기술원(원장 김웅서, 이하 ‘KIOST’)은 제주도 해역에서 해양바이오 소재 활용이 가능한 유독 플랑크톤(와편모조류) 신종을 발견, 신종 플랑크톤 명칭을 우리나라 국명을 딴 ‘후쿠요아 코리안시스(Fukuyoa Koreansis)’로 명명했다고 밝힘
- 이번 성과는 해양생물 의약품 소재 개발연구를 진행 중인 해양시료도서관 신현호 책임연구원 팀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 Zhun Li박사와 공동으로 ‘시구아톡신’을 생산하는 플랑크톤의 발견으로 시작됨
- 국제 학술지 「유해 조류(Harmful Alge)」 2021년 11월호에 동 연구 결과를 게재했고, 신종 플랑크톤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에서 지정한 해양식물 플랑크톤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인 남해연구소(소장 임운혁)에서 보존·관리 중임
 
◯ 신종 플랑크톤은 우리나라 연안에서 적조와 마비성 패독 발생의 주요 원인종을 포함하고 있어, 해양생물 독을 활용한 의약품 개발에 큰 도움이 될 전망임
- 동·식물과 미생물이 생성하는 다양한 유기물을 의미하는 해양 천연물의 발견은 의약품과 신소재, 화장품 등 개발에 새로운 아이디어 제공과 인류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라는 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 해양에는 지구 전체의 80%에 달하는 수십만 종의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나 극히 일부 범위에 국한된 천연물 연구와 활용에 그쳤고, 육상생물 활용 연구 또한 한계에 다다름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는 이와 같은 ‘인류 난제’ 해결을 위한 유용물질 발굴 전담팀 구성과 생물자원 탐색에 주력하고 있음
 
◯ 신현호 해양시료도서관 책임연구원은 “나고야의정서 발효와 해양천연물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유용자원으로서 가치를 찾는 신종 발굴이 중요해졌고, ‘후쿠요아 코리안시스’에서 필요한 독소 분리와 대량 배양이 가능하다면 ‘천연 진통제’가 탄생 될 수 있다”라고 밝힘
 
약용 생물자원 정보 5400만건 공개
◯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진용)이 5400만 건의 약용 생물자원 정보를 공개했다고 밝힘
- 한의학연구원이 구축한 정보는 한의학 교과서와 고문헌에 나오는 약재의 효능과 치료에 관한 내용임
- 동 정보는 바이오 의료 분야의 대표적 논문 데이터베이스인 '펍메드(PubMed)'에서 약재의 성분 데이터를 추출해 구축한 것과 최신 연구 결과 및 약용 생물자원과 관련된 증상, 논문, 처방 정도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
 
◯ 한의학연구원은 최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지원하고 한국임업진흥원이 추진하는 '산림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을 통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동안 구축한 ‘약용 생물자원 빅데이터’의 개방을 완료함
- 한의학연구원은 빅데이터를 생산하기 위한 센터 역할을 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하는 약재 중 551개의 약재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함
- 지금까지 한의학연구원은 △약용 생물자원 △고문헌 약용 생물자원 △산림 약용 생물자원 △구성성분 △단백질 △약용 생물자원 활용 △약용 생물자원 증상 △약용 생물자원 처방 △약용 생물자원 논문 등의 9종에 대한 27개의 데이터를 생산함
- 약용 생물자원 빅데이터 센터에서 생산·가공한 데이터는 산림 빅데이터 거래소에서 무료로 다운로드 가능
 
◯ 한의학연구원 측은 “약용 생물자원 빅데이터를 이용하면 바이오 의료 분야에서 신약·기능성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