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93] 캘리포니아 재생 의학 연구소(California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 CIRM)의 펀딩의 이해

  • 등록일2024-02-06
  • 조회수1814
  • 분류제도동향 > 기타 > 기타

 

 

캘리포니아 재생 의학 연구소(California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 CIRM)의 펀딩의 이해


 

◈ 목차

⑴ 보고서 작성 배경

⑵ CIRM 개요
⑶ 자금 지원 신청 과정
⑷ 자금 지급 및 자금 사용
⑸ 연구결과 활용 및 수익의 공유
⑹ 시사점 및 한국 세포치료 회사의 CIRM 활용 방안


 

 

◈본문

1. 보고서 작성 배경

01. 작성 배경


■ 최근 미국을 포함한 각 국가의 금리인상으로 투자환경이 경직되어 많은 스타트업 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특히 산업의 특성상 단기간에 수익 창출이 어려운 바이오 기업의 경우 투자 환경이 악화되면서 기술개발, 임상시험 등에 회사의 제품개발이 지연되거나 핵심 인력의 이탈로 회사존립의 위협까지 내몰린 상황


■ 2022년 전세계 세포•유전자치료제 투자액은 전년 대비 44% 감소

◎︎ 전세계 세포•유전자치료제 투자는 2019년 98억 달러 > 2020년 199억 달러 > 2021년 227억 달러로 지속증가추세에 있었음

◎︎ 2022년에는전년대비 44%가감소된 126억 달러만이 전세계 세포•유전자치료제 기업에 투자됨


■ 캘리포니아 재생 의학 연구소 (California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 이하 “CIRM”)에서는 줄기세포와 유전자 치료 기술 기업에게 연구개발부터 임상까지 개발 전과정에 자금을 지원

◎︎ 현재까지 알려진 치료법이 없는 암, 당뇨병, 유전 질환, 신경계 장애, 간세포 질환, 심장 질환등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치료방법을 연구하여 그들의 삶을 개선등는 것 CIRM의 목표


■ 최근의 한국 내 경제사정과 투자환경으로 인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회사에게 자금 조달 대안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보고서를 작성



02.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

■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은 2021 년 기준 약 74.7억 달러이며 2026년에는 약 555.9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여 연평균 약 49.1%라는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같은 기간 동안 처분자 합성의약품 성장률 5.7% 대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특히 바이오의약품의 주력 분야라고할수있는항체의약품의 성장률5.2%, 백신 -4.1%에 비해서도높은 성장률을보임


(단위: 억달러,%)


 출처 : Evaluate Pharma (2022.2)

[그림 1 ]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 규모 및 성장률 비교



■ 시장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개별 기업의 역량만으로는 단기간에 기술 개발을 하는 것은 쉽지 않아 지속적으로 많은 투자가 필요

◎︎ 세포•유전자치료제의 경우, 생산기술 난이도가 매우 높아 소규모의 바이오 기업들이 생산 플랫폼을 구축하고 관리하는데에는 여러 부담이 따를수 밖에 없음

◎︎ 제약기업들조차핵심 기술의 외부도입에 투자를점차늘리고 있는것처럼 초기 투자에 보수적



(단위: 건,억달러)


 출처 : Evaluate Pharma (2022.2)

[그림 2] 미국 내 제약기업 기술거래 건수 및 거래액 비교



■ 한국 세포•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스타트업 기업들에게 CIRM을 소개하고 임상연구개발을 위한 펀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CIRM에 대한 조사를 실시

◎︎ 아울러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미국 진출에 관심이 있는 한국의 세포•유전자치료제 기업에게 미국 진출에 대한 계획에 참고로 활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