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건강관리앱 품질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등록일2022-01-19
- 조회수4077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11-08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건강관리앱 #품질 가이드라인
- 첨부파일
건강관리앱 품질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목차
제1장. 배경 및 필요성
1. 건강관리앱 현황 및 품질 관리 필요성
2. 건강관리앱 품질 관련 문헌 고찰
3. 제외국의 건강관리앱 품질 가이드라인 개발 동향
제2장. 건강관리앱 품질 가이드라인 개발
1. 건강관리앱 품질 가이드라인 개발의 범위와 목적
2. 건강관리앱 품질 가이드라인 개발
3. 건강관리앱 품질 가이드라인 활용 방안
4. 건강관리앱 품질 가이드라인 개발의 한계와 제안
부록. 건강관리앱 품질 가이드라인
◈본문
제1장. 배경 및 필요성
1. 건강관리앱 현황 및 품질 관리 필요성
○ 스마트폰 앱 스토어에 수록된 앱 중 건강 및 피트니스 분야에서 건강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고, 신체활동, 식사, 수면 등을 기록・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관리앱은 30만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건강관리앱 이용 경험을 조사한 연구1)2)3)에서 건강관리앱 이용 경험은 다이어트 및 체중관리에 관한 앱 이용경험이 가장 높은 편이었고, 특히 COVID-19 이후 비대면 서비스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건강관리앱의 활용도 증가되었다는 보고가 잇따르고 있어 관련한 서비스의 개발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 우리나라에서도 ‘2020년 모바일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출시되는 다양한 앱 중 가장 큰 성장률을 보인 분야는 ‘건강 및 피트니스 분야’로 주목한 바 있으며, 건강관리앱의 가장 큰 수요는 체중 관리와 관련한 콘텐츠를 보유한 앱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2019년 건강관리를 위해 식습관, 신체활동, 생활패턴 등에 대해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상담・조언 서비스의 경우,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에 해당된다는 정부 가이드4)가 발표됨에 따라 앱의 자동화된 알고리즘에 기반한 비대면 서비스가 가능해졌고, 건강인센티브제, 건강친화기업 인증제 등 디지털 기반 건강관리가 가능한 각종 제도적 지원이 도입될 예정으로 알려져 디지털기반의 건강관리앱의 활용이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당뇨병 환자 등을 대상으로 개발된 앱은 자가관리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지원하는 것으로 근거가 확보되고 있어5) 혈당관리가 필요한 당뇨환자 등 질환자의 건강관리앱 활용도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