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안전한 과학실험실을 위한 화학물질 관리 방안

  • 등록일2023-12-19
  • 조회수2895
  • 분류제도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외품・화장품・위생용품 안전관리기술

 

 

안전한 과학실험실을 위한 화학물질 관리 방안

[KOFAC ISSUE PAPER 2023-3]

 

◈ 목차

안전한 과학실험실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Q&A

  • 1.유해화학물질이란 무엇인가요?

  • 2.학교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유해화학물질 여부를 어떻게 판단하나요?

  • 3.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유해화학물질 여부는 어떻게 되나요?

  • 4.중학교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유해화학물질 여부는 어떻게 되나요?

  • 5.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유해화학물질 여부는 어떻게 되나요?

  • 6.우리 학교는 유해화학물질 소량 취급시설인가요?

  • 7. 학교는 유해화학물질 소량 취급시설로 취급시설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 8.학교에서 자주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MSDS 자료집을 제공해 줄 수 있나요?

  • 9.MSDS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이 많아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편집된 요약본을 비치해도 되나요?

  • 10.과학교사와 과학실험실무사는 특수건강진단을 받아야 하나요?

  • 11.학교에서 수은함유폐기물이 발견되었습니다. 2023년 7월 21일이 지났는데 과태료 대상인가요? 발견된 수은함유폐기물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 12.수은 누출 시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 13.수은 누출 사고가 일어나면 황을 처리하거나, 수은 키트를 활용하여 황화 수은을 만들어 처리하도록 안내되고 있는데, 이후 황화 수은의 처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14.수은 처리에 사용된 물품(빗자루 등) 폐기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 15.포르말린 누출 시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본문

1. 유해화학물질이란 무엇인가요?


「화학물질관리법」에서는 유독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 사고대비물질, 그 밖에 유해성 또는 위해성이 있거나 그러할 우려가 있는 화학물질을 유해화학물질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등의 고시를 통해 지정되며, 각 유해화학물질의 명단과 구체적인 기준함량 수치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 유독물질이란 유해성이 있는 화학물질로 「유독물질의 지정고시」 1,109종이 해당한다.

  • 허가물질이란 위해성이 있다고 우려되는 물질로 지정된 물질이 없다.

  • 제한물질이란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위해성이 크다고 인정되는 화학물질로서 그 용도로의 제조, 수입, 판매, 보관·저장, 운반 또는 사용을 금지한 화학물질이다. 「제한물질·금지물질의 지정」 14종이 해당한다.

  • 금지물질이란 위해성이 크다고 인정되는 화학물질로 모든 용도로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화학물질이다. 「제한물질·금지물질의 지정」 60종이 해당한다.

  • 사고대비물질은 화학물질 중에서 급성독성·폭발성이 강하여 화학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화학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그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화학물질이다. 「사고대비물질의 지정」 97종이 해당한다.


2. 학교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유해화학물질 여부를 어떻게 판단하나요?


학교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함량을 유해화학물질의 기준함량 수치와 비교하여 유해 화학물질 여부를 판단하여야 합니다. 초·중·고 과학실험실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사고 대비물질과 유독물질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들은 「사고대비물질의 지정」 및 「유독물질의 지정고시」 명단 및 기준함량을 고려하여 판단하면 됩니다. 화학물질의 유해화학물질 여부는 환경부 화학물질정보처리시스템(https://kreach.me.go.kr/)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10% 과산화 수소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과산화 수소의 사고대비물질 기준함량은 35% 이상, 유독물질 기준함량은 6% 이상입니다. 10% 과산화 수소는 사고대비물질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유독물질에 해당하므로 유해화학물질입니다. 5% 염산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염산의 사고대비물질, 유독물질 기준함량은 10% 이상이므로, 5% 염산은 유해화학물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표 1. 과산화 수소와 염산의 유해화학물질 기준함량

물질명

(화학식)

CAS 번호

유해화학물질 기준 함량

사고대비물질

유독물질

과산화 수소(H2O2)

7722-84-1

35.0%

6.0%

염산(HCI)

7647-01-0

10.0%

10.0%


3.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유해화학물질 여부는 어떻게 되나요?


초등학교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종류와 유해화학물질 여부를 알아보고자,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2015)에서 제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탐구활동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을 조사하였습니다. 탐구활동에서 제시하는 구체적인 화학물질을 알아보고자 2종 출판사의 과학 교과서(이상원 외, 2018; 이수환 외, 2018; 조정호 외, 2018)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과산화 수소, 녹말, 백반, 붕사, 붕산,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슘, 시트르산, 아세트산,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 알긴산, 에탄올, 염산, 염화 나트륨, 이산화 망가니즈, 젖산 칼슘, 탄산수소 나트륨, 페놀프탈레인, 폴리바이닐 알코올, BTB’ 등의 화학물질이 사용됩니다. 각 화학물질의 「사고대비물질의 지정」 및 「유독물질의 지정고시」 기준함량은 <표 2>와 같으며, 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시약의 농도가 기준함량을 넘는 경우 유해화학물질에 해당합니다. 각 학교에서 보유하고 있는 시약 농도에 따라 유해화학물질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며, 학교에서 쓰이는 시약의 함량을 예시로 한 결과 유해화학물질로 분류될 수 있는 물질은 ‘과산화 수소, 붕사, 붕산, 수산화 나트륨, 아세트산, 염산’ 등입니다.


표 2.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탐구활동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유해화학물질 여부

연변

물질명

CAS번호

유체화학물질 기준함향

학교에서 쓰이는 시약 예시

사고대비물질

유독물질

함량 범위

유해화학물질

여부(O/X)

1

과산화 수소(H2O2)

7722-84-1

35.0%

6.0%

34.5%

유독물질(O)

2

녹말((C6H10O5)n)

9005-25-8

해당 없음

해당 없음

100.0%

X

3

백반(K2SO4·AI2(SO4)3·24H2O)

10043-67-1

해당 없음

해당 없음

99.0-100.0%

X

4

붕사(Na2B4O7·10H2O)

1303-96-4

해당 없음

0.3%

100.0%

유독물질(O)

5

붕산(H3BO3)

10043-35-3

해당 없음

0.3%

99.5%

유독물질(O)

6

수산화 나트륨(NaOH)

1310-73-2

해당 없음

5.0%

97.0-98.0%

유독물질(O)

7

수산화 칼슘(Ca(OH)2

1305-62-0

해당 없음

해당 없음

95.0%

X

8

시트르산(C6H8O7)

77-92-9

해당 없음

해당 없음

99.0%, 99.5%

X

9

아세트산(C2H4O2)

64-19-7

해당 없음

25.0%

99.5-99.7%

유독물질(O)

10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

-

해당 없음

해당 없음

I21.0%, KI 5.0%

X

11

알긴산((C6H8O6)n)

9005-32-7

해당 없음

해당 없음

99.0-100.0%

X

12

에탄올(C2H6O)

64-17-5

해당 없음

해당 없음

95.0%, 99.9%

X

13

염산(HCI)

7647-01-0

10.0%

10.0%

35.0-37.0%

유독물질(O)

사고대비물질(O)

14

염화 나트륨(NaCI)

7647-14-5

해당 없음

해당 없음

99.0%

X

15

이산화 망가니즈(MnO2)

1313-13-9

해당 없음

해당 없음

70.0%

X

16

젖산 칼슘(C6H10CaO6)

5743-48-6

해당 없음

해당 없음

95.0%, 98.0%

X

17

탄산수소 나트륨(NaHCO3)

144-55-8

해당 없음

해당 없음

99.0%

X

18

페놀프탈레인(C20H14O4)

77-09-8

해당 없음

해당 없음

0.1%

X

19

폴리바이닐 알코올 ((C2H4O)n)

9002-89-5

해당 없음

해당 없음

94.0%

X

20

BTB(C27H28Br2O5S)

76-59-5

해당 없음

해당 없음

0.1%

X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