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2023 식품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 등록일2023-11-30
- 조회수2724
- 분류제도동향 >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자료발간일
2023-11-22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원문링크
-
키워드
#식품의 농약#가공식품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2023 식품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 목차
◈ 식품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Pesticide MRLs in Food)
◈ 가공식품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Pesticide MRLs in Processed Food)
◈ 농약별 잔류허용기준
(Pesticide MRL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 Listed by pesticide)
◈ 식품(농산물별) 농약 잔류허용기준
(Pesticide MRLs in Agricultural Commodities - Listed by commodity)
◈ 식품(축·수산물별) 농약 잔류허용기준
(Pesticide MRLs in Aminal Commodities - Listed by commodity)
◈본문
◈ 농·축·수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 적용
①농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은 [별표 4]와 같으며, 해당 기준 이하를 말한다.
가.농산물은 개별 기준과 그룹 기준이 있을 경우에는 개별 기준을 우선 적용한다.
나.축·수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은 해당 축·수산물에 직접 사용이 허가되지 않았으나 비의도적 오염(사료, 환경오염 등)에 의한 살충제, 살균제 등 농약성분의 잔류관리를 위해 설정된 기준을 말하며 따로 식품명이 정해져 있지 않은 식용동물의 부산물(내장, 뼈, 머리, 꼬리, 발, 껍질, 혈액, 지방, 수산물의 알 등 식용이 가능한 부위)은 축산물의 경우 해당동물의 “고기(근육)” 기준을, “고기(근육)”가 없을시 해당 동물의 최저기준을, 수산물의 경우 “어류”의 잔류허용기준을 적용한다.
②농산물에 잔류한 농약에 대하여 [별표 4]에 별도로 잔류허용기준을 정하지 않는 경우 0.01 mg/kg이하를 적용한다.
③약사법 제51조 및 제52조의 규정에 의한 「대한민국약전」(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의 식품원료로 사용가능한 식물성 원료(건조한 것)의 농약잔류허용기준은 「대한민국약전」 및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 규격집」의약품 각조에 따르며 상기 시험방법은 「대한민국약전」의 일반시험법 중 “30. 생약시험법”에 따른다.
※ 식품원료 분류
다음의 식품원료 분류는 일반적인 분류로서 당해 식품과 원료의 특성 및 목적에 따라 이 분류에 의하지 아니할 수 있다.
1) 식물성 원료
대분류 | 소분류 | 품 목 |
곡류 | - | 귀리, 기장, 메밀, 밀, 보리, 수수, 쌀, 아마란스(씨), 옥수수, 율무, 조, 퀴노아, 트리티케일, 피, 호밀 등 |
서류 | - | 감자, 고구마, 곤약(구약), 마, 마카, 야콘, 카사바(타피오카), 토란 등 |
두류 | - | 강낭콩, 녹두, 대두, 동부, 렌즈콩, 리마콩, 완두, 이집트콩, 작두콩, 잠두, 제비콩, 팥, 피전피 등 |
견과 종실류 | 땅콩 또는 견과류 | 땅콩, 개암, 도토리, 마카다미아, 밤, 브라질넛, 아몬드, 은행, 잣, 케슈너트, 피스타치오, 피칸, 호두 등 |
유지 종실류 | 달맞이꽃(씨), 대마(씨), 드럼스틱/모링가(씨), 들깨, 면실/목화(씨), 올리브(열매), 유채/카놀라(씨), 참깨, 팜, 해바라기(씨), 호박(씨), 홍화(씨) 등 | |
음료 및 감미 종 실류 | 결명자, 과라나, 카카오원두, 커피원두, 콜라 너트, 헛개(열매) 등 | |
과일류 | 인과류 | 감, 모과, 배, 비파, 사과, 석류 등 |
감귤류 | 감귤(금귤 포함), 레몬(라임 포함), 시트론, 오렌지, 유자, 자몽, 탱자 등 | |
핵과류 | 대추, 매실, 복숭아, 산수유, 살구, 앵두, 오미자, 자두, 체리 등 | |
장과류 | 구기자, 꾸지뽕(열매), 다래, 딸기, 마가목(열매), 무화과, 베리류[블루베리, 빌베리, 복분자(라즈베리, 블랙베리, 산딸기 포함), 아로니아, 엘더베리, 오디/ 멀베리, 커런트, 크랜베리/월귤 등], 으름, 포도(머루 포함) 등 | |
열대 과일류 | 가시여지/그라비올라(열매), 구아바, 대추야자, 두리안, 리치, 망고, 망고스틴, 바나나, 바라밀/잭프루트, 아보카도, 아사이팜, 아세로라, 용과, 용안, 코코넛, 키위/참다래, 파인애플, 파파야, 패션 프루트, 포포나무(열매) 등 | |
채소류 | 결구 엽채류 | 배추, 브로콜리(콜리플라워 포함), 양배추(방울다다기양배추 포함) 등 |
엽채류 | 갓, 갯기름나물/방풍나물, 겨자채, 경수채/교나, 고들빼기, 고려엉겅퀴/곤드레 나물, 고추냉이(잎), 고춧잎, 곤달비, 공심채, 근대, 꾸지뽕(잎), 냉이, 눈개승마/ 삼나물, 뉴그린, 다채/비타민, 다청채, 당귀(잎), 돌나물, 둥굴레(잎), 들깻잎, 라디치오, 루꼴라/로케트, 머위, 무(잎, 열무 포함), 민들레, 배암차즈기/곰보배추, 비름나물, 비트(잎), 뽕(잎), 산마늘/명이나물(잎), 상추, 쑥부쟁이(섬쑥부쟁이/ 부지깽이나물 포함), 순무유채, 시금치, 신선초, 쑥, 쑥갓, 씀바귀, 아욱, 양상추, 어수리, 엇갈이배추(봄동, 쌈배추 등 포함), 엉겅퀴, 왕고들빼기, 우엉(잎), 원추리, 위트루프/치콘, 유채/동초, 질경이(잎), 차즈기/차조기/자소엽(잎), 참나물, 청경채, 춘채, 취나물(곰취, 미역취, 참취), 치커리(잎)(앤디브 포함), 케일, 파드득 나물/삼엽채, 파슬리, 호박(잎) 등 | |
엽경채류 | 갯개미자리/세발나물, 고구마(줄기), 고비, 고사리, 달래, 두릅, 락교/염교, 리크, 미나리, 부추, 삼채, 셀러리, 아스파라거스, 죽순, 콜라비, 토란(줄기), 파(쪽파 포함), 풋마늘(마늘종 포함) 등 | |
근채류 | 고추냉이(뿌리), 당근, 더덕, 도라지, 둥굴레(뿌리), 마늘, 무(뿌리), 물방기(뿌리), 비트, 사탕무, 생강, 셀러리악, 수삼(산양삼 포함), 순무, 양파, 연근, 우엉, 참나리 (비늘줄기, 뿌리), 치커리(뿌리), 파스닙 등 | |
박과 과채류 | 멜론, 박, 수박, 여주, 오이, 참외, 호박 등 | |
박과 이외 과채류 | 가지, 고추, 오크라, 토마토(방울토마토 포함), 풋콩(꼬투리 포함된 그린빈, 대두, 스냅빈, 완두 등), 피망(파프리카 포함) 등 | |
버섯류 | - | 갓버섯, 꽃송이버섯, 나도팽나무버섯/맛버섯, 느타리버섯, 목이버섯, 목질진흙 버섯/상황버섯, 새송이버섯, 석이버섯, 송이버섯, 신령버섯, 싸리버섯, 양송이 버섯, 영지버섯, 팽이버섯, 표고버섯, 황금뿔나팔버섯 등 |
향신식물 | 허브류 | 가시여지/그라비올라(가지, 잎), 고수(잎), 돌외(잎), 드럼스틱/모링가(잎, 줄기), 라벤더, 레몬그라스, 레몬머틀, 레몬밤, 로즈마리, 루이보스, 마타리(순), 마테 (잎), 민트(박하, 서양박하/페퍼민트, 스피어민트, 애플민트 등), 밀크씨슬(잎), 바질(잎), 배초향/방아잎, 사향초/백리향, 서양자초/딜(잎), 스테비아, 식용꽃 (국화, 금잔화/마리골드, 장미, 캐모마일, 히비스커스 등), 아이언워트, 오레가노, 올리브(잎), 월계수, 쟈스민, 초피나무, 쿨란트로, 타임, 허니부쉬, 호로파(잎), 회향(잎) 등 |
향신열매 | 노간주나무(열매), 바닐라(열매), 백미후추(열매), 산초(열매), 소두구(열매), 스타아니스/팔각회향(열매), 케이퍼(열매), 후추(열매) 등 | |
향신씨 | 겨자(씨), 고수(씨), 밀크씨슬(씨), 바질(씨), 서양자초/딜(씨), 셀러리(씨), 아니스(씨), 육두구(씨), 차즈기/차조기/자소자(씨), 캐러웨이(씨), 쿠민(씨), 호로파(씨), 회향(씨) 등 | |
향신뿌리 | 강황/심황/울금(뿌리) 등 | |
기타 향신식물 | 계피(가지, 줄기껍질), 몰약(고무수지), 사프란(암술머리), 정향(꽃봉오리) 등 | |
차 | - | 차 |
호프 | - | 호프 |
조류 | 해조류 | 갈래곰보, 갈파래, 곰피, 김, 꼬시래기, 다시마, 돌가사리, 둥근돌김, 뜸부기, 매생이, 모자반, 미역, 불등가사리, 석묵, 우뭇가사리, 진두발, 청각, 톳, 파래 등 |
기타 조류 | 스피루리나, 클로렐라 등 | |
기타 식물류 | 단수수, 마가목(껍질), 사탕수수 등 |
※︎상기 ‘/’는 이명(다른이름)을 의미하며, ‘( )’는 부위 또는 농약 기준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농산물을 의미한다.
2) 동물성 원료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품 목 |
축산물 | - | 식육류 | 소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염소고기, 토끼고기, 말고기, 사슴고기, 닭고기, 꿩고기, 오리고기, 거위고기, 칠면조고기, 메추리고기 등 |
- | 우유류 | 우유, 산양유 등 | |
- | 알류 | 달걀, 오리알, 메추리알 등 | |
수산물 | 어류 | 민물 어류 | 가물치, 메기, 미꾸라지, 붕어, 빙어, 쏘가리, 잉어, 참붕어, 칠성장어, 향어 등 |
회유 어류 | 송어, 연어, 은어, 뱀장어 등 | ||
해양 어류 | 가오리, 가자미, 갈치, 강달이, 고등어, 꽁치, 날치, 넙치(광어), 노래미, 농어, 대구, 도루묵, 도미, 망둑어, 멸치, 명태, 민어, 박대, 방어, 밴댕이, 뱅어, 병어, 복어, 볼기우럭, 조피볼락(우럭), 볼락, 붕장어, 삼치, 서대, 숭어, 쌍동가리, 양미리, 임연수어, 전갱이, 전어, 정어리, 조기, 준치, 쥐치, 청어, 홍어, 금눈돔, 칠성상어, 얼룩상어, 악상어, 청상아리, 곱상어, 귀상어, 은상 어, 청새리상어, 흑기흉상어, 다금바리, 먹장어, 흑점샛돔(은 샛돔), 은민대구, 은대구, 다랑어류(참다랑어, 남방참다랑어, 날개다랑어, 눈다랑어, 황다랑어, 백다랑어, 가다랑어, 점다랑 어), 몽치다래, 물치다래, 돛새치, 청새치, 황새치 등 | ||
- | 어란류 | 명태알, 연어알, 철갑상어알 등 | |
무척추 동물 | 갑각류 | 새우, 게, 바닷가재, 가재, 방게, 크릴 등 | |
연체류 | 1) 패류 : 굴, 홍합, 꼬막, 재첩, 소라, 고둥, 대합, 전복, 바지락, 군소 등 2) 두족류 : 문어, 오징어, 낙지, 갑오징어, 꼴뚜기, 주꾸미 등 | ||
극피류 | 성게, 해삼 등 | ||
피낭류 | 멍게, 미더덕, 주름미더덕(오만둥이) 등 | ||
기타 무척추동물 | 개불, 해파리 등 | ||
기타 동물 | - | 파충류 및 양서류 | 식용자라, 식용개구리 등 |
- | - | 식용 달팽이 등 | |
- | 곤충류 | 메뚜기, 식용누에, 갈색거저리유충, 쌍별뀌뚜라미, 장수풍뎅이유충, 흰점박이꽃무지유충 등 |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