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항체-약물 중합체(ADC)의 연구 개발 및 규제 동향

  • 등록일2022-04-04
  • 조회수7659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3-14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식품의약품안전처#생물의약품#ADC
  • 첨부파일


[생물의약품] 항체-약물 중합체(ADC)의 연구 개발 및 규제 동향


◈목차

1. 서론
2. 개요
 2.1 항체-약물 중합체(ADC)의 작용기전
 2.2 항체-약물 중합체(ADC)의 구조적 특징
3. 항체-약물 중합체(ADC)의 개발 현황 및 전망
 3.1 항체- 약물 중합체(ADC)의 시판 및 임상 개발 현황
 3.2 주요 항체-약물 중합체 (ADC) 개발 제약사들의 개발 동향
 3.3 항체-약물 중합체(ADC)의 시장 전망 및 SWOT 분석
4. 항체-약물 중합체(ADC)의 연구 및 규제 동향
 4.1 미국 FDA의 규제 시 품질 측면에서 고려사항
 4.2 생체 시료 분석시 고려사항
 4.3 약물 상호작용 및 기타 안전성 관련 고려사항
 4.4 약물 동태 및 대사 관련 규제 검토 사례
5. 맺음말
6. 참고문헌




◈본문


1. 서론

 

지난 수십 년간 생명공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새로운 유형의 치료용 약물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며,그중에서도 특정 질환들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용 단일클론 항체의약품들의 개발은 눈부시게 성장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현재 전 세계 의약품 시장의 블록버스터 약물들 중 다수를 단일클론 항체의약품이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로 확인할 수 있다. 단일클론 항체의약품은 항원-항체 면역반응을 통한 표적 특이적 약리기전을 이용하여 기존의 저분자 합성의약품에서 문제가 되었던 표적 비특이적 독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해 기존 저분자 합성의약품 사용이 제한적이었던 암,자가 면역 질환 등의 질병을 치료하는데 안정적인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단일클론 항체의약품의 효능이 해당 질병군의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지는 않을뿐더러, 기대 효능에 미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대두되었다. 이에 여러 다국적 제약사들과 바이오텍 기업들은 유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였고, 이러한 연구 개발 중 하나로 기존 단일클론 항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면서 효능을 개선한 혁신적인 차세대 항체 의약품들을 개발하고 있다. 그증 하나가 항체-약물 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이다. 2000년 Pfizer의 Mylotarg™(Gemtuzumab ozogamicin, Pfizer)이 ADC로서 처음으로 미국 식품의약청(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 FDA)으로부터 승인 받으며,출시된 이래로 ADC에 대한 연구는 개발 속도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2021년 8월 기준 총 10 종의 ADC가 FDA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최근에는 항암제뿐만 아니라 염증성 질환, 감염성 질환을 포함한 다른 다양한 질환들에 대한 표적 치료제로서, ADC는 제약회사와 교육기관 및 연구기관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ADC 관련 분야는 기술적 복잡성 및 제조의 난이성에도 불구하고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여러 제약사 및 바이오텍 기업들의 ADC 분야에 대한 관심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ADC 플랫폼 기술도 확보해 나가는 등 점차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고 있다.
본 보고서는 ADC에 대한 정의 및 연구 개발에 대한 동향을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또한 규제 관점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발자들이 효율으로 ADC 개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2. 개요

 2.1 항체-약물 중합체(ADC)의 작용기전
항체-약물 중합체(ADC)는 표적 특이성을 지닌 단일클론 항체에 링커(linker)를 통해 세포독성 약리기전 특징을 갖는 저분자 약물(payload)을 탑재한 형태로 기본적인 구조 및 작용기전은 다음과 같다(그림 I).1,2,3,4

ADC1.JPG


1 . 글로벌 항체-약물 중합체의 개발 전략 및 허가(충남대학교출판문학원)
2 . 신석호, 박민호,변진주, 이병일, 박유리, 최장미, ... & 신영근.(2018). 항체-약물 중합체의 시장 개발 동향 및 신규 플랫폼. 약학회지,62(3), 158-170.
3 . Han, Tae H., and Baiteng Zhao.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and excretion consider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tibody-drug conjugates." Drug Metabolism and Disposition 42.11(2014): 1914-1920.
4 . Kraynov, Eugenia, et al. "Current approaches for absorption, distribution, metabolism, and excretion characterization of antibody-drug conjugates- an industry white paper." Drug Metabolism and Disposition 44.5(2016): 617-623.

ADC는 전신 혈액 순환 중 항체의 표적 특이적인 결합능을 통해 표적 세포에 도달한 뒤, 세포 내부로 진입하는 내포화 과정을 겪는다. 내포화 과정 후 리소좀 등에 존재하는 분해 효소에 의해 항체와 세포독성 약물의 결합이 끊어지며 세포독성 약물을 방출한다. 이 때 방출된 세포독성 약물이 미세소관 중합억제, DNA 염기서열 알킬화 등의 다양한 세포사멸 과정을 통하여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ADC는 표적 특이적으로 결합한다는 측면에서 전통적인 단일클론 항체의약품과 유사하다. 하지만 표적 특이적인 결합뿐만 아니라 세포독성 약물로 인한 세포사멸 작용기전을 통해 더욱 향상된 효능을 제공한다. 즉, 단일클론 항체의약품의 표적 특이성과 저분자 의약품의 강한 세포독성 효능이라는 장점들을 융합한 새로운 약물로 고안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 항암요법보다 최대 허용 용량(Maximum tolerated dose, MTD)은 높이고, 최소 효능 용량(Minimum effective dose, MED)은 낮추어 약물 치료계수(Therapeutic index, TI)를 넓히는 것이 ADC를 개발하는 목적이다.


2.2 항체-약물 중합체(ADC)의 구조적 특징
ADC는 3가지 구성요소가 중합체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기존 저분자 합성 의약품이나 단일클론 항체의약품과는 구별되는 특성을 가진다.
대표적인 약물 동태학적 특성 비교는 다음 표에서 제시하고 있다(표 I).

ADC2.JP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