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지구 바이오 게놈 프로젝트(EBP) 진행경과 및 윤리적, 법적, 사회적 이슈

  • 등록일2022-05-02
  • 조회수3899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2-04-15
  • 출처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게놈 프로젝트#EBP#생물다양성
  • 첨부파일


지구 바이오 게놈 프로젝트(EBP) 진행경과 및 윤리적, 법적, 사회적 이슈


◈목차

 

1. 지구 바이오게놈 프로젝트(EBP) 개요
2. EBP 진행 경과 (2018년 ~ 2020년)
3. EBP의 윤리적, 법적, 사회적 이슈
 1) EBP의 법적 이슈 (Legal issues)
 2) EBP의 윤리적 이슈 (Ethical issues)
 3) EBP의 사회적 이슈 (Societal Concerns)
 4) ELSI 위원회 (Ethical Legal and Social Issues Committee)
4. 요약 및 정리




◈본문

 

1. 지구 바이오게놈 프로젝트(EBP) 개요

 

□ 배경

 

ㅇ 지구에는 약 1,000~1,500만 종의 진핵생물(eukaryotes)과 수 조 종의 세균(bacteria) 및 고세균(archaea)이 존재하는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까지 약 230만 종이 알려져 있음
 
ㅇ 기후변화, 서식지 파괴, 무분별한 이용, 기타 여러 인간의 활동 으로 인해 지구의 생물다양성은 점점 위협을 받고 있음
 
ㅇ DNA 시퀀싱, 생물정보학, 자동화 및 AI 등 현대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을 활용하여 생물다양성을 이해하고 활용 및 보전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
 
ㅇ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 따르면 동식물 35,000여종(28%) 이상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고, 금세기 말에는 약 50%의 생물다양성 손실을 경고
 
ㅇ 지구상의 모든 생물을 시퀀싱 하면 현재의 과학으로 미발견 상태의 나머지 80~90%의 새로운 종 발견을 위한 기초로 활용 가능
 
□ 지구 바이오게놈 프로젝트(EBP) 란?
 
ㅇ EBP는 지구의 육지, 바다, 하늘, 땅 속에 존재하는 모든 진핵 생물(eukaryotes) 종(species)의 표본에서 전체 유전체 서열을 얻으려는 거대한 시도
 
ㅇ DNA 시퀀싱기술, 생물정보학, 자동화 및 인공지능 등의 최신 생명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지구상의 모든 진핵생물(eukaryotes)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 분류 및 특성화하여 모든 진핵생물 유전체 (genome) 정보의 개방형 디지털 저장소를 구축하여 지구 생물 다양성의 이해, 활용 및 보전을 목표로 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
 
ㅇ EBP는 기존의 글로벌 시퀀싱 프로젝트(G10K, i5K, B10K, GAGA, 10KP, GIGA 등) 연구그룹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2018년 11월 시작
 
□ EBP 목표 및 예상 결과
 
ㅇ 생물학과 진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
- 기존 알려진 모든 생물체 간의 진화적 관계 이해
- 지구상의 모든 종의 기원, 시기, 분포 및 밀도에 대한 규명 
- 새로운 종의 발견(미발견 된 80~90%의 진핵생물)
 
ㅇ 생물다양성의 보전, 보호 및 재생
- 인간 활동(환경오염, 서식지 파괴 등)과 외래종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희귀종 및 멸종위기종에 대한 보존계획 수립
- 손상/고갈된 생태계 복원을 위한 유전체 자원 개발
 
ㅇ 생물자산을 통한 사회 및 인간복지에 대한 수익 극대화 
- 새로운 의약품, 생체물질, 에너지원 및 생화학 물질 발견/개발 
- 전염병 통제 강화 등
 
2. EBP 진행 경과 (2018년 ~ 2020년)
 
□ EBP 조직과 거버넌스(Organization and Governance)
ㅇEBP의 임시 거버넌스 위원회인 EBP 워킹 그룹(Working Group)은 43개 양해각서(MOU) 작성기관의 대표 및 44개 제휴 프로젝트 대표로 구성 (2021년 2월 현재)
- EBP는 참여기관의 MOU에 따라 운영되며, 사무국은 UC Davis에 위치 
- EBP 워킹 그룹 의장이 회원기관 및 제휴 프로젝트 간 협력 촉진, 표준 마련, 국가 및 지역 프로젝트 참여 촉진, EBP 국제 네트워크 연합(international network-of-networks) 간의 협력 조정 등을 포함한 활동 수행
- 현재 전 세계 5,000명 이상의 과학자 및 전문가 참여 중



 EBP International Network-of-networks의 단계별 목표
1단계: 3년간 진핵생물 각 과(family)의 대표 종에 대한 참조유전체 (reference genome)에 대한 주석(annotation) ~9,400종
2단계: 4~7년간 각 속(genus)을 대표하는 종에 대한 참조유전체  ~18,000종
3단계: 남은 3년간 알려진 진핵생물 나머지 종에 대한 참조유전체 ~165만종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