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2021년도 우리나라 민간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현황 분석

  • 등록일2023-12-06
  • 조회수3071
  • 분류제도동향

 

 

2021년도 우리나라 민간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현황 분석

 

◈ 목차

1. 개요

2. 총괄 현황

3. 기업 유형별 현황

4. 산업별 현황

 

 

◈본문

1. 개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OECD의 연구개발활동 조사 시행 지침인 프라스카티 매뉴얼(Frascati manual)에 따라 매년 한국의 연구개발활동 현황을 조사

  • 연구개발활동조사는 우리나라 연구개발활동(연구개발비 및 연구개발인력 등) 현황을 조사하여 국가 연구개발 정책 수립 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 조사된 결과는 OECD에 제공되어 국가 간 비교 자료로 활용

⇨︎ 연구개발활동조사는 공공연구기관, 대학, 의료 기관, 연구소 및 연구전담부서를 보유한 기업체를 조사

  • 2021년도 총 조사대상 기관은 총 73,326개로, 이 중 70,317개(95.9%) 기관을 조사


<표 1> 2022년(조사대상년도: 2021년) 조사대상 기관 수

구분

공공연구기관

대학

의료기관

기업체

전체

조사대상 기관 수

873

418

420

71,615

73,326

조사표 회수 기관 수

(회수율)

847

(97.0%)

412

(98.6%)

409

(97.4%)

68,649

(95.9%)

70,317

(95.9%)


⇨︎ 2021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2022년도 우리나라의 연구개발활동조사 주요 결과는 2023년 12월에 공표 예정

  • 2021년 우리나라의 총 연구개발비는 102조 1,362억 원으로 세계 5위 수준

  •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율은 4.93%로 세계 2위 수준

⇨︎ 이번 호에서는 「2021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내 우리나라 민간 기업의 연구개발활동 현황을 분석하고자 함

  • 민간 기업은 전체 연구개발활동조사 전체 조사 대상의 97.7%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큼

  • 분석 대상이 되는 기업체는 기업부설연구소·연구개발전담부서를 등록한 기업체에 한정

<표 2> 기업부설연구소·연구개발전담부서 인정 요건

구분

신고 요

인적 요건

연구소

벤처기업/연구원창업 중소기업

연구전담요원 2명 이상

소기업

연구전담요원 3명 이상

(단, 창업일로부터 3년까지는 2명 이상)

중기업/국외에 있는 기업연구소(해외연구소)

연구전담요원 5명 이상

중견기업

연구전담요원 7명 이상

그 밖의 기업부설 연구기관

연구전담요원 10명 이상

연구개발전담부서

(기업 규모에 관계없이 동등 적용)

연구전담요원 1명 이상

물적 요건

연구시설 및 공간 요건

독립된 연구공간과 연구시설 보유


2. 총괄 현황


⇨︎ 2021년 우리나라의 기업 부문 연구개발비는 전년 대비 7조 2,079억원(9.8%) 증가한 80조 8,076억원

  • 기업 부문 연구개발비는 최근 10년간(2012년~2021년) 연평균 7.2% 증가

  •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전년 대비 0.06%p 하락한 3.64%

  • 우리나라 전체 연구개발비 중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79.1%로 전년과 동일 수준


우리나라 기업 부문 연구개발비 및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2009년~2021년)

[그림 1] 우리나라 기업 부문 연구개발비 및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2009년~2021년)



[그림 2] 연구수행주체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2009년~2021년)


⇨︎ 2021년 우리나라 기업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분야는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8.05%)

  • 뒤를 이어, 농업, 임업 및 어업이 6.55%, 제조업이 4.49%, 정보통신업이 3.25%, 교육 서비스업이 3.19%

  • 운수 및 창고업(0.25%), 건설업(0.4%),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0.44%)이 상대적으로 낮음

<표 3> 한국표준산업분류 대분류별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현황(2016~2021년)

순위

한국표준산업분류 대분류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4.1

4.33

4.91

6.58

7.44

8.05

2

농업, 임업 및 어업

8.89

6.01

11.52

7.7

9.56

6.55

3

제조업

4

4.2

4.32

4.49

4.63

4.49

4

정보통신업

2.49

2.59

2.91

3.02

3.09

3.25

5

교육 서비스업

2.14

2.52

4.23

4.16

3.56

3.19

6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2.86

2.59

2.39

3.96

2.97

2.62

7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2.95

1.46

4.14

2.54

3.77

2.09

8

공공 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0

2.25

0.22

2.33

2.06

1.78

9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1.47

1.95

1.9

1.94

5.21

1.68

10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1.55

1.39

1.3

1.4

1.98

1.58

1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0.93

0.91

0.97

0.96

1.07

1.23

12

금육 및 보험업

3.33

4.94

2.29

1.97

1

1.21

13

도매 및 소매업

1.67

1.08

0.85

0.92

1.07

1.1

14

숙박 및 음식점업

0.36

0.15

0.22

0.19

0.46

0.96

15

광업

2.37

1.53

2.08

0.59

0.9

0.89

16

부동산업

0.55

0.45

0.24

0.39

0.28

0.45

17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

0.45

0.582

0.51

0.48

0.52

0.44

18

건설업

0.37

0.4

0.41

0.39

0.42

0.4

19

운수 및 창고업

0.15

0.15

0.29

0.27

0.28

0.25


⇨︎ 제조업으로 한정하여 보았을 때 ’21년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매출액 대비 8.89% 연구개발 투자로 가장 높

  • 의료 관련 제조업이 뒤를 이어 7%대의 투자를 하고 있으며, 전기장비 제조업이 4.31% 투자 중

<표 4> 한국표준산업분류 내 제조업 분야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상위 10위 현황(2016~2021년)

순위

표준분야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년

1

전자 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8.82

8.64

9.17

10.14

9.57

8.89

2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6.07

6.02

6.04

6.17

6.4

7.91

3

의료, 정밀, 광학 기기 및 시계 제조업

6.83

7.88

7.54

7.94

8.39

7.52

4

전기장비 제조업

4.25

3.83

3.52

3.56

3.84

4.31

5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3.51

3.27

3.58

3.82

3.79

3.95

6

기타 제품 제조업

3.32

3.37

3.36

3.28

3.44

3.86

7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3.01

3.59

36.81

3.67

3.8

3.75

8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52

3.53

2.31

2.54

3.01

2.94

9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3.36

2.75

2.52

2.53

2.67

2.76

10

인쇄 및 기록매채 복제업

2.13

2.15

2.4

2.41

2.53

2.53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