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2022–2023절기 대한민국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결과
- 등록일2023-10-26
- 조회수2601
- 분류제도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3-10-19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인플루엔자#예방접종#접종률
- 첨부파일
2022–2023절기 대한민국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결과
안서현, 권승현, 송민주, 전성수, 이재영, 박진희, 배현아, 이재은, 이형민 질병관리청 의료안전예방국 예방접종관리과
◈본문
초 록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어르신, 임신부, 생후 6개월부터 13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 다. 이 글에서는 2022–2023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에 대한 주요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각 대상군 접종률은 어르신 81.9%로 전년 대비 1.4%p 증가하였고, 임신부와 어린이는 50.4%와 71.0%로 전년 대비 3.8%p와 2.8%p 감소하였다.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는 총 118건으로 예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2022–2023절기 주요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인플루엔자 국가 예방접종 지원사업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 론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 으로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 근육통, 두통 등 전신 증 상과 인후통,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주로 11월부 터 다음 해 4월까지 유행하며, 65세 이상 고령층, 5세 미만 소 아, 만성질환자는 합병증, 입원, 사망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1997년부터 보건소에서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국가지원 예방접종을 시행하여 2015년 부터는 민간 위탁의료기관 접종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하였다. 어린이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은 2016년 생후 6개월부터 12개월 미만의 영유아, 2017년 생후 6개월부터 59개월 어린이, 2018년 생후 6개월부터 12세 어린이, 2020 년 생후 6개월부터 13세 어린이까지 국가지원 대상을 점차 확대하였다[2]. 임신부는 인플루엔자에 감염될 경우 폐렴 합 병증 발생 등의 위험이 크고, 태아 건강 보호 및 감염에 취약 한 출생 후 6개월 미만 영아 보호를 위해 2019년부터 지원 대 상에 포함되었다.
2020–2021절기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 유행으로 인한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의 동시 유행을 대 비하기 위해 62세부터 64세 어르신, 14세부터 18세 청소년, 장애인 연금·수당, 의료급여 수급권자를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지원 대상을 확대하였다.
핵심요약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은 65세 이상 어르신과 임신부 및 생후 6개월부터 13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2022–2023절기 인플루엔자 접종률은 어르신 81.9%로 지 난 절기보다 증가하였고, 임신부 50.4%, 어린이 71.0%로 지난 절기보다 감소하였다. 또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는 118건으로 전년 수준과 유사하였다. ③ 시사점은? 2022년 하반기부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계절 특성을 회 복하고 있어 호흡기 감염에 취약한 어린이 및 고령층에서 감 염에 주의가 필요하므로 전 대상의 인플루엔자 접종률 향상 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이 글에서는 2022–2023절기 인플루엔가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고, 향후 인플루엔자 국가예방 접종 사업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론
1. 2022–2023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개요
2022–2023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은 65세 이상 어르신, 임신부, 생후 6개월부터 13세 어린이를 대 상으로 시행하였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접종 약 2주 후부 터 항체가 생성되며 평균 6개월 정도 지속되는 점과 이전 절 기 유행 시기 등을 고려하여 사업기간을 선정하였다(표 1). 어린이 사업은 2회 접종이 필요한 소아의 적절한 면역획득(1차 접종 후 최소 4주 간격으로 2차 접종)을 위해 9월부터 사업을 시작하고, 어르신의 경우 사업 초기 접종이 집중되므로 안전 한 접종을 위해 연령별로 접종 시기를 구분하였다.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주소지에 관계없이 전국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위탁의료기관 21,930개소에서 국가지 원 접종을 받을 수 있으며, 인플루엔자 3가 백신보다 B형 바 이러스 항원을 하나 더 포함하고 있어 인플루엔자 유행주와의 불일치 가능성을 감소시켜 인플루엔자 예방 효과가 뛰어난 4 가 백신을 지원하였다.
예방접종률은 질병관리청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내 예 방접종통합관리시스템 등록자 중 해당 연도 출생자를 대상으 로 하였으며, 예방접종 기록은 보건소 및 위탁의료기관에서 예방접종 실시 후 전산 등록된 예방접종 기록을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어린이 접종률은 1회 접종 및 2회 접종 대상자 중 1차 접종 완료자에 대한 접종률로 산출하였고 임신부는 사업 대상자 수 확인이 어려워 공개된 2021년 출생아 수로 대체하 여 산출하였다. 예방접종 건수 및 예방접종률 산출 시, 국가지 원 및 자비 접종 건을 포함하였다.
표 1. 2022–2023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대상자 및 사업기간
2. 어르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실적
어르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대상자 9,310,653명 중 7,629,522 명이 접종하여, 접종률은 81.9%로 지난 절기 80.5% 대비 1.4%p 증 가하였다.
접종 기관별로는 보건소에서 4.7% (357,603명), 위탁의 료기관에서 95.3% (7,271,919명)가 접종하여 지난 절기 보 건소 4.9%, 위탁의료기관 95.1%에 비해 위탁의료기관에서의 접종이 소폭 증가하였다(표 2). 어르신 지역별 접종률은 전남 (84.6%), 전북(84.5%), 충북(83.9%) 순으로 높았으며, 접종 건수는 경기(1,630,188건), 서울(1,343,754건)이 많았다.
어르신 대상 지원사업의 경우 사업 초기에 접종이 집중되 는 양상으로, 사업 시작 2주간 5,134,231명이 접종하여 대상 자의 55.2%가 접종을 완료하였다(그림 1). 이전 절기와 같이 2022–2023절기에는 코로나19 유행으로 접종 기관 내 혼잡 도 완화 및 안전한 접종을 위해 연령대별 세 구간으로 분산 접 종을 시행하였으며. 75세 이상 시작일(10.12.)에 978,101명, 70세 이상 시작일(10.17.)에 740,223명, 65세 이상 시작일 (10.20.)에 711,325명이 접종하여 접종 시기를 구분한 것은 분산 접종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2. 절기별, 접종기관별 어르신 및 임신부 인플루엔자 접종 건수
그림 1. 어르신 주차별 접종 건수 및 지난 절기 대비 접종률 비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KBCH보고서] 미국 2023 (KBCH 동향보고서 No. 2023-7)
-
다음글
- [KISTEP InI Vol.46 / Autumn 2023] 창의와 도전, 글로벌 도약을 위한 정부R&D 제도혁신 방안의 주요 내용 및 의의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