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제도동향

대학(원)생 실험실 창업자가 조심해야 할 7대 연구윤리 이슈 예방 안내서

  • 등록일2024-04-24
  • 조회수1579
  • 분류제도동향

 

 

대학(원)생 실험실 창업자가 조심해야 할 7대 연구윤리 이슈 예방 안내서


 

◈ 목차

  • 1.주요용어

  • 2.실험실 창업관련 연구윤리 범위

  • 3.실험실 창업관련 7대 연구윤리 이슈와 예방책

  • 4.실험실 창업관련 연구윤리 체크리스트

 

◈본문

  • 1. 주요용어

 용어

  • 2.실험실 창업관련 연구윤리 범위

  • ✔︎실험실 창업 관련 연구윤리 실천 가치

  • 대학(원)생이 실험실 창업을 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연구윤리는 대학(원)생이 대학의 기술로 창업을 하는 과정에서 알고 실천해야 할 윤리적 가치 및 규범을 말합니다

  • 대학(원)생의 가치 있는 실험실 창업을 위해 “Startup ACE"를 슬로건으로 제시합니다.

✔︎실험실 창업 관련 연구윤리 실천 가치

실험실 창업 관련 연구윤리 실천 가치

  • ✔︎바람직한 실험실 창업을 위한 대학 구성원의 역할

  • 대학은 대학 사명에 맞는 인력 및 창업기업을 배출하기 위한 지원 활동을 수행합니다.

  • 대학(원)생은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연구 결과에 근거한 실험실 창업 활동을 수행합니다.

  • 교수는 지도학생 (대학(원)생)의 창업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 ✔︎실험실 창업 연구윤리 범위

  • 실험실 창업 연구윤리의 범위는 1. 대학(원)생이 2. 직무발명에 의한 기술을 활용하여 창업할 때3. 국가 (정부), 대학, 교원과의 관계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으로 한정합니다.

  • ╺︎(대상) 실험실 창업은 실험실 기술로 창업을 하는 것이므로, 대상은 교원과 대학(원)생이 있습니다. 본 가이드는 창업 대상을 대학(원)생으로 한정합니다.

  • ╺︎(발명 유형) 대학(원)생이 발명한 기술은 자유발명과 직무발명이 있습니다 본 안내서는 직무발명으로 한정합니다.

  • 직무발명이란?

대학(원)생이 실험실에서 국가연구과제의 수행에 참여하여 완성한 발명을 지칭합니다 이때, 발명 소유권은 연구를 수행한 대학(원)생에게 귀속되지 않고 대학원생의 소속기관(대학)이나 국가에 귀속됩니다.

  • ╺︎(이해관계자) 대학(원)생이 실험실 창업 과정에서 연구윤리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는 대학 내부(대학, 지도교수, 실험실 대학(원)생 동료), 기타 관련기관(국가, 연구비 지원 기관 등), 그리고 민간 기업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본 가이드는 대학 내부와 기타 관련 기관으로 한정합니다.

본 안내서의 대학(원)생 실험실 창업 연구윤리 범위

본 안내서의 대학(원)생 실험실 창업 연구윤리 범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