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404] 외국 의료인 온라인 연수(MKA e-class) 활성화 방안
- 등록일2024-03-05
- 조회수1593
- 분류제도동향
-
자료발간일
2024-02-29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온라인연수#보건의료#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료
[보건산업브리프 Vol. 404] 외국 의료인 온라인 연수(MKA e-class) 활성화 방안
◈ 목차
I . 온라인 연수(MKA e-class) 활성화 방안 수립 배경 및 필요성
Ⅱ. 온라인 연수(MKA e-class) 사업 개요
Ⅲ. 온라인 연수 사업의 SWOT 분석
Ⅳ. 분석 대상 국가 선정 배경
Ⅴ. 분석 국가별 온라인 연수(MKA e-class) 활성화 방안 수립
Ⅵ. 시사점 및 전략
◈본문
I .온라인 연수(MKA e-class) 활성화 방안 수립 배경 및 필요성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외국 의료인에 대한 한국 의료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외국인 환자 유치와 한국 의료 해외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19년까지「메디컬 코리아 아카데미 (Medical Korea Academy)」프로그램을시행한바 있다.
○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한 보건의료환경의 급변으로,2020년「Medical Korea Academy e-class(이하 'MKAe-class') 라는 온라인 연수 사업을 운영하기 시작하여,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연수사업도 비대면 연수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 엔데믹 시대,외국인 환자 유치와 한국 의료해외진출을 위한 의료인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기 구축한 온라인 연수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그 활용범위를 확대하기 위해,비대면 연수사업의 한계점을 돌아보고 활성화 방안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MKA e-class 사업에 대한 SWOT 분석을 통해 4가지 SO전략,WO전략,ST전략,WT 전략방향을 설정하고, 주요 전략국을 타겟으로 하여 활성화 방안을 도출했다.
○ 분석국가는 기존 대면연수 상위국가(5위권 이내),온라인 연수 상위국가(5위권 이내),의료해외진출상위국가(5위권 이내),해외환자유치 상위국가(5위권 이내),온라인 연수 신규 유입국가(신규 개척지역), ODA중점협력국가 해당여부를 기준으로하여,몽골,베트남,에티오피아 3개국을 선정하여 분석했다.
Ⅱ. 온라인 연수(MKA e-class) 사업 개요
1. 교육과정 구성
○MKAe-class의 교육과정은크게 외과술기,내과술기, 비임상으로분류되며,1개 교육과정은총 15개〜25개강의로 구성, 각 강의별 30분〜40분 분량이다. 교육과정은 국내 관련분야를 대표하는 학회 및 상급 종합병원과 협업하여 개발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