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공공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위한 기술이전 접근 방법론 개발
- 등록일2023-06-15
- 조회수3103
- 분류제도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06-08
-
출처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공공기술이전 #기술이전 #사업화
공공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위한 기술이전 접근 방법론 개발
◈ 목차
IT 분야 특허기술 수명주기별 시장수요 맞춤형 기술이전 방법론 개발
| 테크비아이 주식회사 |
NT 분야 연구자 중심의 기술이전을 위한 연구자 평가 Tool 개발
| 주식회사 티비즈 |
ET 분야 ET 분야 B2G 시장진출을 위한 유망기술 발굴 방법론
| ㈜ 에프엔피파트너스 |
BT 분야
제약・바이오(BT) 분야별 산업적 특성을 고려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 방법론 도출
| ㈜ 아이피온 |
융합 분야 디지털 헬스케어 MD/PhD 창업기업의 기술이전/융합 방법론
| 주식회사 내비온 |
◈본문
1) 방법론 개발 추진배경
■ 공공연구기관에서 수행한 BT(제약·바이오)분야 연구 성과의 기술이전 성과 창출 및 실질적 제품화 연계율 제고를 위한 제약·바이오 산업적 특징을 기반으로 한 기술이전 방법론 개발 필요
■ BT(제약‧바이오)분야 기술은 다른 기술 분야에 비해 사업화를 위한 비/임상 등의 과정이 필요하여 시간 및 개발에 많은 비용이 발생함. 특히 신약개발의 경우 개발기간이 길고, 복잡한 검증과정을 거치며 단계별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개발 단계에 따라 기술가치가 달라짐
■ 이처럼 제약‧바이오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연구 성과가 시장 진입으로 이어지는데 장기간 연구개발 투자가 필요한만큼 전략적 기술 도입은 사업화 성공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
■ 제약‧바이오산업의 효과적인 제품 연구 및 개발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라이선스”등이 주목받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최적의 기술이전 방법론은 현재 부재한 상황
■ 이에, 제약‧바이오 산업을 4가지 분야(의약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화장품)로 구분하여 공공연구기관에서의 연구 결과물이 성공적인 제품 개발로 연계될 수 있도록 분야별 맞춤형 기술이전 방법론을 개발함
2) 국내외 현황
▶ BT (제약・바이오) 기술분야별 산업 특징 및 이를 기반으로 한 기술이전 시 고려사항 도출
■ 의약품 : 신약개발은 장시간 및 연구개발에 고비용 소요되므로 기업의 니즈를 반영하며 임상진입에 유리한 데이터 확보
■ 의료기기(진단) : 제품 수명 주기 및 제품 개발 기간이 의약품보다 짧아 신속한 기술개발/제품화를 위한 임상 허가 및 상용화 추진
■ 건강기능식품 : 소재의 신규성, 제품화 용이성(표준화, 생산성, 경제성)을 고려한 소재 및 기술 선정
■ 화장품 : 유통 채널의 성장으로 유통, 제조, 개발 분야의 분리가 가속화되며 대기업 중심의 시장임. 신규 소재보다는 기존 고시형 소재 기반 제품 개발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소재의 스토리텔링 기반 마케팅이 중요
▶ 외부환경 분석 내용 기반 기술 포트폴리오 요소 도출
■ 공동연구개발기관의 최근 5개년(’17~’21) BT분야 기술이전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의약품, 화장품 분야 기술이전 성과 창출 및 후속지원 연계율이 높았음
■ 기술 완성도는 TRL 4-5단계의 기술이 전체 기술이전의 92%의 점유율을 차지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