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소재·부품·장비 미래 선도형 R&D추진방안

  • 등록일2022-02-09
  • 조회수4186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1-28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소재부품장비#소부장#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첨부파일


소재·부품·장비 미래 선도형 R&D추진방안


◈목차


Ⅰ. 추진배경

Ⅱ. R&D 현황 분석

     추진 방향

Ⅲ. 추진 과제

Ⅳ. 추진 일정




◈본문


Ⅰ. 추진배경

□ 2019년 7월 日의 수출규제 조치를 계기로, 소재‧부품‧장비 분야에 대한 정부 정책은 ‘추격’에서 ‘자립*과 선도**’로 전환
 *소부장 1.0(’19.8), 기초‧원천기술 조기 확보(’19.11) **소부장 2.0(’20.7), R&D고도화(’20.10) 등

□ 최근 기술패권 경쟁 격화와 보호주의 확대 등으로 주력산업 분야는 물론, 차세대‧미래 분야에 대한 선점 경쟁도 심화 중

□ 우리도 소‧부‧장 2.0의 주요 후속조치로서, 미래선도품목 선정* 등 미래 대비와 본격 지원 준비 중 ⇨ 구체적인 실행방안 추진 필요
 * 현재 공급망 안정화를 넘어 미래 공급망 선점을 목표로 65개 품목 발표(’21.5)

 


0209 동향 소부장.JPG



Ⅱ. R&D 현황 분석
□ (성과 측면) 對일 3대 품목* 공급 안정화 목표 달성
 * 불화수소(액체, 가스), EUV 포토레지스트, 불화 폴리이미드

ㅇ 소재분야를 중심으로 우수 논문‧특허 창출 확대 등에 따라 선도국 대비
기술수준 첫 80% 상회, 기술개발‧이전 성공사례 축적 등 성과 창출 중

□ (투자 측면) 3년(’19~’21)간 정부 지원은 핵심품목 자립화 등 주력분야에
집중 투자*되었으며, 향후에는 미래분야에 대해서도 균형적 투자 필요
 * (‘16~’18) 평균 57% → (’19) 60% → (’20) 75% → (’21) 76% (기초‧원천 중 주력 예산 비중)

 

 

Ⅲ. 추진 방향 및 과제
비 전 선제적인 선도형 R&D 지원으로 소재•부품•장비 미래 경쟁력 확보 및 생태계 강화
 
① (미래) 미래선도품목 중심의 기술난제 극복 지원
□ (미래기술 투자) 65대 미래선도품목 등 차세대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소재분야 ‘미래기술연구실’* 확대
(’21.下 4개 시범 착수 → ’25년 100개, 매년 20개 선정) * 미래기술연구실(MTL, Materials Technology Lab)
 
□ (기술난제 해결) 미래선도품목을 포함해 주요 이슈별로 반드시 극복해야 할 기술난제를 발굴‧정의하고, ‘미래기술연구실’을 통해 해결 추진
 
ㅇ 연구과제 공모시 기술난제*만 제시하고, 연구방법은 연구자가 자율 제안하는 등 기술난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 R&D 지원방식 적용
 * 연구동향, 산업전망 등을 분석하여 10년 후 주요 이슈별 기술난제 도출(매년 갱신)
 
□ (장기 지원) 우수 과제에는 장기지원이 가능한 갱신형 R&D 도입*(5+3+α년)
 * 종료평가 최우수 등급(S) 연구과제는 후속연구(3년, 추가 갱신 가능) 지원 등
 
② (주력) 100+85대 R&D핵심품목의 미래지향적 기술자립 지원
□ (기술자립 지원) 100+85대 R&D핵심품목의 5년 내 기술 자립과 공급망 대체를 위한 ‘국가핵심소재연구단’
* 확대(’21년 57개 → ’25년 100개, 매년 10~15개 선정) * 국가핵심소재연구단(KMRC, Korea Materials Research Center)
 
□ (주력-미래 연계) 국가핵심소재연구단 연구주제 발굴시, R&D핵심 품목과 미래선도품목의 공통 요소기술 개발을 우선 지원(’22년~)
 
□ (정책분야 고려) 탄소중립, GVC 재편, DX 적용 등의 연관 기술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